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트경기장 재개발 갈등, 대책은?

노준철 2024. 7. 9. 19:2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부산] [앵커]

수영만 요트경기장 재개발 문제 취재한 노준철 기자와 좀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노 기자, 이해 당사자들이 요트경기장 재개발의 필요성은 인정은 하는데, 갈등이 사그라지지 않고 확산하는 이유가 뭡니까?

[기자]

네, 참, 역설적입니다.

수영만 요트경기장이 1986년에 지었으니까, 거의 40년 다 됐거든요?

그만큼 시설이 오래되고 낡았습니다.

요트·마리나 활성화를 위해서는 재개발이 절실합니다.

요트업계 종사자 모두 재개발 필요성에 공감하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세계적으로도 그렇지만 코로나19 이후 부산 요트·마리나 관광이 회복세입니다.

하필 이 시점에 요트경기장이 재개발 공사에 들어가면 부산 관광을 이끄는 거점 중의 하나가 폐쇄되는 셈입니다.

한창 장사가 잘 되는데 폐쇄하려는 거니까 재개발 시기가 달갑지 않은 겁니다.

[앵커]

재개발 착공이 두 달 정도 밖엔 안남았는데, 요트 530여 척을 일시에 다 뺄 수는 있을까요?

[기자]

네,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요트경기장 폐쇄 시점을 올 연말까지로 연기할 가능성도 조심스레 점쳐지고 있습니다.

요트경기장 현황을 보면, 요트 530여 척 중 100여 척 즉, 전체의 20% 정도가 버려졌거나 무단 점유한 배입니다.

급한 대로 부산시는 우선, 이들 요트부터 철거·행정대집행을 벌이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선주·사업자가 자발적으로 요트를 빼도록 유도하기로 했습니다.

[앵커]

요트도 요트지만, 요트업계 종사자도 일터를 잃는 거 아니겠습니까?

[기자]

네, 맞습니다.

요트경기장 재개발 갈등의 핵심은 사실상, '영업권'입니다.

요트·마리나 업계는 요트경기장의 구획을 2개로 나눠 순차적으로 공사해달라, 공사 기간에도 최대한 영업할 수 있게 해달라, 또 재개발이 끝나면 계류장 재입주, 그러니까 선석 배정의 우선권을 달라고 요청하고 있습니다.

알게 모르게 선석 확보에 들어간 권리금도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씩, 상당하거든요?

권리금을 보전해주거나 앞으로 영업권을 보장해달라는 건데, 부산시와 아이파크마리나가 어느 정도 받아들일지, 미지수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재개발 이후 요트경기장이 해양 관광, 마리나 사업 육성이란 당초 취지를 살릴 수 있을까요?

[기자]

앞서 보신것처럼 국내 최대, 세계적인 요트·마리나가 아니라 또 다른 먹거리 명소가 되지 않을까, 이런 걱정도 있습니다.

사업 변경안을 보면, 기존 계획보다 상가 면적이 3배 가까이 늘었는데 중앙 노른자 땅 대다수가 상가입니다.

해운대 동백섬에 가 보면 대형 음식점이 들어서 있죠?

원래, 요트 클럽이라는 걸 잘 모르는 분이 많으실 겁니다.

이 같은 시설이 수영만 요트경기장 육상에도 길게 늘어서는 거로 계획돼 있습니다.

정작 요트 계류장 수용 규모는 기존 계획 628척에서 567척으로, 선석 출입구 '레일 게이트'도 8개에서 6개로 줄었습니다.

요트경기장 재개발의 본래 취지를 살릴 수 있을지, 우려가 나옵니다.

[앵커]

아무튼, 만드려면 잘 만들어야겠죠.

세계적으로 요트가 커지는데 규모는 적절할까요?

[기자]

사실, 규모도 좀 아쉽습니다.

현 수영만 요트경기장은 국내 최대 규모입니다.

도심 한가운데 위치한 요트·마리나 관광 최적지이기도 합니다.

일부 해양·항만 전문가들은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까 세계적 요트 대형화 추세에 맞게, 수영만 요트경기장을 인근 어항, 우동항 부두와 합쳐 우리나라의 대표 요트·마리나 시설로 통합 개발하길 권고합니다.

우동항이 지방 항만이라 부산시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조언합니다.

물론 민간 땅을 사들여야 하고 방파제를 확장해야 해서 쉽지 않은 과제겠지만, 미래를 내다봐야 한다는 뜻입니다.

20개월이라는 짧은 공사 기간, 확장성 없이 쪼그라든 계류장, 민간자본에 30년을 맡기게 될 운영권, 재개발이 끝나더라도 여러모로 아쉬움을 남길 대목입니다.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노준철 기자 (argos@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