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강명의 벽돌책] 밥상 크기 키우고 가난 줄인 경제학적 사고방식
경제 전문 저널리스트인 빈야민 애펠바움이 쓴 ‘경제학자의 시대’(부키)는 1950년대 미국 뉴욕 연방준비은행의 풍경으로 시작한다. 당시 연준 의장이었던 윌리엄 맥체스니 마틴은 경제학자가 아니었고, 경제학자를 얕잡아봤다. 경제학자들의 분석은 근거가 빈약하지만 쓸 만한 질문을 던질 때가 있기에 50명 고용했다는 식이었다. 그렇게 뽑힌 경제학자들은 지하에서 인간 계산기처럼 일했다. 연준 수뇌부에는 경제학자가 한 명도 없었다.
그러나 이후 반세기 동안 경제학은 금융과 재정을 넘어, 모든 정부 정책에 영향력을 발휘하는 학문이 되었다. 기업을 규제해야 하나? 실업자 수는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 징병제냐, 모병제냐? 사람들은 경제학자들에게 답을 물었다. 사실 경제학의 영향은 그 이상이었다. 책 중간에 나오는 한 판사의 고백처럼 경제학은 “객관성을 제공”하는 듯 보였고, 많은 이들이 그 ‘객관성’에 기반해 조직, 때로는 자기 삶의 중요한 결정을 내렸다. 그 결과 “점점 더 삶을 설명하는 틀이 종교도 아니고 법도 아니고 경제학이 되었다.” 경제학은 이제 인간 생명의 가치도 돈으로 환산해서 다른 가치들과 비교한다.
물론 이 과정은 단선적이지 않았으며, 주류 경제학자들이 “배금주의 만세!”를 외치며 똘똘 뭉쳤던 것도 아니었다. 각자의 방식으로 양심을 지닌 학자들이 오랜 시간 격론을 벌였고, 인플레이션처럼 그들의 응답을 요구하는 현실적인 난제도 있었다. 애펠바움은 752쪽에 걸쳐 이들의 일화와 논쟁을 펼쳐 보인다. 밀턴 프리드먼, 조지 스티글러, 앨런 그린스펀 등 스타 경제학자들과 로널드 레이건, 조지 W. 부시 등 미국 대통령들이 주요 등장인물이다.
경제학의 현재 위상에 비판적인 책이지만 경제학의 공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경제학적 사고방식은 적어도 밥상 전체의 크기를 키우는 데 성공했으며, 그 결과 비참한 가난이 세계 각국에서 많이 줄어들었다. 그러나 밥상 위에 놓인 밥그릇 크기는 극적으로 불평등해졌다. 저자는 책을 마무리하며 ‘새로운 지식 시장’을 세우자고 제안한다. 경제학자들이 바로 그 일을 해냈던 것 아닌가.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의료사고 심의위 만든다... 필수의료는 중과실만 처벌토록
- 韓총리 “67학번인데도 입시 기억 생생… 수험생 여러분 고생 많으셨다”
- IT회사까지 차려 4조원대 도박 사이트 운영한 일당 적발
- “수능 영어 1등급 비율... 작년 수능·9월 모평 사이로 예상”
- “마약 투약 자수” 김나정, 필로폰 양성 반응 나왔다
- “감사 전합니다”...총리실, 칠곡 할머니 래퍼들 부른 사연
- 도로석으로 쓴 돌덩이, 알고보니 현존 최고 ‘십계명 석판’
- “타인에 노출되는 것 두렵다”... 성인 5명 중 1명 심한 사회불안 느껴
- 직무대리 검사 ‘퇴정’ 논란…대검 “75년간 이어온 적법한 제도”
- 새 경북대 총장에 허영우 교수…“세계가 주목하는 ‘초일류 대학’ 만들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