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빌딩 공시지가 시세반영률 36% 수준···건물주에 세금 혜택”

심윤지 기자 2024. 7. 10. 14:3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시내 1000억원 이상 고가 빌딩들의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이 정부 발표치와 약 30% 가량 차이가 난다는 주장이 나왔다. 공시지가가 시세보다 지나치게 낮게 책정돼 건물주들이 보유세 혜택을 보고 있다는 것이다.

김성달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사무총장이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실련에서 1천억 이상 실거래빌딩 공시지가 및 보유세 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0일 최근 4년(2020~2023년)간 실거래가 1000억원이 넘는 서울 지역 빌딩 거래내역 97건의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경실련에 따르면 이 기간 서울에서 거래된 1000억원 이상 실거래 빌딩의 거래금액은 총 27조809억원이다. 이 중 건물값에 해당하는 가표준액은 3조3397억원이며 토지가격은 23조7412억원이다. 반면 빌딩들의 공시지가는 8조6266억원으로 전체 토지가격의 약 36.3%에 불과했다.

경실련은 1000억원 이상으로 거래된 빌딩의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이 정부 발표치와 매년 30% 가량 차이가 난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발표한 연도별 전국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은 2020년 65.5%, 2021년 68.6%, 2022년 71.6%, 2023년 65.5%였다. 반면 경실련이 계산한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은 2020년 36%, 2021년 36%, 2022년 38%, 2023년 35%다.

경실련에 따르면 이러한 차이는 ‘시세’를 무엇으로 보느냐에서 비롯됐다. 경실련은 실제 거래된 가격(실거래가)을 시세로 본 반면, 정부는 자체 추정한 거래가능가격을 시세로 계산한다.

경실련은 “정부가 산정한 시세는 실제 실거래가와 차이가 많이 나고, 산정 방식도 불투명하다”며 “전국과 서울이라는 지역적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이렇게 큰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이 가장 낮은 빌딩은 시세반영률이 11% 수준이었던 무신사캠퍼스E1였다. 이 빌딩은 2023년 984억원에 거래됐지만 공시지가는 109억에 불과했다.

경실련은 “현행 공시지가를 그대로 적용한다면 빌딩을 보유한 부동산 부자, 재벌들은 큰 세금혜택을 볼 수밖에 없다”며 “조세기준이 이처럼 제멋대로 조사된다면 국민은 조세형평성에 대해 강한 의구심을 느낄 수밖에 없다”고 촉구했다.

경실련은 이를 위해 주택에 대한 공시가격을 폐지하고, 땅에 대한 공시지가로 일원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을 80% 이상으로 올리고, 공정시장가액비율(세금 부과기준인 과세표준을 정할 때 적용하는 공시가격의 비율)을 폐지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거래금액에서 시가표준액을 차감해 토지가격을 추산하는 방식은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시지가 산정방식과 다른다”며 “국토부는 공시지가의 투명성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 [올앳부동산]내 집의 ‘적정가격’은 얼마일까
     https://m.khan.co.kr/economy/economy-general/article/202311260600001

심윤지 기자 sharpsi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