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TV ②린스 ③김치…2023년 역대 최대 수출 기록 상품은? [뉴스+]

이진경 2024. 6. 30. 06: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공통점 없는 듯한 이들의 정체는 무엇일까.

정답은 지난해 역대 최대 수출 실적을 기록한 상품들이라는 점이다.

29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의 '소비자 수출 동향 분석- 수출 상위 9대 품목 중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소비자 수출은 992억달러(약 136조8000억원)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이 중 18개 항목이 지난해 역대 최대 수출실적을 나타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고차, 린스, 시계, 과일…….

공통점 없는 듯한 이들의 정체는 무엇일까. 정답은 지난해 역대 최대 수출 실적을 기록한 상품들이라는 점이다.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뉴시스
화장품이나 라면, 등 K제품이 해외 시장에서 인기라는 소식은 많이 알려졌지만, 찾아보면 지난해 좋은 수출 성과를 낸 제품이 적지 않다. 

29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의 ‘소비자 수출 동향 분석- 수출 상위 9대 품목 중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소비자 수출은 992억달러(약 136조8000억원)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전년 대비 15.5% 증가한 수치다. 

세부 분류를 보면 △자동차 △화장품 △가전제품 △내구성 생활용품 △가죽·고무제품 및 신발류 △조제식료품 △수산물 △의류 △농산물 9개 분류, 101개 항목이 있다. 이 중 18개 항목이 지난해 역대 최대 수출실적을 나타냈다. 

자동차에서는 전기자동차 수출이 143억3800만달러로 전년 대비 75.4% 증가했다. 
사진=뉴스1
우리나라 중고차 수출도 늘었다. 중고 가솔린 승용차와 중고 디젤 승용차 수출이 각각 25억3000만달러, 17억1300만달러로, 역대 최고치였다.

전체 화장품 수출은 전년 대비 6.1% 증가한 50억8000만달러였다. 

화장품 중에서도 특히 색조화장품 수출이 12억700만달러로 최대 수출실적을 기록했다. 향수 및 화장수와 린스도 자체 최대 수출액 기록이다. 향수 및 화장수는 3억달러, 린스는 1900만달러를 수출했다. 불경기에 비교적 저렴한 제품 소비가 증가하는 ‘립스틱효과’가 영향을 미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내구성 생활용품 중 완구류와 시계가 지난해 수출이 많았다. 완구류는 일본, 싱가포르로의 수출이 확대되면서 최고치인 2억3500만달러로 집계됐다. 시계 수출은 전년 대비 129.6% 급증해 1억5600만달러 어치가 수출됐다. 시계는 홍콩으로의 수출이 확대됐다는 설명이다. 

K푸드 인기에 힘입어, 라면, 조미김 등이 포함된 기타 조제식료품 수출이 28억6800만달러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14.7% 증가한 것으로 역대 가장 큰 규모다. 한국의 베이커리와 빙과류도 인지도 상승 덕분에 3억5500만달러, 9300만달러를 달성했다. 
서울시내 마트에 라면이 진열돼있다. 뉴스1
전체 수산물 수출은 부진했으나 건조김 등 해초류(3억5600만달러)와 맛살 등 수산물 가공품(2억8900만달러)의 수출액은 사상 최고치였다. 일본, 태국 등으로의 건조김 수출이 많았다. 훈제하지 않은 갑각류 수출도 지난해 최대치인 17억달러였다.

의류 중에서는 면 티셔츠 등 편물제 의류와 여성용 재킷·바지·스커트 등 직물제 의류 수출이 늘면서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중국과 홍콩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를 중심으로 한국 패션에 대한 관심이 커진 것이 이유로 분석된다. 각각 수출액은 7억100만달러, 6억1800만달러다.

농산물 수출은 즉석밥, 냉동김밥 등 농산물 가공품이 수출을 이끌었다. 이 품목 수출액은 6억5600만달러였다.

과실류 수출도 2억1400만달러로 역대 최대 수출실적을 보였다. 딸기와 포도 수출이 두자릿수 증가를 나타낸 영향이다. 

코트라는 “한류 열풍에 따른 글로벌 K뷰티, K푸드 인기가 2023년 소비재 수출 증가에 크게 기여했다”며 “글로벌 소비재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확대할 수 있도록 K콘텐츠와 연계된 마케팅 전략 강화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진경 기자 lji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