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정원은 ‘땅에 쓰는 시’ … 國現 학술행사 ‘정영선 현상’ 짚어 [김선미의 시크릿가든]
김선미 기자 2024. 7. 10. 03: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조경 50년사를 대표하는 정영선 조경가(83)는 불과 지난해까지만 해도 일반 대중에게는 낯선 이름이었다.
마지막으로 무대에 오른 정영선 조경가는 "우리 국토는 하나님이 만드신 정원인데, 요즘 각 지방자치단체가 산꼭대기까지 계단을 만들며 훼손하고 있는 걸 보면 눈물이 난다"며 "이번 전시와 학술행사가 자연을 바르게 사랑하도록 도왔으면 한다"고 말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구 돌보고 우리 것 존중… 감동
자연 보살피는 것이란 뜻 새겨야”
정 조경가 “국토, 하늘이 만든 정원… 지자체가 훼손하는 걸 보면 눈물”
한국 조경 50년사를 대표하는 정영선 조경가(83)는 불과 지난해까지만 해도 일반 대중에게는 낯선 이름이었다. 이제는 다르다. 올 4월 국립현대미술관이 사상 처음으로 조경가의 역대 작업을 조망하는 전시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9월 22일까지 열리는 ‘정영선: 이 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 전시에는 요즘 하루 1200명 넘게 찾는다. 그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땅에 쓰는 시’도 개봉 3개월 만에 2만 명 넘는 관객이 관람했다. 국내의 친숙한 공간들이 ‘정영선 표 조경’으로 완성됐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졌다.
3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학술행사 ‘정영선이 만든 땅을 읽다’는 ‘정영선 현상’을 짚어 볼 수 있는 자리였다.
김아연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교수는 “정영선의 작업이 푸른 유산으로 남을 것인가 혹은 대한민국 조경 1세대의 예외적 사례로 기억될 것인가는 다음 세대의 실천에 달렸다”고 주장했다. 아무도 주목하지 않던 우리 자생식물들로 ‘눈물겹게 아름다운 풍경’을 만든 정영선과 달리 요즘 세대는 인스타그램을 겨냥한 풍경 만들기에 취해 있는 건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현재 전국적인 정원 조성 사업에는 우리 땅에 대한 철학과 지구에 대한 위기의식이 빠져 있는 것 같다”며 “돌봄의 단어가 돼야 할 정원이 행정 단어로 변해 전 국토가 정원 테마파크로 변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후배 조경가들은 ‘정영선의 정신’을 이어받아 발전시키자는 발표를 했다. 박승진 디자인스튜디오 로사이 소장은 “미국 뉴욕 원다르마센터를 설계하러 함께 현장에 갔을 때 땅이 워낙 좋아 거의 건드리지 않고 길만 냈다”며 “풍경으로서의 땅 자체를 보존하는 것은 굉장한 결단이었다”고 평했다.
조용준 CA 소장은 정제된 분위기의 선유도공원, 백규리 현대엔지니어링 건축조경팀 매니저는 대청마루와 숲속을 연상시키는 용산 아모레퍼시픽 사옥을 예로 들며 조경의 가치를 강조했다. 이호영 HLD 소장은 “‘정원은 자연을 보살피는 것’이라는 정영선 조경가의 뜻을 새겨 우리 생태를 치열하게 지켜 내야겠다”고 말했다.
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자연 보살피는 것이란 뜻 새겨야”
정 조경가 “국토, 하늘이 만든 정원… 지자체가 훼손하는 걸 보면 눈물”
한국 조경 50년사를 대표하는 정영선 조경가(83)는 불과 지난해까지만 해도 일반 대중에게는 낯선 이름이었다. 이제는 다르다. 올 4월 국립현대미술관이 사상 처음으로 조경가의 역대 작업을 조망하는 전시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9월 22일까지 열리는 ‘정영선: 이 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 전시에는 요즘 하루 1200명 넘게 찾는다. 그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땅에 쓰는 시’도 개봉 3개월 만에 2만 명 넘는 관객이 관람했다. 국내의 친숙한 공간들이 ‘정영선 표 조경’으로 완성됐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졌다.
3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학술행사 ‘정영선이 만든 땅을 읽다’는 ‘정영선 현상’을 짚어 볼 수 있는 자리였다.
