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례길 벌어진 강간 살인...끔찍한 비극 막으려 ‘이것’ 시작됐다는데[히코노미]
[히코노미-1] 낯선 곳을 여행할 때 설렘과 두려움이 함께 싹을 틔우기 마련입니다. 새로운 풍경을 눈에 담을 수 있다는 기쁨과, 이방인들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두려움이 교차합니다. 누군가 나를 공격할까봐, 돈을 빼앗아갈까봐 신경은 늘 곤두서 있습니다. 여행자 누구나 옷깃을 여미고 주변을 경계합니다.
1000년 전, 중세 유럽에서도 상황은 비슷했습니다. 성지 ‘예루살렘’으로 떠나는 여행자들은 신의 흔적을 볼 수 있다는 경외감과 함께 먼 여로에서의 안전을 우려합니다. 수 없이 많은 사람들이 성지 순례길에서 돈을 빼앗기고 비참하게 객사를 맞았지요. 진리를 찾는 길은 예나 지금이나 험난하기 그지 없었습니다.
성지를 되찾겠다는 일념 하에 모인 기독교 국가들이 ‘십자군’이라는 이름으로 연합했습니다. 첫 출전만에 승리를 거두고 예루살렘을 이슬람 세력으로부터 되찾았지요. 1099년의 일이었습니다. 이제 지중해에 면한 서아시아의 주요 성지들이 모두 기독교인의 손에 떨어지지요.
순례는 그러나 쉬운 여정은 아니었습니다. 유럽에서 서아시아까지 가는 길은 멀고도 험했습니다. 오늘날처럼 대중교통이 있는 상황도 아니었기에 그야말로 산 넘고 물 건너 또 다시 산을 넘어야 하는 지난한 과정. 마을을 벗어나면 치안은 공백상태였지요.
언제 어디서든 강도를 만나 돈과 생명을 빼앗길 수 있었습니다. 순례자 수백명이 한꺼번에 죽임을 당한 사건도 비일비재했습니다. 강도·강간·살인은 순례객을 계속 위협합니다.
순례객을 보호하겠다는 사람들이 의연히 일어납니다. 프랑스 기사 ‘위그 드 파옌’이었습니다. 1119년 그는 예루살렘의 기독교 왕 볼드윈2세를 찾아갑니다. 순례객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직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성스러운 그들의 뜻에 볼드윈2세가 동감을 표시합니다. ‘성전 기사단’의 시작이었습니다. 볼드윈 2세가 정복한 예루살렘의 모스크를 기사단의 본부로 선뜻 내어줬지요.
자기 전 재산을 기부하겠다는 부족들, 기사단에 합류하겠다는 귀족들이 넘쳐납니다. ‘청빈’은 기사단이 태동할 때 내세운 지고의 가치였지만, 조직에는 이미 돈이 넘쳐 흐르기 시작합니다.
1139년 교황 인노첸시오 2세는 성전 기사단을 공인합니다. 기사단은 앞으로 교황의 권위 아래 모든 기독교 국가 국경을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고, 세금을 낼 의무도 면제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성전 기사단’은 이제 모든 기사단의 이상향으로 자리합니다. 프랑스, 잉글랜드, 포르투갈, 이탈리아를 비롯해 유럽 전역에 기사단 본부가 설치된 배경입니다.
당대 순례객들은 성지까지 가는 먼 거리까지 실물 화폐를 가지고 다니기를 꺼렸습니다. 강도 혹은 이교도들에 의해 모두 빼앗길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기사단은 순례객의 우려를 십분 이해하고 있었습니다. 여기서 하나의 ‘서비스’를 만들어냅니다. 지점별 ‘입출금 시스템’입니다.
오늘날 여행자들이 현금대신 신용·체크카드를 들고 다니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경제학자들은 오늘날 ‘수표’가 그 때 처음 태동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종교와 금융은 서로 배척되는 개념같지만, 역사적으로 둘은 서로를 동력으로 삼아 발전합니다. 기사단의 사례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신도들로부터 ‘예금’만 받는 것에서 유럽의 주요 국가에 대규모 대출을 실행하는 서비스까지 나아갔지요. 순례지의 현지 화폐로 바꿔주는 환전 업무를 담당한 것도 기사단이었습니다.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세워진 기독교 왕국인 ‘라틴제국’의 황제 보두엥2세 역시 예수가 못박힌 십자가를 담보삼아 기사단에게 급전을 빌리기도 했습니다. 기사단이 유럽의 주요국가들의 대부업자로서 ‘활약’(?)하고 있었던 셈입니다.
