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의 기억] 그 동짓날 새벽의 얼굴
경주남산 골짜기 아래 있으며, ‘불골 석굴 여래좌상’이 정식 이름이다. 7세기경에 조성된 우리나라 석굴 사원의 시원(始元)이라 하니, 1400여 년 동안 오직 1400여 번 저리 환히 빛났으리라. 사진가 강운구가 1984년 동짓날인 12월 22일 새벽, 그 순간을 사진으로 붙잡았다. 문학평론가 김현이 ‘부처 얼굴이라기보다 숱한 역경 속에서 끈기 있게 버티어 온 할머니의 얼굴’이라고 한 그 얼굴이다.
강운구는 1980년대 초부터 여러 해 동안 골 깊고 능선 가파른 경주남산 곳곳을 발로 길을 내며 찾아다녔다. 감실부처 외에도 아침 해에 얼굴을 드러내는 동남산의 불상들을 찍기 위해서는 밤을 낮 삼고, 저녁 해에 환해지는 서남산의 불상들을 찍기 위해서는 산에서 밤들기를 기다렸다. 사진 속 꽃 피고 눈 쌓인 자연과의 조화까지 살피면, 사진가의 행보를 가늠하기 어렵다.
농담을 달리하며 아스라이 멀어지는 능선들을 뒤로 한 채 나무인양 바위인양 삼층석탑을 세운 용장골능선. 헌화인 듯 발치에 진달래꽃을 피운 삼릉골 관음보살입상, 바위에 상반신만 드러난 탑골의 승상은 미처 땅속에서 거두어 올리지 못한 장삼자락을 흙 위에 긴 빛 자락으로 드리우고 있다.
경주남산 석불과 석탑들의 공통적 특징이 자연과의 조화에서 오는 부드럽고 따듯한 친밀감이라 했으니, 한 장 한 장의 사진들이 그러한 경주남산의 특징들을 그득히도 담아내고 있다. 1987년에 처음 책으로 출판되었고, 2016년 전시와 흑백사진으로 선보였다. 한마디로 “누가 다시 경주남산을 이와 같이 찍을 수 있으랴”가 ‘강운구의 경주남산’에 대한 일관된 평이다. 이전에도 없던 사진이지만, 신라 이래 천년 세월보다 최근 십 수 년 새에 더 큰 변화를 맞고 있는 경주남산이고 보면 이후에도 다시없을 사진이다.
이렇게 남겨진 ‘강운구의 경주남산’은 강운구가 찍었으되 강운구의 것만도 아닌, ‘우리의 경주남산’이다.
박미경 류가헌 관장
Copyright © 중앙SUN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