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옷 가격표 붙여놓는 플라스틱 가시 같은 거…근데 그거 뭐지? [그거사전]

홍성윤 기자(sobnet@mk.co.kr) 2024. 7. 6. 07: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거사전 - 25] 새 옷에 상표 등을 고정해주는 플라스틱 ‘그거’

“그거 있잖아, 그거.” 일상에서 흔히 접하지만 이름을 몰라 ‘그거’라고 부르는 사물의 이름과 역사를 소개합니다. 가장 하찮은 물건도 꽤나 떠들썩한 등장과, 야심찬 발명과, 당대를 풍미한 문화적 코드와, 간절한 필요에 의해 태어납니다. [그거사전]은 그 흔적을 따라가는 대체로 즐겁고, 가끔은 지적이고, 때론 유머러스한 여정을 지향합니다.
택핀의 출고 모습. 저렇게 붙어있는 형태로 택건에 장전해 사용한다.
명사. 1. 택핀 2. (美) 태깅 바브(tagging barb), 태깅건 파스너(tagging gun fastener)【예문】자고로 옷에서 택핀을 맨손으로 떼는 사람은 인정해줘야 한다.

택핀(tag pin)이다. 상표나 가격 등이 명시된 꼬리표(태그)를 옷이나 신발, 모자, 가방 등 천에 고정하는 용도다. 알파벳 대문자 I처럼 생긴 가는 플라스틱 막대 형태를 띠고 있다. 택총·택건이라고 하는 총처럼 생긴 도구를 이용해 손쉽고 빠르게 끼워 넣을 수 있다.
택건에 택핀을 장전한 모습. 멋있다고 생각했다면 정상이다. [사진 출처=alplas.com]
스티커 등과 달리 제품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가격 정보 등을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택핀의 존재가치는 무엇보다 ‘새것이라는 느낌’을 극대화한다는 점이다. 택핀이 붙어있는 옷은 일단 ‘새것’ 같다. 중고 거래에서도 택핀의 존재는 풀박·신동급·민트급 같은 중고장터 용어들 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어필 수단이다.

택핀을 패션과 스웩으로 승화시킨 사례도 있다. 서태지다. 서태지는 1992년 서태지와 아이들 1집 활동 당시 상표 태그를 떼지 않은 모자를 그대로 쓰고 나오는 ‘상표 패션’은 유행이 됐다. 후일 서태지는 자신이 유행시킨 상표 패션에 대해 “당시 미국 흑인들 사이에서 상표를 떼지 않고 옷을 입는다는 말을 듣고 따라 해본 것”이라며 “흑인 문화를 알리고 싶어서”라고 이유를 밝혔다.

스트리트 패션, 힙합 스타일 옷차림에서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 잡은 스냅백의 모자챙 스티커를 떼지 않고 그대로 쓰고 다니는 것도 ‘상표 패션’의 일종이다. 특히 모자 브랜드 뉴에라의 스냅백 모델 ‘59피프티’는 챙에 붙어있는 스티커, 바이저 스티커를 떼지 않는 것이 신성시되는 법칙이며 상대의 스티커를 떼는 행위는 선전포고나 다름없다. 모자 스티커에는 치수가 적혀 있는지라 ‘내 머리가 이렇게 크답니다’라고 자랑하는 셈인데 대체 왜 떼지 않고 다니기 시작했는지에 대한 가설은 국내외에서 다양하다.

뉴에라의 대표 모델 59FIFTY. 미국 프로야구(MLB) 선수용 모자로 개발했다. 숫자 59의 의미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는 없다. 개발 당시 직물 롤의 이름에서 따왔다는 설, 카달로그 번호인 5950에서 나온 이름이라는 설 등이 있다. [사진 출처=뉴에라]
유력한 가설 중 첫 번째는 ‘절도 부심설’이다. 매장에서 모자를 사면 일반적으로 태그와 스티커 등을 모두 뗀 채로 받게 되는데, 할렘가에 살던 가난한 흑인들이 매장을 털어서 얻은 ‘스티커를 떼지 않은 모자’는 그 자체로 깡다구의 상징이 됐다. 그리고 이처럼 ‘훔친 모자임을 과시하는 패션’이 래퍼 등을 통해 ‘멋의 상징’으로 자리 잡게 됐다는 얘기다.

두 번째 가설은 ‘7일 이내 교환·환불설’이다. 돈은 없지만 패션을 포기할 수 없었던 빈민가의 흑인들이 모자를 산 뒤 하루 이틀만 쓰고 다시 매장에 들고 가서 다른 모자로 교환하거나 환불받기 위해 상표 태그와 스티커 등을 떼지 않은 채 쓰고 다닌 것에서 유래됐다는 분석이다.

세 번째 가설은 ‘지름 자랑설’이다. 1980~1990년대 힙합 뮤지션 사이에서는 막 구입한 따끈따끈한 신상을 자랑하는 ‘프레시&클린’ 문화가 유행했었는데, 상표 스티커를 떼지 않은 진품 스냅백 역시 자랑의 영역이었다는 것.

통통 튀는 행동경제학적 분석으로 명성을 크게 얻은 덴 애리얼리 듀크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역시 세 번째 가설에 힘을 보탠다. 그는 상표 태그를 떼지 않은 옷에 대해 “화려하기만 하고 쓸모없는 꽁지깃을 갖는 공작”에 비유하며 “가격표는 ‘난 이렇게 쩌는 물건을 가지고 있어. 게다가 새거라고!’라고 말하는 셈”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또 떼지 않은 상표 태그는 균형이나 표준에 저항하는 행위를 나타내기도 한다고 말했다. 랩, 힙합 문화의 기저에 흐르는 반(反)문화적 정서가 표출됐다는 것이다.

상표 패션은 흑인 스트리트 문화의 상징이다. 상표 태그를 떼지 않은 채 등장한 서태지의 패션은 랩 음악만큼이나 충격이었다. 미국 흑인 커뮤니티의 상표 패션=신상 자랑에 대한 집착을 꼬집는 키앤필 영상. 새 스냅백을 자랑하는 친구를 이기기 위해 비닐 포장 상태로 쓰거나 매장 전시대를 그대로 머리에 쓰고 나온다. [사진 출처=KBS·키앤필 유튜브]
다시 택핀으로 돌아가 보자. 개인적으로 운동화에 달린 택핀은 영 찜찜하다. 옷과는 달리 운동화의 경우 들어가는 택핀은 있는데 뒷편으로 나오는 택핀은 안 보인다. 가위로 잘라내면 남은 부분은 신발 속으로 들어가 사라진다. 어디로 가는 걸까. 신발 속 어디를 돌아다니고 있는 걸까. 한입 크게 베어 물고 보니 포장지 귀퉁이가 사라진 샌드위치를 들고 있는 심정이다.

택핀과 비슷하지만, 구멍을 뚫는 대신 단춧구멍 등에 꿴 뒤 고리 모양으로 고정하는 플라스틱 고리는 스트링핀 혹은 루프핀이라고 한다.

요게 바로 루프핀이다. [사진 출처=Guangzhou Sinfoo Plastic Co., Ltd.]
  • 다음 편 예고 : 인도에 줄줄이 설치된 철제 기둥 ‘그거’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