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드니 펠센, 호크니·리히텐슈타인 아지트…전설의 판화공방 만든 거장들의 절친

안시욱 2024. 6. 27. 17: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드니 펠센 <1924~2024>
낮엔 회계사, 밤엔 그림수업 들어
우연히 작업실 갔다가 판화에 매료
그린스타인과 제미나이 GEL 설립
실험예술 지지…LA 미술사랑방으로
아마추어 사진작가로도 활동하며
아티스트들의 미술사적 흔적 기록
펠센이 1984년 촬영한 미국 판화가 엘즈워스 켈리(1923~2015). 사진 오른쪽 하단 거울에 카메라를 든 펠센의 모습이 보인다. /GRI 제공


데이비드 호크니, 빌렘 드 쿠닝, 세실리 브라운….

세계적인 현대미술 작가들의 뒤에는 늘 그가 있었다. 때로는 작가들을 든든하게 지원하는 대부(代父)로, 때로는 아지트를 내어주는 격의 없는 친구로, 무엇보다 예술만이 오직 세상을 아름답게 한다는 굳건한 믿음을 가진 후원자로. 최근 타계한 미국의 전설적인 갤러리스트 시드니 펠센(1924~2024)의 이야기다.

제미나이 GEL 사무실에서 촬영한 시드니 펠센. Photo by Don Weinstein. /제미나이 GEL 제공

60년 전통의 판화 공방 ‘제미나이 GEL’을 공동 창립한 펠센이 지난 9일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자택에서 별세했다. 향년 100세.

제미나이 GEL(Graphic Editions Limited)은 1966년 설립 이후 미국 서부 예술가들의 사랑방 역할을 해온 갤러리다. 시작은 LA 멜러즈애비뉴의 허름한 공방이었다. 1975~1979년 캐나다의 해체주의 건축 거장 프랭크 게리의 손을 거쳐 지금의 새하얀 갤러리 건물로 재탄생했다.

펠센이 처음부터 예술과 가까운 삶을 살았던 건 아니다. 그의 부모는 시카고에서 청과점을 운영했다. 10대 때 온 가족이 LA로 이주한 이유도 싱싱한 농산물을 구하기 위해서였다. 고교 졸업 후엔 군에 입대해 유럽에 주둔했다. 미국으로 돌아온 뒤 들어간 서던캘리포니아대(USC)에선 회계학을 전공했다.

타고난 멋쟁이 기질은 숨길 수 없었다. 챙이 넓은 페도라와 뿔테 안경을 즐겨 쓰던 영락없는 LA 신사의 모습이었다. 낮에는 회계사로 근무하고 밤에는 취미로 그림과 도자기 수업을 듣는 생활이 이어졌다.

리처드 세라(1938~2024)가 제미나이 스튜디오에서 ‘라운드’ 연작을 작업하는 모습. 펠센이 1998년 촬영했다. /GRI 제공


전업 갤러리스트로 활동하기 시작한 건 40대 초반부터다. 판화 장인 케네스 타일러의 작업실을 우연히 방문한 것이 계기였다. 원화의 ‘복제품’에 불과한 것으로 여겨지던 판화의 독창적인 기법에 매료됐다. 펠센은 대학 동창 스탠리 그린스타인을 불러 타일러의 공방을 갤러리로 꾸며나가기 시작했다. 제미나이 GEL이 탄생한 순간이다.

갤러리 설립 초기만 해도 펠센은 판화의 성공 여부를 반신반의했다. 그는 2016년 한 인터뷰에서 “돌이켜보면 순진하고 무모했다”며 “예술가들과 어울리며 컬렉션을 쌓는 것이 재미있을 것이란 막연한 호기심에서 출발했다”고 회상했다.

‘로맨스’ 연작을 작업 중인 로버트 라우센버그(1925~2008)의 손을 확대한 사진. 펠센이 1977년 촬영했다. /GRI 제공


그의 가장 큰 무기는 혁신에 대해 열린 마음이었다. 지금이야 세계 미술계가 인정하는 작가지만 당시만 해도 실험적인 작품을 하던 무명의 작가들을 그는 품었다. 그래픽아티스트 로버트 라우센버그, 팝아티스트 로이 리히텐슈타인 등 실험적인 예술가들이 갤러리로 모여들었다. 이뿐 아니다. 작가와 인쇄장인이 협업할 수 있는 공간을 내주며 원작자의 예술혼이 깃든 ‘한정판 판화’ 제작 방식을 정립했다.

밤새도록 전시 오프닝 행사를 비롯한 사교모임을 연 것도 이전까지 보기 드문 일이었다. 펠센이 구축한 예술가 커뮤니티는 느슨하게 퍼져 있던 1960~1970년대 LA 미술계를 결집하는 데 한몫했다.

펠센이 촬영한 데이비드 호크니. /GRI 제공


아마추어 사진작가로도 활동한 펠센은 아티스트들의 흔적을 따라다녔다. 1970년대 ‘프렌즈’ 전시 준비를 앞두고 분주한 호크니의 옆모습, 잉크가 잔뜩 묻은 라우센버그의 손잔등 등 미술사적 기록들이 그의 손끝에서 나왔다. 2003년 펠센은 이런 사진들을 모아 <아티스트 관찰기(The Artist Observed>를 펴냈다. 펠센은 세상을 떠나기 한 달 전까지 매일 갤러리에 출근해 사업에 관여했다. 100번째 생일을 목전에 두고 쓰러졌다. 만성 신부전이었다.

미국 LA 게티연구소(GRI)는 지난 2월부터 ‘가장 먼저 우정이 있었다: 시드니 펠센과 제미나이 GEL 아티스트’ 특별전을 열고 있다. 라우센버그(1924~2008)부터 줄리 메레투(1970~)에 이르는 반세기 넘는 펠센과 아티스트의 우정을 조명하는 전시로 7월 4일까지 열린다고. 작은 판화 공방이 LA 미술계에 큰 유산을 남긴 것에 대해 유럽 미술계도 애도를 표했다. 1970년 시작된 스위스 아트바젤에 단 한 차례도 빼놓지 않고 참가한 제미나이 GEL과 펠센. 그가 작고하고 이틀 뒤 개막한 아트바젤 2024에도 이들은 부스를 열었다. 많은 미술계 인사가 부스를 찾아 위로를 전했다.

LA 게티연구소 전시장을 찾은 미국의 시각예술 거장 줄리 메레투는 “내가 제미나이 GEL에서 배운 가장 놀라운 것 중 하나는 ‘판화를 통해 무엇이 가능한가’였다”며 “그보다 더 깊은 건 펠센이 가르쳐준 삶의 방식 즉 사랑하는 방법, 인생을 즐기는 방법, 열심히 일하는 방법 그리고 그 모든 삶을 우아하게 살아가는 방법이었다”고 했다.

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