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과 희망고문…위작품을 손절하지 못하는 심리

조명계 미술시장 분석 전문가(전 소더비 아시아 부사장) 2024. 7. 6. 1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끝까지 진품이라 믿은 트럼프, 위작을 손절한 카다시안

(시사저널=조명계 미술시장 분석 전문가(전 소더비 아시아 부사장))

트럼프타워 펜트하우스에는 1881년에 르누아르가 그린 유화 《Two Sisters(On the Terrace)》가 걸려 있다. 이 작품은 2005년 위작이라는 폭로가 나왔다. 논란을 제공한 사람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전기를 작성했던 작가 티모시 오브라이언이다.

트럼프 자택에 르누아르의 《두 자매, 테라스에서 Two Sisters (On the Terrace)》 작품이 흐릿하게 걸려 있다. 당시 트럼프는 마이크 펜스 부통령 후보 지명 후 인터뷰를 진행했다. ⓒ조명계 제공

소유한 작품이 위작임을 알았을 때

그는 자신이 저술한 《TrumpNation》을 통해 위작 의혹을 제기했다. 오브라이언에 따르면, 10년 전 트럼프는 자신의 전용기에서 해당 작품을 보여주며 자랑했다고 한다. 이후 이 작품은 트럼프타워로 옮겨졌고, 2016년 7월 트럼프가 대선 러닝메이트 마이크 펜스와 함께 진행한 인터뷰 배경에 등장하기도 했다.

당시 오브라이언은 트럼프에게 "이 작품은 르누아르 원작이 아니다. 나는 시카고에서 자라서 이 작품에 대해 잘 안다. 원작은 현재 시카고 미술관에 걸려 있다"고 말했다. 그러자 트럼프는 "내가 갖고 있는 작품이 진짜다"고 반박, 동의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1933년 애니 스완 코번은 《Two Sisters (On the Terrace)》 작품을 인상파 전문 거상인 폴 듀랑-루엘로부터 10만 달러에 구입했다. 폴 듀랑-루엘은 1881년 르누아르에게서 직접 구입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해당 작품을 소장한 주체는 듀랑-루엘, 코번, 시카고 미술관 셋 말곤 없다. 그런데도 트럼프는 자신이 진품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트럼프의 주장에 따른다면, 이 작품을 보유하고 있는 시카고 미술관은 위작을 갖고 있는 셈이다.

필자는 이 작품의 가치를 따져봤을 때, 7000만 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한다. 트럼프가 소장한 작품의 가치는 얼마일까. 한 감정가에 따르면, 약 100달러 정도로 내다보고 있다. 현재 이베이(ebay)에선 동류의 작품이 300달러 정도에 판매되고 있다. 만약 특수 인쇄 혹은 복제 유화 버전이라면 1000달러 정도로 본다.

일각에선 트럼프가 가지고 있는 작품은 위작 전문가 톰 키팅이 제작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젊은 화가 시절 미술계에서 외면당했던 키팅은 딜러의 권유로 옛 거장들의 작품을 복원하는 일에 손을 댔다. 키팅은 가끔씩 작품에 장식을 더하기도 했는데, 이때 르누아르 《Two Sisters(On the Terrace)》의 위작을 제작했을 수도 있다.

유명 셀럽인 '킴 카다시안'이 소장하고 있는 모딜리아니 작품의 진위 문제도 공개적인 리얼리티쇼에서 검증된 적이 있다. 카다시안의 동생 코트니가 남자친구인 스콧 디식의 부모님으로부터 발견한 작품이다. 모딜리아니 작품의 특징인 '목이 길고, 아몬드 모양의 어두운 눈을 가진 여성과 남성의 우울한 초상'이라는 특징이 모두 담겨 있다. 이 작품을 본 코트니는 진품일 가능성이 높다고 믿었다. 이 작품이 1억 달러에 달할 수 있다고 장담했다.

하지만 작품의 안료 화학 분석 결과, 이 작품은 1930년대에 제작된 작품이었다. 작품 제작에 사용된 티타늄 백색 안료도 1924년 발명된 것으로 밝혀졌다. 1920년 사망한 모딜리아니가 사용할 수 없었던 안료이므로, 해당 작품도 위작으로 판명됐다. 

2015년 크리스티 경매에서 1억7400만 달러에 낙찰돼 역대 가장 비싼 미술품이 된 모딜리아니의 작품 《누워있는 나부》의 경우도 위조품이 다수 유통되고 있다. 미술시장에 1000여 점 넘는 위작이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르누아르의 《두 자매, 테라스에서Two Sisters (On the Terrace)》 ⓒ조명계 제공
전문건설회관에 걸린 피카소의 《피리 부는 소년》 ⓒ조명계 제공

위작을 만들고 소유하는 심리적 배경

5년 전, 작품을 살펴보기 위해 지인의 사무실을 방문했다. 필자가 작품을 봤을 때 위작이 확실했지만, "잘 모르겠다"며 얼버무리고 나왔다. 5년이 지난 지금도 그가 애지중지하고 있다는 얘기를 전해 들었다. 그의 머릿속은 '호당 2억원 넘는 이 작품을 어떻게 손절하나' 하는 생각으로 꽉 차 있었을 것이다. 엉뚱한 자신감에 차 있는 그의 성격에 비추어볼 때, 끝까지 진품으로 믿고 소장할 가능성이 컸다.

리히텐슈타인의 《행복한 눈물》 ⓒ조명계 제공

고가의 반 고흐 작품을 살 돈은 없지만, 적은 비용으로 동일한 미적 경험을 원하는 사람들의 수요가 꽤 많다. 큰돈이 오가는 미술품 거래에서 수십억원이나 하는 원작은 아예 무시하고, 미대생이 유화로 그려 팔았던 5만원짜리 《행복한 눈물》이 불티나게 팔렸던 일이 이를 방증한다. 실력 있는 위조범은 기존 시스템에 반항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위작 제작에 매력을 느낀다고도 한다.

이러한 심리적 현상들이 있지만 위작품의 세계는 사실 초라하고 음탕하며 낭만적이지 않다. 소장 작품의 위작 판별에 대해 트럼프는 부인했고, 카다시안은 수용했다. 그 차이를 보고 나니 왠지 손절한 카다시안이 더 거룩해 보인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