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연구원, 화재에 강한 신개념 고효율 태양광 모듈 개발

홍정명 기자 2024. 7. 10. 09: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기변환소재연구센터 차승일·윤민주 박사팀
소재부터 구조까지 혁신, 도시환경에 최적화
영국 왕립화학회 발간 학술지 표지논문 게재
[창원=뉴시스]한국전기연구원(KERI) 전기변환소재연구센터 차승일·윤민주 박사가 화재에 강한 신개념 고효율 태양광 모듈을 들어보이고 있다.(사진=한국전기연구원 제공)2024.07.10. photo@newsis.com

[창원=뉴시스] 홍정명 기자 =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전기변환소재연구센터 차승일·윤민주 박사팀이 도시에서의 전기 자급자족을 실현할 수 있는 ‘신개념 태양광 모듈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태양광 발전은 무한한 자원인 햇빛을 이용한다는 장점으로 인해 대표적 친환경 에너지로 꼽히고 있으며, 현재 영호남 지역의 넓은 부지에서 관련 설비가 급격히 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태양광 전기를 수도권 등 수요가 많은 지역으로 보내는 신재생에너지 전용 송전망은 상대적으로 부족해 에너지의 공유성 및 활용성 측면에서는 한계를 보인다.

도시 내부에서 태양광 발전으로 전기를 생산 및 활용하려는 시도는 많지만, 도시는 태양광 인프라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구조물)의 형태가 워낙 복잡하고 다양하다.

일례로, 주위의 각종 건물, 나무 등으로 인해 태양광 모듈 일부에 그늘(부분 음영, partial shading)이 생기면 생산된 전류가 그늘진 곳으로 들어오지만 밖으로는 나가지 못하게 되어 열이 발생하는 핫스팟 현상이 일어나고, 이런 현상이 반복되면 발전 효율이 떨어질뿐만 아니라 발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도시용 태양광 모듈은 더 진보된 기술력이 필요하다.

이에 차승일·윤민주 박사팀은 유연성·안전성·효율성을 모두 확보하여 도시 환경에 최적화된 신개념 태양광 모듈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40년 이상 이어져 온 태양광 모듈의 소재부터 구조까지 모든 것을 바꿨다.

기존 태양광 모듈은 태양전지를 보호하기 위해 비싼 강화유리와 플라스틱으로 감싸는 적층구조 형태였다.

하지만 차승일 박사팀은 유리 없이 실리콘으로 태양전지를 하나하나 밀봉한 뒤,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유연한 구조물이 되게 만들었다.

모듈의 전기적 연결 형태도 기존 직렬 연결이 아닌 설치 환경에 따라 직렬과 병렬(몇 갈래의 길로 나누는 구조)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방식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는 수십년 간 고집된 태양광 모듈 제조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는 생각이었고, KERI가 수년간의 연구 끝에 얻어낸 세계최초의 결과다.

이러한 신개념 태양광 모듈의 가장 큰 장점은 안정적인 출력 유지 및 안전성, 유연성이다.

[창원=뉴시스]화재에 강한 신개념 고효율 태양광 모듈 개발한 한국전기연구원(KERI) 전기변환소재연구센터 차승일·윤민주 박사.(사진=한국전기연구원 제공)2024.07.10. photo@newsis.com

KERI 모듈은 기존 가연성의 플라스틱을 난연 소재로 대체하여 전기 절연성과 내구성이 높다.

또한 직·병렬 혼합 구조는 태양광 모듈에 그늘(부분 음영) 문제가 생기더라도 높은 출력을 유지해주고, 핫스팟 생성도 막아준다.

KERI 모듈의 유연함은 종이접기처럼 가능한 수준으로, 도심 건물은 물론 벤치와 차광막 등 다양한 곳에 부착하여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구팀은 디자인적으로도 거리의 보도블록이나 욕실의 타일 구조와 유사한 테셀레이션(모자이크) 구조를 적용해 도시 환경에서의 활용성과 적용성도 높였다.

KERI는 태양광 모듈에 일명 ‘해바라기형’ 신기술을 도입해 효율성도 높였다.

태양전지에 형상기억합금을 부착해 모듈이 태양 위치를 스스로 따라가며 모양을 최적으로 바꾸면서 전기를 생산한다(Self-tracking).

이를 통해 기존 편평한 태양광 모듈 대비 하루 전력 생산량을 60% 이상 높일 수 있었다.

태양광 모듈에 별도의 시스템을 추가하지 않고, 일체형으로 태양 추적 방식을 구현한 건 전 세계에서 유일하다.

차승일 박사는 "우리의 기술로 도심 곳곳에서도 무한한 친환경 자원인 태양에너지를 통해 직접 전기를 자급자족하는 일상이 펼쳐질 것"이라며 "국가적 이슈인 탄소중립 실현과 에너지 안보 강화에 크게 기여할 성과"라고 강조했다.

KERI의 연구 결과는 우수성을 인정받아 영국 왕립화학회(RSC)가 발간하는 에너지 분야 과학저널 '지속가능 에너지와 연료(Sustainable Energy & Fuels)' 표지논문으로 게재되는 등 총 5개 학술지에 게재됐다.

KERI는 미래 모빌리티인 무인수송기(드론)에도 가볍고 효율적인 태양광 모듈을 적용하는 등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태양광 발전의 활용 범위를 넓혀간다는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hjm@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