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직이 돼야 사표 쓸 기회라도 생기지

한겨레21 2024. 7. 1. 07:1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지의 소리][한겨레21×한겨레교육 공동기획]
취업준비생이 바라는 ‘회사에 속하지 않아도 존엄한, 퇴사해도 비루하지 않은’ 사회

미지의 소리 다음 원고를 모집합니다

다음 주제 : 영혼까지 끌어모은 나만의 덕질 

분량 : 원고지 10장(2천 자) 안팎

마감 : 2024년 7월21일(일) 밤 12시

발표 : 제1524호

문의·접수 : leejw@ hanien.co.kr

※ 응모시 메일 제목은 [미지의 소리_이름]으로 기재 부탁드립니다.  

원고료: 당선작 1편 원고료 10만원, 한겨레교육 마일리지 10만 점

※ 마일리지는 한겨레교육 모든 강의에 사용 가능합니다.

※ 마일리지 사용기한: 적립일로부터 한 달 내 

지난 당선작 : 퇴사가 맥주보다 좋은 7가지 이유 

나는 퇴사한 적이 없다. 입사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도 퇴사자를 근거리에서 오랜 기간 관찰한 적은 있다. 그러니 할 수 있는 말은 많다. 퇴사는 미남 혹은 미녀가 입을 벌리니 충치가

코미디 프로그램 <에스엔엘 코리아>의 한 장면. 유튜브 갈무리

빽빽한 것과 비슷한 일이다. 외관과 내부의 괴리가 크기 때문이다. 현실의 퇴사는 미디어가 그리는 것처럼 낭만적이지 않다. 퇴사가 맥주보다 좋은 이유는 없다. 맥주가 퇴사보다 좋지도 않다. 퇴사와 맥주는 똑같다. ‘비루’(ビール·맥주)이기 때문이다. 퇴사는 비루하다.

‘퇴사=비루=C’ 공식

C는 기자이자 개발자였다. 어느 업계든 몸만 담으면 촉망받았고, 업계마다 몇 개의 크고 작은 성취를 남겼다. 그래도 한곳에서 멈추지 않고 계획했던 일을 이루기로 작정하고 밥벌이하던 곳을 무작정 떠났다. 지금 C는 홀로 낯선 곳에 터를 잡고, 자신이 가진 기술을 응용해 밥벌이를 한다. 그런데 첨단의 밥벌이 기술을 발휘해도 삶은 비루해지기만 한다. 쌀독은 오래전에 아작 났으며 아픈 곳이 많아진다. 병원에 가거나 쉴 수도 없다. 그 시간에 밑 빠진 쌀독을 한 되라도 더 채워야 하기에 그렇다.

라면 아닌 다른 것으로 요기해본 지도 오래다. 회사라는 안전망의 역할이 얼마나 컸으면 벗어나자마자 똑같은 기술로 밥벌이해도 삶의 존엄도가 이렇게 달라지는가. 이 비루한 현실 때문에 C는 자신의 작정이 문제였는지, 무작정이 문제였는지 요즘 혼란스럽다. 석 달 전 C와 함께 철야하고 퇴근하는 길, C가 내게 말했다. “한번 회사에 들어가면 절대로 나와선 안 돼. 절대로.”

C는 맥주를 즐겨 마신다. 퇴근길에 들른 국밥집에선 소주 한 병에 맥주 두 병을 시켜 말아 먹고, 쉬는 날 집에선 캔맥주 4개를 홀로 들이켠다. 일상적인 폭음에도 C의 몸무게는 꾸준히 줄어든다. 어쩌면 삶의 무게가 늘어나는 만큼 몸의 무게는 줄어드는 건지도 모른다. 돈은 없어도 술은 마셔야 한다는 그의 확고한 신념과 행동은 ‘퇴사=비루=C’ 공식을 증명한다.

나는 입사가 요원한 취업준비생이자 퇴사자의 비루함을 지켜본 목격자다. ‘퇴사가 맥주보다 좋은 이유 7가지’는 모르겠지만 비루함이 어떤 것인지 70가지는 얘기할 수 있다. 그래서 내게 입사는 소득 활동 개시, 부모로부터의 독립, 자아실현 계기 따위를 넘는 의미다. 내게 입사는 삶의 존엄에 관한 문제다. 나는 배고플 때 얼마든지 밥을 먹고 싶고, 추울 때는 옷을 입고 싶다. 집에서 잠자고, 아프면 병원에 갈 수 있는 삶의 존엄을 갖고 싶다. 입사를 못하거나 퇴사하면 이 모두를 이루기 어렵다. 회사에 속하지 않는 건 삶의 존엄을 내려놓는 일이다.

