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소심한 타전

기자 2024. 7. 9. 20:3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비디오방’에 처음 간 것은 대학에 입학한 해의 봄이었다. 공강 시간에 동기 남자아이가 “포켓볼을 가르쳐줄까?” 묻길래 그것 말고 후문에 있는 비디오방이란 데에 가보고 싶다 답했다. 보고 싶은 영화를 고르라길래 헐렁한 원피스에 중절모 쓴, 포스터 속 갈래머리 소녀가 인상적이던 <연인>을 택했다. ‘무삭제판’이라고 빨간 글씨로 쓰여 있는 게 좀 걸렸으나 무슨 무슨 영화제에서 상을 받았다길래 호기심이 일었다. 친구의 표정이 안 좋아진 걸 무시한 채 “이거 볼래” 고집부렸다.

불편한 침묵 속에 두 시간을 보내고 나오던 중 친구가 조용히 일렀다. 앞으론 남자 동기와 단둘이 비디오방에 가지 말라고, 여긴 연인 아닌 이성 친구와 올 만한 곳이 아닌 듯하다고 말이다. 불가피한 경우라면 이렇듯 선정적인 장면이 나오는 영화 말고 무난한 로맨틱 코미디 장르를 고르라고 충고했다. 그 조언에 아랑곳하지 않고 난 그해 여름방학 내내 비디오방에 갔다. 외고 중국어과를 졸업한 다른 동기와 <패왕별희>를 본 것이 계기였다. 그때껏 홍콩영화라 하면 이소룡이나 성룡이 무술 연마하는 장면들만 떠올렸던, 영화적 감동이라곤 <쉰들러 리스트>나 <쇼생크 탈출>의 교훈적 감동 외엔 몰랐던 열아홉의 내게 <패왕별희>는 문화적 충격이었다. 이런 결의 감수성이 존재한다는 게 경이로웠다. 그렇게 왕가위의 전작들을 찾아보고, 켄 로치의 <랜드 앤 프리덤>이나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올리브 나무 사이로> 등 그 무렵 대학가에 돌던 작품을 닥치는 대로 섭렵했다.

두 계절이 지나 겨울이 왔다. 기말시험을 마칠 무렵, 당시 유행하던 ‘시디 굽는’ 방법을 친구에게 배웠다. 음원 구매 후 자유롭게 배열하여 자신만의 음반을 꾸밀 수 있다고 했다. 한 장 만들어 얼마 후 생일을 맞을 선배에게 선물하고 싶었다. 이 노래 뒤엔 뭘 넣으면 좋을까. 분위기로 봐서 이 연주곡은 맨 뒤에 넣어야 할까. 음반 제작자처럼 고심했다. 곡과 곡 사이 10초 간격을 맞추고자 초시계만 들여다봤다. 난 말을 재미나게 못하니 이 음악이 내 혀 대신 나에 대해 말해줬으면 했다. 곡명은 까만 글자로, 가수 이름은 파란 글자로 또박또박 적었다. 선배는 “고마워, 잘 들을게” 답했다.

한 주쯤 지났을까. 함께 밥을 먹으며 음악 좋았냐고 물었더니 듣다 졸려서 잤단다. 어찌나 서럽던지 돈가스 먹다 말고 울었다. 주인아저씨가 가져다주신 후식 커피도 마시지 않은 채 우린 식당을 나섰다. 당시 모교 후문 사거리엔 레코드 가게가 하나 있었다. 거기로 날 데려간 그는 김동률의 솔로 음반을 사줬다. 표지엔 길게 야윈 김동률이 뿔테안경을 쓰고 있었던가. 계속 미안했던지 며칠 후 눈이 오던 날 그가 영화를 보자고 했다. 영화관 가는 줄 알고 신나서 버스정류장으로 걸음을 착 떼었지만, 우리가 간 곳은 비디오방이었다. 로맨틱 코미디를 고르라던 동기의 조언이 떠올랐으나 이번에도 어떤 영화제 수상작이라던 <그린 파파야 향기>를 집어 들었다. 영화 속 시간이 흘러 성장한 여주인공은 청소 도중 집주인의 여자친구가 벗어둔 아름다운 옷을 몰래 몸에 대어본다. 주인이 그 모습을 우연히 본다. 젊은 음악가인 그는 여주인공에게 글을 가르쳐준다. 한 글자 한 글자 짚으며.

옆이 조용했다. 고개 돌려보니 선배는 고단한 얼굴로 잠들어 있었다.

로맨틱 코미디라면 아기자기한 에피소드가 이어졌겠지. 하지만 저 이야기는 저기서 끝난다. 로맨스 같은 건 없었다. 주인공이 나였으니까. 유사한 시행착오를 몇번 거친 후엔 음악이나 소설을 누군가에게 선물로 불쑥 내밀거나 보고픈 영화를 함께 보자고 청하는 걸 그만두었다. 대신 좋았던 작품에 대해 적었다. 그 글이 언젠가 가 닿길 바라며. 평론가 아닌 나 같은 사람한테 어쩌면 글쓰기란, 나눠 듣고 나눠 보고 나눠 읽고 싶은 바람의 소심한 타전 아닐지 싶다.

이소영 제주대 사회교육과 교수

이소영 제주대 사회교육과 교수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