양모, 목재, 올리브유 뿐만 아니라 노예까지 거래했다는 기록이 전해집니다. 이렇게 모은 돈으로 지중해 동부 ‘키프로스’ 섬을 사들이기도 했었지요. 지금도 유럽 곳곳에 남아있는 ‘성전 교회(Temple Chruch)’는 모두 옛 기사단이 소유했던 건물입니다.
십자군으로서는 치명적인 결과였지만, 기사단 조직은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그들이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가 유럽에서는 필수적으로 자리잡아서였습니다. 이들은 금융 노하우를 유럽의 왕들에게 공유해 세수 확보에 도움을 주기도 했습니다. 프랑스의 왕들은 성전 기사단의 재정 관리로 수입이 120%나 늘기도 했었지요.
지금이야 ‘디폴트’라는 이름으로 채무 불이행을 선언할 수 있다지만, 중세 유럽의 왕은 그보다 더 확실한 방법을 선호했습니다. 기사단을 이단으로 기소하고, 그 재산을 처분하는 일이었습니다. (참고기사 십자군 기사단의 몰락 )
기사단은 저항했지만, 결국 강력한 군사력을 자랑하는 왕에게 굴복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프랑스 성전 기사단의 재산은 모두 필리프4세의 수중으로 돌아갔지요.
비슷한 상황에 놓여있던 유럽의 군주들도 비슷한 조치를 강행합니다. 성전 기사단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배경입니다(유일하게 남은 조직은 포르투갈의 그리스도 기사단이었습니다).
기사단의 물리적인 모습은 사라졌지만 그들이 남긴 혁신은 민간으로 스며들었습니다. 십자군 전쟁 이후 동서양 무역의 핵심으로 거듭난 이탈리아 상인들에 의해서였습니다. 피렌체, 베니스 등의 도시는 이미 유럽 여러 나라에 핵심 거점을 마련하고 있었지요. 마치 기사단 네트워크처럼요.
ㅇ1099년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점령하면서 유럽 전역의 순례객이 폭증했다.
ㅇ객지로 떠난 순례객들은 강도, 살인, 강간에 수시로 노출됐다. 이를 지키고자 성전 기사단이 탄생했다.
ㅇ폭발적인 인기로 여러 지점을 운영한 기사단은 순례객이 출발지에서 맡긴 돈을 성지에서 찾을 수 있는 ‘인출’ 시스템을 만들기도 했다.
ㅇ오늘날 은행의 태동이었다.
<참고문헌>
ㅇ마이클 해그, 템플러-솔로몬의 성전에서 프리메이슨까지 성전기사단의 모든 것, 책과함께, 2015년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집단성폭행 당한 두 딸 극단 선택, 충격받은 아빠도 사망…가해자 공개 예고한 유튜버 - 매일경
- 또하나 밝혀진 ‘시청역 역주행車’ 진실…브레이크, 전자식 아닌 유압식 [왜몰랐을카] - 매일경
- 박중훈, 음주운전 이후 자숙 근황 “2~3년 조용히…후회되고 괴로웠다” - 매일경제
- “시청역 역주행 참사 전 ‘경고 신호’ 있었다” - 매일경제
- “막대로 휘젓다가, 깜빡하고 놓고왔는데”…아이스크림의 탄생에 이런 비밀이 [Books] - 매일경
- “내가 누군지 알아?”…지각해 비행기 놓치자 공항직원 폭행한 그리스 의원 - 매일경제
- 새벽 경계근무중 사망한 일병…육군, 선임 1명 모욕혐의로 경찰 이첩 - 매일경제
- “홀린듯 한곳에 시선이”…한눈에 ‘실종 아동’ 알아챈 손님 정체는? - 매일경제
- “술취한 검사가 화장실에 똥 발랐다”...루머 뿌린 이성윤, 고소당했다 - 매일경제
- ‘K-황소’ 황희찬, 마르세유가 ‘만장일치’ 원한다…프랑스 매체 “이적 쉽지 않지만 마르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