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무슨 끔찍한 냄새” 코 찌르는 악취…어쩌나? [지구, 뭐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속도로를 지나다 보면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악취, 많은 경우 가축분뇨에서 비롯된 냄새다.
가축분뇨는 냄새만 고약한 게 아니다.
가축분뇨를 처리할 때, 또 가축이 장 내에서 음식을 소화할 때에 나오는 메탄가스는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20배 넘게 큰 것으로 알려졌다.
가축분뇨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주소현 기자] “이게 무슨 냄새야? 창문 닫자”
고속도로를 지나다 보면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악취, 많은 경우 가축분뇨에서 비롯된 냄새다. 가축분뇨는 냄새만 고약한 게 아니다. 하천의 수질을 오염시키는 건 물론 가축분뇨에서 나오는 메탄 가스는 지구 온도를 높이는 강력한 온실 효과를 일으킨다. 이에 퇴비나 연료로 재활용하려는 시도도 이어지고 있다.
이미 나온 가축분뇨를 처리하는 데 골몰하는 것보다 간단한 해결책이 있다. 육류 섭취를 조금 줄이는 거다. 고기 반찬을 띄엄띄엄 먹는 것만으로도 환경오염과 기후변화를 늦추는 데 효과가 크다는 게 환경단체들의 제안이다.
축산환경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나온 가축분뇨는 5087만1000t으로 추정된다. 73% 가량은 돼지와 소의 분뇨다. 돼지분뇨가 1967만9000t(39%), 한우와 육우 분뇨가 1751만1000t(34%)를 차지했다. 이중 약 85%는 퇴비나 액체비료가 된다.
문제는 이 퇴비들이 악취와 수질오염의 주 원인이라는 점이다. 사용하려 쌓아둔 퇴비들이 빗물에 씻겨 내려가면 녹조의 원인이 된다. 녹조가 생태계를 파괴하는 건 물론, 수돗물의 질에도 타격을 입힌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이 지난해 6~9월 낙동강에 영향을 미치는 가축분뇨처리시설 등 67곳을 점검했더니, 25곳에서 배출 허용기준 초과하거나 새로운 오염물질이 검출됐다.
가축분뇨는 지구를 덥히는 직접적인 원인이기도 하다. 가축분뇨를 처리할 때, 또 가축이 장 내에서 음식을 소화할 때에 나오는 메탄가스는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20배 넘게 큰 것으로 알려졌다. 열을 잘 흡수해 지구 대기에 열을 가두기 때문이다.
이에 가축에 기후변화의 책임을 물겠다는 시도도 나타났다. 2030년부터 가축 1마리 당 1년에 약 15만원(100유로)의 ‘가축탄소세’를 걷겠다는 덴마크다. 축산농가의 반발에도 이같은 강력한 규제를 내놓는 건, 전세계의 탄소 배출량 중 30%가 가축을 키우고 분뇨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나와서다.
우리 정부도 가축분뇨 관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우선 가축분뇨로 만든 퇴비의 수출을 추진 중이다. 가축분뇨로 퇴비를 잔뜩 만들어도 농지가 줄면서 이를 다 소화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 연료로 재활용도 꾀하고 있다. 그동안 비교적 돼지 똥에서 나오는 가스를 사용했다면, 지난달에는 소똥에 톱밥 등을 섞어 고체 연료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가축분뇨가 석탄을 대체해 전기를 만드는 연료가 되는 셈이다.
재활용만으로 가축분뇨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순 없다. 가축분뇨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연간 5000만t 가량 가축분뇨가 발생하고 있지만 약 20년 전만 해도 가축분뇨 발생량은 4000만t 수준이었다. 2006년 가축분뇨 발생량은 4025만5000t, 1990대 말로 거슬러 올라가면 약 3500만t까지 줄어든다.
가축분뇨는 당연히 가축의 수에 비례한다. 즉 육류 소비가 늘어날수록 하천이 오염되고 날씨가 더워진다는 이야기다.
모든 사람들이 고기를 끊기는 어렵겠지만, 조금만 덜 먹는 것 정도로도 충분히 기후변화를 늦출 수 있다. 영국 옥스포드 대학 연구진에 따르면 매일 100g의 고기를 먹을 경우 약 10.3㎏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가장 엄격한 채식주의를 할 경우 하루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약 2.5㎏다.
고기를 아예 끊는 선택지만 있는 건 아니다. 고기를 하루에 50g 정도 먹으면 이산화탄소가 5.4㎏ 정도 나온다고 한다. 고기를 적게 먹는 만큼, 온실가스가 줄어든다.
연구를 이끈 피터 스카버러 옥스퍼드대 교수는 “비건 채식뿐 아니라 저육식이 육식을 많이 하는 식단보다 훨씬 더 낫다”며 “우리가 소비하는 육류의 양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addressh@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허웅 전 여친 “애 낳자고 하더라, 짜증” 새 녹취록 공개
- [단독]‘급발진 의심 사망사고’ 70대 운전자 1심 무죄
- 손흥민 조기축구 소식에 ‘X미친 인파’ 드론 뜨고 경찰도 떴다
- [영상] ‘뉴진스’부터 ‘신꾸’까지...너도나도 크록스 열풍 [어! 그거]
- 현빈·손예진 부부 사는 '아치울 마을'은 어디?…가수 박진영도 거주
- “무려 29살 연하 女배우와 커플?” 스캔들…‘환상의 호흡’ 남녀는 사랑인지, 우정인지[이원율
- “벙○○야?” 손웅정 축구교실, 경기 中 욕설 어느 정도였길래
- “통째로 나올 줄 몰라 당황” 조민 ‘이 음식’ 비주얼에 놀랐다
- “급발진했다” 주장한 60대 택시운전자, 실제 영상 보니…가속페달만 7차례 밟았다 [여車저車]
- “브레이크 안 밟았네” 40만원짜리 ‘빼박’ 증거…뭐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