조경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시대정신을 품는 정영선의 서사는 기후 위기의 지구를 돌보고 우리 것을 존중한다는 점에서 공감을 넘어 감동을 준다”고 말했다.
배정한 서울대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정영선의 조경 세계를 세 개의 변곡점으로 설명했다. 첫째는 서울 아시아선수촌아파트와 아시아공원(1986년)이다. 1973년 시작된 서울대 환경대학원 조경학과 제1호 졸업생인 그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 조경 설계 교본을 제시했다. 둘째는 그의 전성기를 연 경기 용인 호암미술관 희원(熙園·1997년)이다. 주변과 관계를 맺는 경관 경험을 극대화하면서 정원을 조경의 영역으로 다시 불러냈다. 마지막으로 선유도공원(2002년)은 폐정수장 흔적을 살려내면서 한국 조경 설계의 패러다임을 바꿨다. 배 교수는 “정영선의 작업이 ‘땅에 쓰는 시’가 된 것은 감상적 낭만이 아니라 땅을 읽어내고 연결시키는 태도에 있고, 그 태도가 경관을 이뤄냈다”고 평했다.
김아연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교수는 “정영선의 작업이 푸른 유산으로 남을 것인가 혹은 대한민국 조경 1세대의 예외적 사례로 기억될 것인가는 다음 세대의 실천에 달렸다”고 주장했다. 아무도 주목하지 않던 우리 자생식물들로 ‘눈물겹게 아름다운 풍경’을 만든 정영선과 달리 요즘 세대는 인스타그램을 겨냥한 풍경 만들기에 취해 있는 건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현재 전국적인 정원 조성 사업에는 우리 땅에 대한 철학과 지구에 대한 위기의식이 빠져 있는 것 같다”며 “돌봄의 단어가 돼야 할 정원이 행정 단어로 변해 전 국토가 정원 테마파크로 변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후배 조경가들은 ‘정영선의 정신’을 이어받아 발전시키자는 발표를 했다. 박승진 디자인스튜디오 로사이 소장은 “미국 뉴욕 원다르마센터를 설계하러 함께 현장에 갔을 때 땅이 워낙 좋아 거의 건드리지 않고 길만 냈다”며 “풍경으로서의 땅 자체를 보존하는 것은 굉장한 결단이었다”고 평했다.
전은정 조경포레 소장은 “정영선 조경가는 늘 협업에 포용적이었기 때문에 경계를 넘나드는 성과가 나온 것 같다”고 했다.
조용준 CA 소장은 정제된 분위기의 선유도공원, 백규리 현대엔지니어링 건축조경팀 매니저는 대청마루와 숲속을 연상시키는 용산 아모레퍼시픽 사옥을 예로 들며 조경의 가치를 강조했다. 이호영 HLD 소장은 “‘정원은 자연을 보살피는 것’이라는 정영선 조경가의 뜻을 새겨 우리 생태를 치열하게 지켜 내야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무대에 오른 정영선 조경가는 “우리 국토는 하나님이 만드신 정원인데, 요즘 각 지방자치단체가 산꼭대기까지 계단을 만들며 훼손하고 있는 걸 보면 눈물이 난다”며 “이번 전시와 학술행사가 자연을 바르게 사랑하도록 도왔으면 한다”고 말했다. 함께 대담한 조 교수는 “한국의 불안정한 조건을 정영선 조경가가 개인 기량으로 돌파해 왔지만 미래 세대를 위해 이젠 법과 제도 개선이 뒷받침돼야 할 것”이라며 마무리했다.
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金여사 문자’만 남은 與 전대
- [송평인 칼럼]검사 탄핵서 드러난 ‘이재명 유일 체제’의 봉건성
- 尹, 美인태사령부 방문… 핵우산 보고 받는다
- 野, 법사위 ‘尹탄핵 청원 청문회’에 김건희 모녀 증인 채택
- [단독]공수처 “도이치 공범, ‘VIP 통해 임성근 구명’ 자랑” 지인 진술 확보
- 美공화 정강에 “동맹국, 공동방어 투자의무” 명시
- 앉거나 누워 있다가 일어날 때 눈 앞이 깜깜하다
- [단독]中 비밀경찰서 의혹 ‘동방명주’ 오너 횡령혐의 檢송치
- “피가 모자라”… 뜨는 33조 시장, 인공혈액 개발 전쟁
- “디올백, 알선수재 여지” 일부 의견… 권익위 “처벌규정 없어” 종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