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식품 고도화 연구 시급…전문기관 설립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산과 경남지역 수산업체와 부산시 유관기관 학계 등이 최근 손잡고 '블루푸드 테크' 산업 육성(국제신문 지난달 18일 자 13면 보도)에 나섰다.
8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의 '블루푸드테크 전문기관의 도입 필요성에 대한 연구' 보고서를 보면 블루푸드 테크(Bluefood Tech)는 수산식품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미래 수산식품산업의 기술 고도화 및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신기술을 접목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개념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정부 출연기관 등 2가지 제안
- 농축산 대비 대응 역량 역부족
- “해수부, 산업발전방안 수립을”
부산과 경남지역 수산업체와 부산시 유관기관 학계 등이 최근 손잡고 ‘블루푸드 테크’ 산업 육성(국제신문 지난달 18일 자 13면 보도)에 나섰다. 하지만 관련 업계의 영세성과 경직성 등으로 변화가 쉽지 않아 상호 연관된 기능 기술 역량 등을 집적하기 위해 ‘블루푸드테크 전문기관’ 설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의 ‘블루푸드테크 전문기관의 도입 필요성에 대한 연구’ 보고서를 보면 블루푸드 테크(Bluefood Tech)는 수산식품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미래 수산식품산업의 기술 고도화 및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신기술을 접목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고객의 취향과 건강 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식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동물성 단백질을 대체해 환경 지속가능성에 기여할 수 있는 식품들도 바이오기술(BT)과 접목해 새롭게 개발하는 식이다.
농산물과 축산물 분야는 농림축산식품부 푸드테크정책과를 중심으로 농촌진흥원 산하 4개 과학원 기업 대학 등이 참여하는 ‘푸드테크산업 발전협의회’를 구성하는 등 이런 움직임이 활발하다. 그러나 수산업은 이런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여전히 생산자 중심 정책이 많아 식품산업 전 분야에 대응하기에는 역량이 부족한 상태다. 식품산업과 소비자의 니즈는 고도화되는데 반해 국내 수산업 경쟁력은 정체된 상태로 두 산업 간 괴리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수산식품개발 분야의 정책 운영전담 조직은 해양수산부 수산정책실 수산정책관 내 수출가공진흥과로 수산식품 영양 분석, 인증, 수산가공식품 연구 및 개발 등을 담당한다. 관련 연구는 국립수산과학원이 일부 맡고 있으나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 보고서는 ‘수산 분야가 푸드테크 관련 정책 기반이나 연구 인프라 등이 미흡해 종합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우선 해수부 내 ‘수산식품과’를 신설하고 블루푸드테크 전문기관 설립을 위한 관련 법 및 제도 정비를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블루푸드테크 전문기관은 ▷기능식 및 간편식 등 미래 먹거리 기술 개발 ▷첨단 가공 및 유통 혁신 기술 개발 ▷소비 및 시장 인프라 조성 기술 개발 ▷폐기 및 재활용 기술 개발 ▷관련 산업 생태계 육성 등 5가지 주요 기능을 갖춰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형태는 정부 출연 연구기관이나 조사연구형 책임운영기관 등 2가지로 제안했다
해수부는 또 농식품부가 발표한 ‘푸드테크 산업 발전 방안’처럼 ‘블루푸드테크 산업 발전 방안’을 수립해 체계적으로 관련 산업을 관리 및 육성하되, 특화될 수 있는 정책과제들을 도출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조언했다.
부산시는 최근 국내 핵심 관계기관과 지·산·학 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블루푸드 테크 육성을 위한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착수했다. 시는 또 해수부에 블루푸드테크 전문기관 설립을 요청한 상태다. 시 수산진흥과 관계자는 “서구 암남동에 조성 추진 중인 수산식품산업 클러스터에 블루푸드 테크 전문기관을 유치하면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