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슬며시 오른 연회비, 고물가 부추긴다

dt금융부기자 2024. 7. 8. 18: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 각종 콘텐츠 플랫폼들이 연회비를 올린데 이어 국민 쇼핑 플랫폼으로 불리는 쿠팡도 월회비를 58% 인상한다.

카드사들도 가성비 높은 '혜자카드'를 잇따라 단종하면서 서민들의 팍팍한 살림살이를 압박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OTT시장뿐만 아니라 국내 카드사들도 소비자 혜택이 좋은 이른바 '혜자카드'를 잇따라 단종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쿠팡, 월회비 58% 내달 인상
카드사 '혜자카드' 잇단 단종
OTT 구독료도 우회 인상
"폭등 견제 장치 필요" 지적도
쿠팡 로고. [연합뉴스]
[연합뉴스]

최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 각종 콘텐츠 플랫폼들이 연회비를 올린데 이어 국민 쇼핑 플랫폼으로 불리는 쿠팡도 월회비를 58% 인상한다. 카드사들도 가성비 높은 '혜자카드'를 잇따라 단종하면서 서민들의 팍팍한 살림살이를 압박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쿠팡은 기존 유료 회원의 멤버십 월회비를 4990원에서 다음달 7890원으로 올린다고 8일 밝혔다. 와우멤버십 신규 회원 월회비는 이미 지난 4월 13일부터 기존 4900원에서 58% 오른 7890원으로 올린 상태다. 쿠팡은 이메일과 팝업 공지, 고객 게시판 등을 통해 와우회원들에게 요금 변경 사실을 알리고 있다.

쿠팡 와우멤버십 회원은 지난해 말 기준 1400만명에 달한다. 탈퇴자가 없다고 가정할 경우 이번 와우멤버십 회비 인상으로 쿠팡의 멤버십 수입은 연간 8388억원에서 1조3260억원으로 약 1.6배 늘어난다.

쿠팡에 앞서 넷플릭스와 유튜브도 지난해 말 구독료를 대폭 올렸다. 유튜브는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료를 월 1만450원에서 1만4900원으로 42.6% 인상했다. 넷플릭스는 광고 없이 콘텐츠를 시청하는 멤버십 요금제 중 가장 저렴한 베이직 요금제의 신규 가입을 막으며 사실상 구독료 인상을 단행했다.

다른 국내 토종 OTT들도 가격구조에 변화를 주면서 인상효과를 얻고 있다. 티빙은 올해 초 광고형 요금제를 출시하며 멤버십을 다양화했다. 지난 5월에는 연간 구독권 가격을 기존 대비 20% 올렸다.

정부는 OTT 사업자의 잇따른 구독료 인상에 제동을 걸기도 했다. 주무부처인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3월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 유튜브, 티빙 등 OTT 4개 사업자를 대상으로 사실조사에 착수했다.

OTT시장뿐만 아니라 국내 카드사들도 소비자 혜택이 좋은 이른바 '혜자카드'를 잇따라 단종하고 있다. 8개 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하나·우리·BC카드)가 지난해 단종한 신용·체크카드는 총 458종이다. 단종 카드 수가 116종이었던 2022년 대비 3.9배 늘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부가서비스 축소를 하는 게 어려우니 카드사 입장에선 수익성이 크지 않은 카드는 단종하는 추세다"며 "가맹점수수료 인하가 지속되면서 알짜카드는 이제 찾아보기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치솟는 콘텐츠 물가, 카드사들의 잇따른 혜자카드 러시에 소비자들의 주머니 사정이 더욱 팍팍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실제 고금리 여파로 내수가 부진한 가운데 지출은 늘고 소득이 줄어들며 가계 주머니 사정이 악화된 것으로 집계됐다.

최수진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방송위원회 위원(국민의힘)은 "대다수의 국민이 쓰는 거대 플랫폼이 갑자기 구독료를 10~20%도 아니고 40~50% 올리는 것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회피하는 행태"라면서 "생활에 어려움이 많은 서민들을 위해 짐을 나눠 져야 할 기업들이 사회를 외면하면 결국 그 부메랑이 기업으로 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 의원은 이어 "일상생활에서 플랫폼 구독료는 통신요금과 다를 바 없는 성격을 띤다. 기업이 자발적으로 책임 있는 정책을 펴야겠지만, 이를 회피한다면 일방적이고 과도한 인상에 대해 견제하는 장치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형연·김수연·전혜인기자

jhy@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