사직서를 제출한 그날 밤부터 아침까지 술을 먹고 춤춘다. 공백기 동안 세계를 여행하며 여유와 내적 충만함을 즐긴다. 미디어는 이렇게 퇴사를 유쾌한 해방으로 묘사하니, 입사도 못해본 나와 퇴사자 C는 환장할 노릇이다. 회사에 속하지 않더라도 모두가 저렇게 존엄할 수 있을까. 미디어의 해방운동가들은 방송사와 출판사라는 안전망을 벗어나본 적이 있을까. 그들의 상상과 대중의 환상을 조합한 공허함을 파는 건 아닐까. 그들의 밥벌이를 위해 사람들에게 비루함을 종용하는 것은 아닐까….

차라리 7시간 생중계 토론을 하라

나는 우리 사회가 퇴사해도 비루하지 않은 사회였으면 좋겠다. 퇴사가 맥주보다 좋은 이유 7개쯤은 거뜬히 나오는 사회 말이다. 그러니 해방운동가들이여, 제발 우리에게 퇴사를 부추기지 마라. C는 지쳤고 나도 지쳐간다. 대신 퇴사가 비루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얘기해달라. 7시간 생중계 토론을 하든, 7부작 기획보도를 하든, 회사에 속하지 않으면 얼마나 비루한지, 입사자는 어떻게 늘리고, 퇴사자는 어떻게 줄일지, 어떤 제도가 빈약하고, 무슨 제도를 만들어야 할지를 얘기해달라. 회사에 속하지 않은 자들의 존엄을 어떻게 보장할지 얘기해달라.

가닿지 않을 요구를 하고 노트북을 덮는다. 그리고 C에게 전화를 건다. “C, 이따가 맥주 한잔합시다.”

손현하 sonhyeonha@naver.com

선정하며 - 퇴사가 맥주보다 좋은 7가지 이유

‘엠제트(MZ) 세대 10명 중 3명이 입사 1년 내 퇴사’ ‘청년층 첫 직장 평균 근속 기간은 1년7개월’ ‘돈보다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중시하는 MZ’ ‘MZ의 조용한 퇴사에 기업들 비상’

몇 년째 흔히 보는 기사 제목들이다. 기성세대는 보통 이렇게 반응한다. “조직문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철부지들!” “참을성이 없는 세대야!” “평생직장이 얼마나 좋은 건지 몰라서 그래!” 이런 ‘꼰대’ 반응을 보는 MZ의 속마음은 따로 있다. 조직문화를 못 따라가는 게 아니라 아무것도 보장해주지 못하는 조직이 문제라고요. 참을성이 없는 게 아니라 버틸 목표가 없는 거라고요. 평생직장은 이미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않는 판타지거든요.

한국의 기성세대가 평생직장(종신고용) 로망을 가지게 된 건 일본의 영향이 크다. 그런데 일본의 평생직장 개념도 사실은 제2차세계대전을 겪으면서 군국주의가 구축한 업종별 독점구조 속에서 숙련노동자들이 이직할 수 없었던 환경이 만들어낸 역사적 산물이었다. 글로벌 스탠더드는 오히려 파괴적 혁신을 위한 잦은 이직이다. 실리콘밸리에서는 경쟁사로 이직하는 직원에 대해 소송할 수 없다. 팀 단위로 경쟁사로 도망가도 소송 금지다. “도망 안 가게 있을 때 더 잘해주지 그랬냐”는 태도다. MZ의 잦은 이직은 세계의 보편적 흐름에 부합한다.

4회차 ‘미지의 소리’ 선정작은 손현하씨의 글이다. 입사해본 적이 없어 퇴직 기분을 짐작조차 못하는 취업준비생은 일자리 위계서열에서 ‘을’도 아니고 ‘병’이나 ‘정’의 위치에 있다. 그에게 맥주와 퇴사를 비교하는 건 의미가 없다. 맥주는 ‘비루’(일본말)이고 퇴사는 ‘비루’하기 때문이다. 그에게 입사는 “삶의 존엄의 문제”이고, “회사에 속하지 않는 건 삶의 존엄을 내려놓는 일”이다. 그래서 그는 퇴사해도 비루하지 않은 사회를 꿈꾼다.

30대 중반에 7번의 퇴사 경험을 쌓으면서 깨달은 ‘퇴사가 맥주보다 좋은 7가지 이유’를 꼼꼼하고도 세세히 정리해준 김진환씨의 글은 이유가 바뀔 때마다 고개를 끄덕이면서 읽었다. 드라마제작사 기획피디로 일하다 업무 때문에 자기 자신을 돌보지 못하고 있음을 깨달은 순간 사표를 내게 된 경험을 담담히 털어놓은 이나연씨는 “맥주로는 불안정한 고용과 임금, 직장 내 악습이 해결될 리 만무하다”고 했다. 최하나씨, 김지수씨의 글도 인상적이었다.

김창석 한겨레엔 교육부문 대표·한겨레교육 미디어아카데미 강사

Copyright © 한겨레2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