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DX코리아' 늑장 후원…산으로 가는 지상방산전시회
뒷짐지고 있던 국방부, 뒤늦게 후원 승인 결정
세 달도 안남은 시점에 방산업체들 갈팡질팡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둘로 쪼개진 국내 지상무기 중심 방위산업전시회에 국방부가 뒤늦게 모두 후원을 하기로 결정했다. 그간 뒷짐지고 있다가 행사 개최 세 달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 등떠밀려 후원 승인을 결정한 모양새다. 국방부의 이번 결정으로 육군본부와 방위사업청 역시 후원 승인이 예상된다.
최근까지는 우선 후원 승인을 얻은 육군협회 중심의 ‘대한민국 국제 방위산업 전시회’(KADEX)로 일원화 되는 분위기였다. 전시 부스를 꾸려야 하는 방산업체들 입장에선 혼란스럽기만 하다.
제6회 대한민국방위산업전(이하 DX KOREA) 조직위원회는 8일 국방부의 후원 승인 결정 관련 “합리적인 결정을 존중한다”면서 “방위사업청과 육군본부의 후원 승인도 빠른 시일 내에 이뤄지길 요청한다”고 밝혔다. DX KOREA는 9월 25~28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DX KOREA 조직위는 “대한민국 방위산업 발전과 방산기업 입장에서 전시회를 기획하고 육군 등 군부대의 부담을 최소화 할 것”이라며 “그동안 국방부·방사청·육군의 후원명칭 사용승인 이슈로 방산기업들이 참가를 주저했는데, 적극적인 참가신청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지상무기방산전시회는 육군 예비역 비영리 단체인 육군협회와 민간 전시기획사인 디펜스엑스포(IDK)가 2014년부터 함께 열어 온 DX KOREA이 모체다. 육군협회가 주최, IDK가 주관사였다.
하지만 횟수를 거듭할 수록 행사가 커지고 해외 바이어들의 관심도 고조되면서 이른바 ‘파이’가 커졌다. 이 때문에 주최측인 육군협회와 주관사인 IDK 사이에 입장료와 부스 임대료 등의 수익 배분을 두고 갈등이 빚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2022년 제5회 행사 때부터 양측 간 불협화음이 본격화 됐고, IDK가 단독으로 ‘DX KOREA’에 대한 상표권을 등록하면서 소송으로 비화했다.
이에 육군협회는 메쎄이상을 새로운 주관사로 선정하고 ‘DX KOREA’라는 행사명을 사용하지 못하게 돼 KADEX(Korea Army International Defense Industry Exhibition)라는 이름으로 지상무기전시회를 개최키로 했다. 육군협회 역시 당초 올해 KADEX를 9월 25~29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군 당국의 후원 승인을 받지 못한 IDK는 DX KOREA를 강행키로 하고, 날짜를 기존 9월 4~7일에서 25~28일로 변경해 킨텍스에 먼저 예약을 했다. KADEX가 새로운 장소를 물색하다 육·해·공군 3군 본부가 있는 계룡대 활주로로 행사 장소를 결정한 배경이다.
비슷한 전시회, 9월 말~10월 초 일주일 간격 개최
이에 차라리 국방부가 양측 모두 후원 승인을 해 업체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까지 나왔다. 하지만 DX KOREA 역시 후원 승인 요청을 했지만 국방부는 정확한 이유없이 거부했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올해 2월 기자간담회에서 “지상방산전시회 주최는 그간 육군협회에서 해 왔고, 육군협회가 대행사를 정하는 문제”라면서 “국방부는 변함없이 육군협회 주최하는 행사를 후원하는 것”이라고 했다. 국방부 눈치를 보던 육군본부와 방사청이 KADEX 손을 들어준 배경이다.
그러는 사이 KADEX로 상당 기업들이 부스 참가를 신청했다. 야외인 계룡대 활주로에 전시관을 만들려면 수십억원의 비용이 더 들어가고, 천막돔으로 설치된 전시관 내부에서 방산기업 임직원과 전시 장비들이 불편한 환경을 인내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KADEX 개최 일정은 10월 2~6일이다. 개천절과 토·일요일 등 휴일이 3일이나 돼 산업 전시회 역사상 유례가 없는 일정이다. 그런데도 업체 입장에선 무기체계 획득 당국인 국방부 등의 승인을 얻은 행사에 나갈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제와서 국방부가 DX KOREA 행사까지 후원하기로 했다. 비슷한 시기에 열리는 까닭에 전시회에 부스를 설치하는 방산업체들의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게다가 두 행사 전후로 K-방산 주요 마케팅 지역인 폴란드·호주·필리핀·미국 등에서 대규모 전시회가 열린다. 여기도 가야 하는 방산기업들은 난감한 상황이 됐다.
김관용 (kky144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3억→8억’ 세종아파트 가격 반토막난 이유
- “저길 어떻게 올라가”…‘지옥의 오르막길’ 버스 노선 폐지에 반발
- "한국 망신"...필리핀 여친 임신하자 잠적한 남성 추적했더니
- "10억 껑충, 난리도 아냐" 서울 아파트 월세도 고공행진…급상승 이유
- “8시간 동안 육회 150번 주문”…돌변한 단골의 '주문 테러'
- YS 만나려던 김일성 사망…배후엔 아들 김정일?[그해 오늘]
- 제주 입항 앞두고 '연락두절' 대만발 요트…8시간 만에 무사 확인
- "곱창집서 소 생간 먹었는데"...수원서 '야토병' 의심 사례
- "지금 사도 안 늦어?"..삼성전자, 10만전자 갈까
- '팬텀싱어2' 성악가 조민웅, 사망 비보 뒤늦게 전해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