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색의 정원] 보리커피, 나의 하루를 지켜줘

관리자 2024. 7. 1. 05: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나는 하루에 커피 3잔을 마셔왔다.

고민하던 나에게 지인이 권해준 것이 보리커피였다.

그런데도 나는 차츰 보리커피에 효용감을 느꼈다.

하지만 곧 머리를 써야 하는 노동의 멍에가 느슨해지면 먼 아열대지역에서 온 원두로 만든 커피 한잔도 전북 고창 보리나 제주 보리로 만든 정겨운 우리 커피로 갈음할 계획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나는 하루에 커피 3잔을 마셔왔다. 일어나자마자 2잔을 바로 마셨다. 그러지 않으면 아침부터 몸이 제대로 움직이지 않았다. 나는 내 일의 70%를 오전에 처리하는 ‘아침형 인간’이다. 그리고 점심을 먹고 한잔을 더 마셨다. 낮잠을 쫓고 나머지 일에 집중하기 위해서다.

커피를 하루 3잔 마신 것은 채 몇년 되지 않는다. 5년여 전 기자 때에는 오후와 밤에도 커피를 오전처럼 마셨다. 최소 하루에 5잔이었다. 중요한 원고작업이 있으면 자정이 지난 후에도 커피를 마셨다. 10잔 넘게 마시는 날도 적지 않았다. 집중력을 핑계로 한 카페인 중독이었다.

그런데 얼마 전부터 아침에 일어나서 커피 두잔을 잇따라 마시지 못한다. 속이 쓰린 것을 넘어 아예 목에서 탁 걸렸다. “왜 이런 독한 커피를 아직도 마시느냐”며 온몸이 거부했다. 나는 커피를 대체할 뭔가를 찾아야 했다. 녹차·홍차·보이차처럼 카페인이 함유된 차를 마셔봤지만 피드백은 커피만 못했다.

고민하던 나에게 지인이 권해준 것이 보리커피였다. 보리를 커피처럼 오래 로스팅해 커피맛을 낸 커피 대용 음료다. 처음에는 ‘과연 커피맛이 날까’라는 의심이 들었다. 마셔보니 보리커피는 색깔과 맛은 커피와 비슷했지만 뒷맛에서 곡물맛이 났다. 그런데도 나는 차츰 보리커피에 효용감을 느꼈다. 처음에는 카페인이 0%인데 보리커피가 커피 비슷한 향과 맛으로 커피를 대체한다는 것이 의아했다(물론 커피 가루를 10%가량 섞은 보리커피도 있다). 그런데 보리커피는 커피와 비슷하게 항산화물질과 폴리페놀이 풍부할 뿐 아니라 커피에 없는 식이섬유 등 보리 자체의 장점도 있다. 단순히 커피 비슷한 색깔의 음료를 마셔서 느꼈던 후광효과가 아니었던 셈이다.

안타깝지만 노화도 보리커피를 받아들이게 된 원인이었다. 나이가 들면 카페인 해독이 늦어진다. 카페인 섭취량이 절반가량 해독되는 반감기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보통 5시간 정도다. 하지만 50∼60대가 되면 이 반감기가 8시간쯤으로 늘어난다.

보리커피가 주는 정신적 만족감도 커피를 대체하는 주요한 계기가 됐다. 보리커피는 친환경적이다. 커피가 원두에서 한잔의 음료가 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양은 보리커피의 최소 10배 이상이다. 한 연구 결과를 보면 커피 원두 18g으로 내린 아메리카노의 탄소발자국은 0.28㎏이다. 0.3㎏의 탄소발자국은 100장의 종이를 사용한 탄소발생량과 비슷하다. 거기다 보리커피는 유기농 국산보리를 쓴 제품이 많다. 보리커피를 마시는 건 내 몸뿐 아니라 지역 농업과 지구 환경에도 좋은 것이다.

물론 나는 여전히 아침에 아라비카 원두로 내린 커피 한잔을 마신다. 하지만 곧 머리를 써야 하는 노동의 멍에가 느슨해지면 먼 아열대지역에서 온 원두로 만든 커피 한잔도 전북 고창 보리나 제주 보리로 만든 정겨운 우리 커피로 갈음할 계획이다.

권은중 음식칼럼니스트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