'페달 오조작' 논란 확산…커지는 방지장치 도입 목소리
급발진 의심 사례 76%가 운전자 페달 오조작…ACPE·AEB 장착 필요성↑
[더팩트 | 김태환 기자] 시청역 앞 급발진 의혹 사고 등으로 인해 운전자의 페달 오조작 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기계적 문제가 아닌 경우 대부분의 급발진 사례가 가속 페달을 브레이크로 착각한 것이란 통계가 나온 가운데 긴급 제동(AEB)이나 페달 오조작 방지 시스템(ACPE) 등의 의무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1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한국교통안전연구원은 올해 2월 유엔유럽경제위원회(UNECE) 주관 기술 분과회의에서 운전자가 급발진을 주장했던 사고의 페달 블랙박스 영상을 공개했다.
해당 영상은 지난해 11월 서울 용산구 주택가에서 주행하던 전기 택시가 담벼락을 들이받는 사고에서 운전자의 페달 조작 장면을 담았다. 택시 운전자는 골목에서 우회전한 뒤 3초간 30m를 주행하는 상황에서 가속페달을 6회 반복해 밟았다. 담벼락에 충돌하기 전까지 총 119m를 주행하면서 운전자는 단 한번도 브레이크를 밟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지난 2013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6년간의 급발진 추정사고로 접수된 국내・외 차종의 사고 사례 중 사고기록장치(EDR, DTG, VDR, CCTV 등)와 차량을 분석한 결과. 전체(269건)의 76 %(203건)가 운전자의 페달 오조작에 의해 발생했다.
페달 오조작 사례는 고령 운전자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층에서 확인됐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운영하는 자동차리콜센터가 지난 2014년부터 올해 6월까지 급발진 주장 사고(456건)를 분석한 결과 60대 이상 고령층의 비중은 43.2%로 50대 이하(56.8%)보다 적었다.
연령별로보면 60대가 30.8%(122건)로 가장 많았고 50대 27.3%(108건), 40대 20.2%(80건), 30대 7.6%(30건), 20대 1.8%(7건) 등이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급발진은 크게 기계적 결함과 전자제어장치 결함, 인적 오류(Human error)로 나타나는데, 기계 결함과 전자장치 결함은 제조사의 책임이고 인적 오류는 운전자의 책임이다"면서 "특히 운전자들이 평소 급발진 사례들을 접하며 '기계 문제로 급발진이 발생한다'는 식으로 믿어버리는 확증편향이 나타나 자신의 실수임에도 불구하고 제조사의 책임이라는 주장을 펼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페달 오조작에 대한 사례가 늘어나는만큼 이를 막을 수 있는 기술적,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일본의 경우 지난 2012년부터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ACPE)를 상용화하고 현재 출시되는 신차의 93% 이상 장착되고 있다. 내년 6월부터는 신차에 ACPE 설치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ACPE는 페달의 압력과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페달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비정상적인 조작을 감지하면 경고음과 경고등으로 주의를 준 뒤 제동이 필요하면 브레이크를 작동하게 된다. 국내에서는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지난해 12월부터 '페달 오조작 방지 및 평가 기술 개발' 연구에 착수했으며 올해 개발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자동차는 올해 출시되는 전동화 차량 '캐스퍼 일렉트릭'에 페달 오조작 안전보조 시스템(PMSA)을 장착한다. 이 기술은 저속 주행이나 정차할 때 운전자가가속페달을 브레이크로 오인해 밟을 경우 충돌을 방지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전후방에 장애물이 가까운 상황에서 가속페달을 밟으면 라이다와 카메라를 통해 인식하고 차량이 스스로 브레이크를 잡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긴급제동장치(AEB)의 장착도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AEB는 레이더와 카메라, 초음파 센서를 활용해 차량의 속도와 앞차와 물체와의 거리를 확인하고 위험상황이라 판단될 경우 경고와 함께 급제동하도록 설계된다.
페달 오조작 방지를 위한 장비 확대를 위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일본은 20년 전부터 준비해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를 제조하는 자동차 부품사들이 많고 종류도 다양한데 한국의 경우 장치를 개발하는 업체가 단 한군데도 없다"면서 "특정 제조사의 차량에만 적용돼야 하는것이 아니라 모든 차종에 장착할 수 있도록 범용성을 갖춰야 하기 때문에 정부가 나서서 공인 인증 절차를 마련하고 관련 장치 개발시 보조금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의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kimthin@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현장FACT] "평화가 경제" 대선후보 시절 슬로건 소환한 이재명 (영상)
- 너도 나도 급발진 불안…시청역 사고에 페달 블랙박스 '불티'
- '갤Z폴드·플립6' 12일 사전 판매…'최대 110만원' 역대급 중고 보상
- 7월 아파트분양전망지수 0.4p↑…'신생아 특례대출' 효과 있네
- [인터뷰] "제 마음속 대통령은 이재명"…최고위원 도전하는 '李의 입'
- [유로 2024] 달라진 잉글랜드, 네덜란드 2-1 제압...스페인과 결승 격돌
- 임영웅, 역시 히어로…성공적인 배우 데뷔 'In October'[TF초점]
- [요줌사람] '급발진? 침수차?' 임기상이 말하는 '차의 모든 것' (영상)
- '주택 임대 무기계약' 獨·日선 일반적…차이는 '정당사유제'
- 은행 넘은 증권사 ISA 잔액, '머니무브' 지속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