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시장 불안 더 커질 우려…8월 금리인하 쉽지 않다"

좌동욱/강진규 2024. 7. 10. 18: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경이코노미스트클럽 회원 20명 중 14명(70%)이 한국은행의 첫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오는 10월 이후로 예상한 가장 큰 이유로는 통화정책이 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을 들 수 있다.

오는 9월로 예상되는 미국 중앙은행(Fed)의 피벗(통화정책 전환)에 앞서 한국은행이 금리를 먼저 내리면 지금도 부담스러운 원·달러 환율을 더 밀어올릴 수 있다는 우려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노멀 된 고환율
(3) 한경 이코노미스트 설문
10명 중 7명 "10월 이후 인하"
'美보다 먼저 인하' 여부엔 팽팽
절반 "집값 상승 등 부작용 우려"
반대편선 "내수 부진 대응해야"
90% '환율고점 1390원 이상' 전망
"한·미 성장률 격차 반영한 것"

한경이코노미스트클럽 회원 20명 중 14명(70%)이 한국은행의 첫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오는 10월 이후로 예상한 가장 큰 이유로는 통화정책이 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을 들 수 있다. 오는 9월로 예상되는 미국 중앙은행(Fed)의 피벗(통화정책 전환)에 앞서 한국은행이 금리를 먼저 내리면 지금도 부담스러운 원·달러 환율을 더 밀어올릴 수 있다는 우려다. 대다수 전문가(14명)가 올 하반기 원·달러 환율이 일시적으로 1400원을 돌파할 수 있다고 예상한 것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한국은행이 하반기 통화정책을 완화 기조로 선회하겠지만 환율 요인 때문에 금리를 내릴 여력은 크지 않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어서다.

 ○10명 중 7명 “10월 이후 금리 인하”


이번 조사에서 가장 눈에 띈 결과는 한국은행의 첫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다. 최근 시장에서 확산하고 있는 8월 인하는 소수 의견(5명)에 그쳤다. 10월을 선택한 응답자가 10명(50%)으로 가장 많았고 11월 이후를 택한 전문가도 4명(20%)에 달했다. 한경이코노미스트클럽 회원 10명 중 7명이 금리 인하를 10월 이후로 내다보고 있는 것이다. 기준금리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채권시장의 예상과는 거리가 있다. 최근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연 3.1~3.2%대로 이미 두 차례의 금리 인하를 반영하고 있다. 박석길 JP모간 이코노미스트는 “‘너무 이른 금리 인하 가능성’이 아직은 ‘너무 늦은 인하 가능성’보다는 약간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이 Fed보다 금리를 먼저 내릴 수 있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도 일반적인 통념과 거리가 있었다. 찬성과 반대가 10명씩으로 팽팽히 맞섰는데, 10월 이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를 전망한 응답자 중에서도 5명이 찬성 의견을 냈다. 찬반 의견은 주로 환율과 경기를 보는 관점에 따라 갈렸다. 한은이 먼저 금리를 내릴 수 있다고 응답한 민지희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내수 부진과 물가 안정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서 국내 세수 결손이 심해질 가능성이 높고 재정지출 여력은 축소되고 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이미 Fed와 다른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이 디커플링되고 있다”며 “우리도 전향적으로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지난해까지 한은 부총재를 지낸 이승헌 숭실대 경영대학원 교수는 “한국은행이 급하게 금리를 인하할 이유가 없다”며 “부동산 가격 급등 등 부작용 우려가 있고, 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내리면 환율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절반 “올해 말 환율 1300~1400원”

1400원에 육박하는 원·달러 환율이 올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는 전문가가 많았다. ‘하반기 환율 고점’ 질문에 1400원이라고 답한 전문가가 8명(40%)으로 가장 많았다. 1405~1440원을 적어낸 응답자도 5명(25%) 있었다. 환율 관련 질문에 응답하지 않은 2명을 제외한 18명이 환율 고점을 1390원 이상으로 전망했다. 평균은 1403원으로 조사됐다. 하반기 환율 고점을 1440원으로 가장 높게 제시한 안기태 NH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한국과 미국의 성장률 격차가 환율에 반영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NH투자증권은 국내 주요 금융회사 중 작년 말에 올 1분기와 2분기 환율 전망을 가장 정확하게 예측했다.

올해 말 환율 수준에 대해 묻자 ‘1350~1400원 미만’을 예상한 응답자가 9명(45%)으로 가장 많았다. ‘1300~1350원 미만’도 8명에 달했다. 박춘성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미국 경기 호조와 인플레이션이 쉽게 가라앉지 않아 달러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원화 약세는 이로 인한 내외 금리 차와 내수 등을 반영하는 것인데 빠르게 개선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좌동욱/강진규 기자 leftking@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