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중' 尹통화 7번·30분…선명한 '용산-軍-경찰' 연결고리
이종섭 장관 시작으로 신범철 차관과 잇달아 통화…국방비서관과도 전화
박정훈 대령 보직해임 및 사건기록 회수 시기와 겹쳐
신범철 차관도 오전 11시 29분부터 9차례 대통령실 참모들과 연락
채 상병 사망사건 수사 외압을 둘러싼 배경에 윤석열 대통령의 그림자가 점점 짙어지고 있다. 사건기록이 이첩되던 날 윤 대통령은 휴가 중에도 총 7차례에 걸쳐 군 참모들과 통화를 한 사실이 확인됐다.
28일 박정훈 대령 측이 중앙군사법원의 항명 혐의 재판에서 확보한 통신 기록에 따르면, 채 상병 사건기록이 이첩되던 지난해 8월 2일 윤 대통령은 오후 12시 7분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전화(4분 5초 통화)를 걸었다. 현재까지 확인된 통화 기록에서 윤 대통령이 가장 처음 군 관계자에 시도한 전화다.
이 통화를 시작으로 오후 12시 43분(13분 43초 통화)과 57분(52초 통화)에도 윤 대통령은 이 장관에게 전화했다. 그리고 이어서 30여분 뒤인 오후 1시 30분 신범철 당시 국방부 차관이 윤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었다. 두 사람 간 대화는 8분 45초. 신 차관은 또 2시간 10분 뒤인 오후 3시 40분 다시 윤 대통령에게 전화해 3분 36초 동안 통화했다. 윤 대통령은 약 40분 뒤(오후 4시 21분) 신 차관에 전화해 10초간 짧게 통화를 다시 한다.
신 차관은 지난 2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채상병 특검법 입법 청문회에 증인으로 나서 윤 대통령과의 통화 취지를 묻는 질문에 "(사건기록 이첩) 회수에 관련된 것"이라고 답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신 차관과 통화하기 직전인 오후 1시 25분에는 임기훈 대통령실 국방비서관과도 4분 51초가량 통화했다. 정리해 보면, 윤 대통령은 2일 오후 12시 7분부터 4시간여 동안 군 핵심 라인들과 7차례에 걸쳐 32분 2초 동안이나 통화를 한 셈이다. 당시 윤 대통령은 경남 거제시 저도에서 휴가 중이었는데도 군 관계자 등과 활발히 전화한 것이다. 대통령이 채 상병 이첩기록 회수 과정을 챙겼다는 의혹에 힘이 실리는 대목이다.
통화가 집중된 시점은 박정훈 당시 해병대수사단장(대령)이 경북경찰청에 사건을 이첩한 사실이 국방부 수뇌부에 보고돼 수습에 나선 시점과 겹친다.
박 대령의 군검찰 진술조서를 보면,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이 사건기록 이첩사실을 알고 박진희 군사보좌관을 통해 이종섭 장관에 보고한 시각이 오전 11시 12분이다. 김 사령관이 박 대령을 불러 보직해임을 통보한 시각은 오후 12시 45분이다. 이후부터는 국방부 검찰단에서 경북청에 연락해 사건기록을 회수하는 과정에 들어갔고, 결국 그날 오후 7시 20분쯤 기록을 가져온다.
참모들도 분주…선명해지는 '용산-군-경찰' 고리
윤 대통령이 휴가 중에도 수차례 전화를 돌리자, 참모들도 윤 대통령의 움직임 전후로 바빠진 모양새다.
신 차관은 오전 11시 29분쯤 임기훈 당시 국방비서관과 처음 통화했다. 김계환 사령관이 사건기록 이첩사실을 이종섭 장관에게 보고한 지 17분 만이다. 통화는 36초 동안 이뤄졌다. 이어 4분 후 오전 11시 33분쯤 조태용 국가안보실장과도 1분 24초 동안 통화를 했다. 두 사람은 다시 오후 12시 1분 전화해 1분 정도 대화했다.
이어 오후 12시 15분 신 차관은 임 비서관과 짧게 통화(10초)를 하고, 오후 12시 54분 관가의 '저승사자'로 불리는 이시원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에게 문자를 받은 뒤 1시 29분 통화가 이뤄진다. 이어 다시 신 차관은 오후 1시 54분 임 비서관과 통화(14초)하고, 오후 4시 16분과 19분 이 비서관이 신 차관과 각각 1분 18초와 1분 동안 전화를 했다. 신 차관이 대통령실 참모들과 오전 11시 29분부터 4시간 50분 동안 9차례에 걸쳐 연락을 주고받은 것이다.
유재은 군 법무관리관이 대통령실로부터 전화를 받은 추가 기록도 드러났다. 오후 4시 59분 국가안보실 내선 전화로 걸려 온 전화를 유 관리관이 받아 2분 39초 동안 통화했다. 이미 지난 19일 공개된 통화기록에 따르면, 이 비서관은 이첩 당일 오후 12시 14분 임 비서관과 통화를 하고, 임 비서관은 오후 1시 42분 유 관리관과 통화를 했다. 이어 유 관리관은 경북청에 전화해 '사건기록 이첩 과정에 문제가 생겼다'는 취지로 기록 회수를 요청한 사실이 알려진 바 있다.
결국 '대통령실→국방부→경찰' 라인을 거친 뒤 유 법무관리관이 다시 대통령실에 당시 상황을 보고했다고 볼 수 있는 상황이다.
유 법무관리관은 지난 21일 국회에서 열린 청문회에서 이날 오후 1시 42분에 "임 당시 국방비서관이 경북청에서 전화가 올 거라고 말했다"며 이후 직접 경북청에 연락해 회수 의사를 전달했다고 밝힌 바 있다.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CBS노컷뉴스 김구연 기자 kimgu88@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박희영 측근, 비서실 2년 만에 5급 직행…'초고속 승진' 논란
- 족적은 거짓말하지 않아…20년전 피살 전말 드러나나
- 與 "정청래, 완장 찼나" vs 野 "정청래공포증에 벌벌 떠나"
- [탐정 손수호] "故구하라 도난 금고 속 휴대폰 5대, 무슨 내용 들었나"
- "볼리비아軍 쿠데타 3주전 모의"…군 장성 등 17명 체포
- 유류분 이어 친족상도례까지…가족 개념 변화에 법조항 '대수술'
- 北 다탄두 미사일 시험 주장에 軍 "기만과 과장에 불과"
- 22대 국회, 28일 만에 원 구성 완료…與부의장에 주호영
- 김진표 "尹, 이태원 참사에 '조작된 사건 가능성 배제 못한다' 말해"
- 개각 준비하는 尹…'정책 강력 드라이브' 정치인 출신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