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해상풍력 파운드리' 갖춘 유일한 국가

오현우 2024. 7. 7. 17: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은 후판부터 터빈까지 해상풍력 가치사슬(밸류체인)의 단계별 공정에 글로벌 수준의 기업을 보유한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다.

글로벌해상풍력연합(GOWA)에 국가 단위로 가입함으로써 '원팀'을 이루면 수출길이 한층 넓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해상풍력 시장이 확대되면서 중형급 터빈 수요도 늘어날 전망이다.

해상풍력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동맹을 통해 물밑에서 국가 단위로 풍력발전을 수주한다면 원팀을 이룬 한국이 가격 경쟁력에서 앞설 것"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해상풍력 기업 체급 커져
두산·SK·LS전선 등 '원팀' 통해
국가 단위로 대형사업 수주 가능

한국은 후판부터 터빈까지 해상풍력 가치사슬(밸류체인)의 단계별 공정에 글로벌 수준의 기업을 보유한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다. 글로벌해상풍력연합(GOWA)에 국가 단위로 가입함으로써 ‘원팀’을 이루면 수출길이 한층 넓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국내 해상풍력 생태계가 반도체 시장의 파운드리(수탁생산)와 비슷한 방식으로 성장 중이라고 분석한다. 유럽과 미국에서 설계와 금융을 맡고 핵심 제작은 한국에 맡기는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는 얘기다. 서방 선진국이 에너지 분야에서 탈중국을 선언하면서 한국 업체를 향한 해외의 러브콜이 쏟아지고 있다.

풍력발전기와 육지를 잇는 해저 케이블을 제조하는 LS전선이 대표적 사례다. 올 들어 대만에서 1100억원 규모 해상풍력용 케이블 계약을 따냈고 지난달엔 벨기에에서 2821억원어치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지난 2일에도 미국에서 1000억원 규모 계약을 했다. 올해 1분기 LS전선의 전선 수주액은 7조1787억원에 달했다.

SK에코플랜트는 자회사인 SK오션플랜트와 손잡고 해상풍력발전단지에 들어가는 기자재 밸류체인을 구축했다. SK오션플랜트가 하부 구조물인 재킷을 제작하고 SK에코플랜트는 해상 변전소를 짓는 식이다. SK오션플랜트는 국내 협력업체 24곳과 해상풍력연합체를 구성하기도 했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는 “유럽과 북미 시장에서 수요가 폭증할 것에 대비해 ‘야드’를 확보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3사도 해상풍력 훈풍을 타고 특수선 생산 능력을 확대하고 있다. 해상풍력발전기 용량이 기당 10㎿급으로 커지면서 대형 해상풍력발전설치선(WTIV) 수요도 덩달아 늘었다. 터빈, 풍력발전 타워 등을 나르고 크레인을 장착해 발전소를 설치하는 데 쓰이는 선박이다. 발전타워업체 씨에스윈드도 영국에 생산기지를 짓고 있다. 씨에스윈드는 올해 1분기에만 해외에서 7200억원어치가량의 타워 물량을 수주했다.

중견·중소기업으로 낙수 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KMC해운은 해상풍력 전용 예인선을 운영하는 덴마크 에스바그트(ESVAGT)와 합작사를 설립해 글로벌 시장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세아제강지주 영국법인인 세아윈드는 세계 최대 풍력발전사업 개발사인 오스테드로부터 하부 구조물(모노파일)을 수주했다. 이를 위해 영국에 모노파일 생산 기지를 착공했고 올해 말 완공된다.

다만 국내 풍력터빈 기술은 덴마크 등 해외 경쟁사에 밀린다는 평가다. 두산에너빌리티가 8㎿급 풍력터빈을 독자 개발했지만 베스타스(15㎿), 지멘스가메사(15㎿)에 비해 작은 규모다. 해상풍력 시장이 확대되면서 중형급 터빈 수요도 늘어날 전망이다. 해상풍력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동맹을 통해 물밑에서 국가 단위로 풍력발전을 수주한다면 원팀을 이룬 한국이 가격 경쟁력에서 앞설 것”이라고 말했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