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 개봉 한 달 반만 지나면 넷플에 뜨는데…“‘홀드백’ 재정립 필요”

김은형 기자 2024. 7. 8. 1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 팬데믹 전에는 9~12개월 가량 유지되던 에스밧(SVOD∙에스브이오디)의 홀드백이 2020년 이후 극장 개봉 뒤 6주로 당겨졌습니다. 관객들 사이에서는 한 달만 기다리면 되는데 티켓값도 비싼 극장에 왜 가느냐는 이야기가 나오고 제작·배급사의 수익도 급감했습니다." 8일 오후 제28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가 열리고 있는 부천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세미나실에서는 오티티(OTT)의 시장 확산 이후 무너진 홀드백 시스템의 재정립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주요 상업영화들이 개봉 한달 반 뒤면 넷플릭스 등 오티티에서 방영되며 극장 수익뿐 아니라 아이피티브이 등 다른 상영 플랫폼 수익도 줄어들고 이는 제작사와 투자배급사의 부가판권 수익도 축소되는 결과를 가져와 영화산업 생태계 전체의 위축을 낳는다는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8일 오후 부천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세미나실에서 홀드백과 스크린독과점 영화산업포럼에서 토론자들이 이야기를 하고 있다. 김윤미 한국영화제작가협회 이사, 고영재 인디플러그 대표, 이봉우 스모모 대표, 이화배 이화배컴퍼니 대표, 김선아 여성영화인모임 대표, 이동하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대표 최낙용 시네마6411 대표(왼쪽부터). 김은형 기자

“코로나 팬데믹 전에는 9~12개월 가량 유지되던 에스밧(SVOD∙에스브이오디)의 홀드백이 2020년 이후 극장 개봉 뒤 6주로 당겨졌습니다. 관객들 사이에서는 한 달만 기다리면 되는데 티켓값도 비싼 극장에 왜 가느냐는 이야기가 나오고 제작·배급사의 수익도 급감했습니다.”

8일 오후 제28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가 열리고 있는 부천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세미나실에서는 오티티(OTT)의 시장 확산 이후 무너진 홀드백 시스템의 재정립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에스브이오디는 구독 주문형비디오(Subscription Video On Demand)의 약자이고, 홀드백은 개봉영화가 극장에서 아이피티브이(IPTV), 케이블 티브이, 지상파, 오티티까지 다양한 상영 플랫폼에서 각각 공개될 때까지 걸리는 기간을 의미한다.

이날 발제에 나선 배급사 이화배 이화배컴퍼니 대표는 “극장 개봉 뒤 단건으로 브이오디를 서비스하는 아이피티브이(IPTV)의 지난해 이용건수는 2012년 첫 집계를 한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면서 “아이피티브이는 영화관 종영 직후 1만1000원으로 시작해 시간이 지날수록 구매가격을 낮추는데 팬데믹 이후 판매 요금이 7700원선일 때 오티티에서 영화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오티티에서 영화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아이피티브이 산업 규모가 20% 이상 줄었다”고 지적했다. 주요 상업영화들이 개봉 한달 반 뒤면 넷플릭스 등 오티티에서 방영되며 극장 수익뿐 아니라 아이피티브이 등 다른 상영 플랫폼 수익도 줄어들고 이는 제작사와 투자배급사의 부가판권 수익도 축소되는 결과를 가져와 영화산업 생태계 전체의 위축을 낳는다는 것이다.

외국도 팬데믹 이후 영화 산업이 위축되면서 홀드백이 줄어들기도 했지만 프랑스의 경우 팬데믹 이전 3년에서 디즈니플러스 17개월, 넷플릭스 15개월로 당겨진 정도다. 미국은 팬데믹 기간 ‘매트릭스4’ 등 일부 작품이 오티티 서비스와 극장 개봉을 동시에 하면서 극장 주가가 폭락하기도 했지만 평균적으로 3개월의 홀드백이 지켜지고 있다.

한국은 홀드백을 재정립하기 위해 지난해 9월부터 영화계와 영화진흥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가 논의를 시작해 문체부가 운영하는 영화 제작 관련 모태펀드에 홀드백 규정을 넣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지난 달 최종적으로 폐기됐다. 주요 배급사들의 이해관계가 달라 의견 조율을 이루지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일부 메이저 배급사들은 “법제화가 쉽지 않은 상태에서 홀드백 제한은 실효성이 떨어진다”, “배급사의 자유로운 영업활동을 제한하고 극장에만 이득이 돌아간다”는 논리로 홀드백 연장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이다.

이날 토론에 참여한 이동하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대표는 “다양한 창구가 있어야 소비방식도 세분화 되고 궁극적으로는 영화계의 파이를 더 키우는 방향으로 갈 수 있다”면서 “중간 규모 이상 영화의 경우 거시적이고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서둘러 홀드백 정립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원승환 인디스페이스 관장은 “홀드백이 필요하다는 주장에는 이를 통해 가장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전제가 있는데 이 전제에 대한 신뢰가 약하기 때문에 논의가 진척되지 않는 측면이 있다”면서 “어떻게 하면 배급사들이 홀드백에 대한 신뢰를 가질 수 있을지에 논의와 함께 법제화나 협약 등을 추진하는데 있어 필요한 법적 제약이나 부당 경쟁, 담합 요소의 측면도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은형 선임기자 dmsgud@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