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첨단산업 주도권 확보"… '춘천 미래형 복합도시' 방안 머리 맞대

이설화 2024. 6. 28. 18: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28일 춘천 스카이컨벤션에서 열린 2024 강원자치분권 글로벌 포럼에서 육동한 춘천시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유희태

춘천시가 교육과 첨단산업 주도권을 확보해 미래형 복합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방안을 두고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다.

2024강원자치분권 글로벌 포럼(GDGF) 2일차인 28일 세션3이 ‘교육·첨단산업 주도권 확보, 미래형 복합도시 춘천 건설’을 주제로 진행됐다.

경민현 강원도민일보 사장은 인사말에서 “춘천은 기업혁신파크, 교육발전특구 선정 등 육동한 시장 취임 이후 어디든 달려가겠다는 약속이 성과로 이뤄지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며 “오늘 포럼을 통해 춘천시가 누구나 행복하게 잘 사는 미래복합도시로 발전할 것”이라고 했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인사말에서 “어제(27일) 바이오 관련 국가전략첨단산업 특화단지 선정이 됐다. 정치적 힘, 행정, 관계적 힘이 다 이뤄져야 가능한 것”이라며 “앞으로 원심력이 더 강할지 부심력이 작용할지는 모르겠다. 절대 뒤로 갈 수 없다. 소통하라면 더 하겠다”고 말했다.

박정수 춘천교육도시위원장은 ‘최고의 교육도시, 에듀포레스트 춘천!’ 주제발표를 통해 “춘천 교육도시는 걸어서 15분이면 어디든 학습할 수 있는 장소를 갈 수 있게 만들어보겠다는 것”이라며 “디지털 대전환시대 적절한 교육환경을 기업과 연계한 재구조화를 통해 소멸위기를 기회로 삼아보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정석 지방시대위 지방전략국 총괄기획과 전문관은 ‘춘천 기업혁신파크의 성공을 위한 정책과제’ 주제발표에서 “기업을 유치한 이후, 기업이 지역에서 정착하고 발전해나가는 것을 챙기는 지자체의 부서가 없다”며 “이코노미 가드닝이라고 해서 경제에 씨앗을 뿌리고, 물을 줘서 자라게 하는 역할을 지방정부가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동진 한국수자원공사 기후탄소사업처 수열사업부 차장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열에너지사업 현황 및 개발계획’ 주제발표에서 “수열에너지 사업이 작년까지는 시범기이고, 현재부터는 확산기”라며 “초기 투자 비용이 비싼만큼, 국고지원 보급사업이 확대돼야 한다. 대규모 수열공급이 가능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했다.

▲ 28일 춘천 스카이컨벤션에서 열린 2024 강원자치분권 글로벌 포럼 세 번째 세션에서 토론자들이 열띤 토론을 벌이고 있다. 유희태

주제발표 이후엔 이원학 강원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좌장을 맡아 패널토론이 이어졌다. 이강엽 춘천교육지원청 교육과장은 “춘천에 학교와 지자체, 대학과 지역사회를 함께 묶어 운영할 수 있는 중간조직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며 “춘천시 장학재단을 춘천인재육성재단으로 확대개편하는 등 교육도시 발전의 원동력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류승한 국토연구원 본부장은 “기업혁신파크를 이야기할 때 민간기업에 대한 특혜시비가 늘 따라붙었다”며 “민간기업이 개발하는 도시로 볼 것이 아니라 민간기업의 요구를 반영하는 지방정부의 사업으로 가야 한다”고 했다. 또, “가장 중요한 것은 강원도와 춘천시의 협력”이라며 “선정이 이뤄지면 끝으로 볼 게 아니라 더존비즈온과 실무진이 협업해 추진계획 일정표를 만들고, 시장과 도지사에게 보고해야 한다. 일정을 역산해 실행에 옮겨야 한다”고 했다.

홍진기 사단법인 지역산업입지연구원장은 “춘천 내 괜찮은 바이오 기업이 활동을 시작했다. 질좋은 일자리를 찾지 못해 지역 인재가 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며 “지자체가 교육부로부터 이양받은 사업예산을 잘 활용해 바이오, 정보통신 분야 특성화대학을 공급한다면 춘천의 미래는 밝을 것”이라고 했다.

박현제 한림대 AI융합연구원장은 “AI시대 핵심인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키우는 게 춘천의 가장 큰 자산”이라며 “기업도시에서 생산되는 수많은 데이터를 교육, 의료, 헬스케어와 연계해 만들자”고 했다.

김필수 네이버 대외협력실장은 “데이터 주권을 잘 지키려면 장치가 잘 돼야 한다”며 “갖고 있는 물, 전기, 바람에 더해 실증이 가능할 수 있도록, 데이터와 에너지, 실증을 함께 가져가면 어떨까 제안해본다”고 했다. 이설화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