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가 없어질 수 있는 상황”...인구 비상사태 해결할 정책 ‘세 가지’에 달렸다 [뉴스 쉽게보기]
이때 발표된 저출생 대책에는 정말 많은 내용이 포함됐어요. 정부 부처가 합동으로 정리해 공개한 설명자료만 해도 A4용지 57장에 달할 정도였어요. 그래도 이번에는 나름대로 핵심이 있었다는 평가와 함께, 여전히 피상적인 대책뿐이라는 비판도 나오는데요. 어떤 대책들이 발표됐는지 핵심 내용을 쏙쏙 뽑아 정리해 봤어요.
그래서인지 이번엔 분야를 딱 3개로 좁혀서 집중한 모양새예요. 세 가지 분야는 일·가정의 양립, 교육·돌봄, 주거예요. 물론 ‘난임 시술 지원 강화’ 같은 정책도 일부 포함되긴 했지만, 주로 일하는 엄마·아빠에게 시간을 주고 아이를 돌보기 편하게 돕는 정책이 발표됐어요. 거기에다 결혼·출산을 고민할 때 가장 큰 부담인 주거 지원을 적극적으로 늘리는 방식이 함께 강조됐어요.
예를 들어 1인 가구로 ‘생애 최초 특별공급’에 당첨됐던 사람이 결혼한 뒤 아이를 낳으면, 신생아 특별공급이나 신혼부부 특별공급 등에 다시 도전해 볼 수 있게 됐어요. 아이를 낳으면 더 넓은 새집으로 이사할 수 있게 지원한다는 의도여서, 두 번째 당첨 땐 기존 주택을 처분하는 조건이 붙었어요.
아이를 낳은 가구는 주택 구매를 위한 대출도 더 쉬워져요. 정부는 유리한 조건의 ‘신생아 특례대출’을 받을 수 있는 연 소득 기준을 부부 합산 1억 4000만원에서 2억원으로 지난 4월에 올렸었는데, 이걸 내년부터 2억 5000만원으로 더 올릴 계획이에요. 2027년까지 3년간 한시적이라는 단서가 붙었지만, 사실상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 소득 조건을 걱정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기준이 높아졌어요.
이외에 올해 안으로 수도권의 일부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을 풀겠다는 정부의 계획도 꽤 주목을 받았어요. 이 땅에 공공주택 2만 호를 지어서 최대 70%를 신혼부부, 아이를 낳은 가구, 다자녀 가구에 공급할 거래요.
정부는 우선 육아휴직 급여를 늘리기로 했어요. 현재 육아휴직 급여의 최대 지급액은 월 150만원(기존 임금 80%)인데, 이걸 월 250만원(기존 임금 100%)으로 올려요. 휴직 기간에 따라 지급액은 조금씩 달라지는데 이걸 고려하면, 1년간 육아휴직을 쓴 근로자가 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은 기존 1800만원에서 2310만원으로 늘어난대요.
육아휴직 기간은 기존 1년에서 1년 6개월로 늘리는 방안을 추진해요. 부모가 각각 육아휴직을 쓰면 총 3년간 활용할 수 있게 한다는 거예요. 2회에 나눠서 휴직할 수 있었던 것도 3회까지 늘려요.
이외에 중소기업 직장인들이 눈치 보지 않고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여러 방안도 함께 제시됐어요. 휴직자나 단축 근로자의 업무를 대신할 대체인력 고용 시 지원금을 늘리는 등의 조치예요. 실제 효과가 있을지는 알 수 없지만, 중소기업의 육아휴직을 늘리려는 시도 자체는 계속될 것으로 보여요.
우선 어린이집과 유치원 운영 시간은 이르면 내년부터 오전 7시 30분부터 오후 7시 30분으로 통일해요. 현재 보육기관에서는 오전 9시부터 오후 3~4시까지 아이들을 맡아주고, 맞벌이 부부 등에게는 방과후 과정을 적용해 오후 7~8시까지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요. 이번 개편으로 맞벌이 여부와 상관없이 누구나 오후 7시 반까지 아이를 맡길 수 있게 됐어요.
이외에 외국인 유학생이나 외국인 근로자의 배우자에게 가사 돌봄 노동을 허용하는 방안도 추진해요. 가사도우미·간병인 등 돌봄 서비스 공급을 확 늘리겠다는 의도예요. 논란 끝에 올해부터 서울에서 시범 도입하는 ‘필리핀 가사도우미’와 비슷한 맥락이죠. 정부는 약 5000명 규모로 시범사업을 하고, 효과가 확인되면 인원을 더 늘릴 계획이에요.
이번 대책은 윤석열 정부가 작년 3월에 이어 두 번째로 내놓은 대규모 저출생 극복 대책이에요. 전문가들의 평가는 어떨까요? 정부가 일·가정 양립과 돌봄 시스템, 주거 문제 등 젊은 부부들이 필요성을 느낄 만한 분야에 집중한 방향 자체는 대체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어요.
다만 ‘총력전’이라기엔 기존 정책을 강화한 부분이 많은 점, 청년이 결혼과 출산을 택하도록 인식을 개선하려는 장기적 관점의 대책이 없는 점 등은 아쉽다는 평가를 받아요. 최근 한국은행 등 주요 기관에서 저출생 극복을 위해 중요하다고 지적한 수도권 과밀화 해소, 결혼 없는 출산 지원 등도 이번 대책에서 언급되지 않았어요.
모두가 알고 있었지만, 이제야 공식적으로 선언된 비상사태. 정부의 총력전은 과연 성과를 거둘 수 있을까요? 우리의 비상사태는 언제까지 계속될까요.
<뉴미디어팀 디그(dig)>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김흥국 “좌파 해병 있는 걸 이번에 알았다…채해병 특검 반대” - 매일경제
- “정말 나는 결백하다”…이혼 7년만에 정가은 ‘심경고백’, 전남편과 무슨일 - 매일경제
- 300만원 든 지갑 돌려준 노숙자…되레 돈벼락 맞았다 - 매일경제
- “아들아, 이 약 먹으면 공부 잘된대”…엄마가 구해온 ‘이것’에 병드는 한국 [Books] - 매일경
- “공진단 처방받고 보험금 30억”…병원과 짜고 보험금 사기 친 환자 170명 무더기 검거 - 매일경
- “술 먹다 그럴 수도 있지”…대구 공무원 갑질사건, 구청장이 되려 2차 가해 - 매일경제
- CCTV에 딱걸렸다…여자 화장실 들어간 남성, 베트남 유명女에 한 짓 - 매일경제
- “흑인 아이 5명 입양한 천사인줄 알았는데”...노예로 부린 백인 부부 “우린 무죄” - 매일경제
- ‘탈 네이버’ 속도내는 라인야후…“내년 업무위탁 종료” 시한 명시 - 매일경제
- 최대 인구 대국, 베트남 축구 영웅 박항서 원한다 [2027 아시안컵]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