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해훈의 고전 속 이 문장] <387> 맨드라미꽃을 시로 읊은 17세기 문사, 서계 박세당

조해훈 시인·고전인문학자 2024. 7. 9. 18: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울타리 쪽의 뜰에 어둠이 밝아지려 하면(籬畔庭陰乍欲明·이반정음작욕명) / 시향에서는 응당 다시 닭 이름을 불렀으리라.

위 시는 수탉 볏과 닮은 맨드라미를 비유와 은유를 통해 그려낸 작품이다.

수련의 '시향'은 중국 하남성 언사현(偃師縣) 서남쪽 신채진(新蔡鎭)에 있던 마을이다.

저녁에 날이 갠 햇살 속에 꼿꼿하게 선 맨드라미의 늠름한 모습을 보라고 시인은 지적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놈끼리 겨루어도 두 발톱 거만하게 세우지 않고

- 鬪雄未信矜雙踞·투웅미신긍쌍거

울타리 쪽의 뜰에 어둠이 밝아지려 하면(籬畔庭陰乍欲明·이반정음작욕명) / 시향에서는 응당 다시 닭 이름을 불렀으리라.(尸鄕應復擬呼名·시향응부치호명) / 수놈끼리 겨루어도 두 발톱 거만하게 세우지 않고(鬪雄未信矜雙踞·투웅미신긍쌍거)/ 꿈에서 깨면 오히려 한바탕 울음소리 보내오리라.(破夢還疑送一聲·파몽환의송일성)/ 학 머리에 있는 붉은 점과 많이 비슷하고(鶴頂點丹繁得似·학정점단번득사)/ 소쩍새가 토한 핏자국과 조금 견줄 만하구나.(鵑魂染血淺能爭·견혼염혈천능쟁)/ 봉선화와 양귀비는 질투를 그만두고(鳳仙鶯粟休相妬·봉선앵속휴상투)/ 저녁에 날 개었을 때 꼿꼿하게 선 모습 보게나.(看取亭亭立晩晴·간취정정립만청)

위 시는 박세당(朴世堂·1629~1703)의 ‘맨드라미꽃’(鷄冠花·계관화)으로, 그의 문집인 ‘서계집(西溪集)’ 권4에 들어있다.

위 시는 수탉 볏과 닮은 맨드라미를 비유와 은유를 통해 그려낸 작품이다. 맨드라미를 계관화라고 하는 이유는 그 때문이다. 칠언율시이므로 1행과 2행을 수련이라고 한다. 수련의 ‘시향’은 중국 하남성 언사현(偃師縣) 서남쪽 신채진(新蔡鎭)에 있던 마을이다. 이곳에서 축계옹(祝鷄翁)이 1000여 마리 닭을 기르며 각기 이름을 붙여 주었다. 그가 닭의 이름을 부르면 그 말을 알아듣고 다가왔다고 한다.

맨드라미는 실제 닭과는 달리 서로 힘을 겨뤄도 발톱을 세우지 않는다. 또한 새벽에 잠에서 깨면 한바탕 울음소리를 보낼 듯하다. 붉은 빛깔은 학 머리 붉은 점과 비슷하고 피 토하며 우는 소쩍새의 핏자국과 견줄 만하다고 맨드라미의 속성을 잘 묘사한다. 7행·8행의 미련에서는 봉선화 양귀비가 붉은색을 자랑하지만 맨드라미에 상대가 안 되니 질투를 멈추라고 한다. 저녁에 날이 갠 햇살 속에 꼿꼿하게 선 맨드라미의 늠름한 모습을 보라고 시인은 지적한다.

예전에는 이맘때 어느 시골이든 길가에 맨드라미가 붉게 피어 있었다. 요즘에는 그 흔하던 맨드라미를 거의 볼 수 없다. 어릴 때 필자가 살던 집 마당에 맨드라미가 피면 신기해 만져보던 기억이 있다. 목압서사 돌담 아래 맨드라미가 있었는데 보이질 않는다. 다만 마당 화분에 심은 맨드라미가 꽃을 피운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