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승찬 ETRI 원장 "5년 내 인간 지능 뛰어넘는 AI 나온다"

윤현성 기자 2024. 6. 27. 14:3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방 원장 기자간담회…AI 위험 대응 위한 'AI안전연구소'도 연내 설립
출연연 혁신방안 진단도…"인건비 자율화 반갑지만 PBS 미개선 아쉬워"
[서울=뉴시스]방승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이 27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ETRI 제공)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자율성장 AI(인공지능)를 개발해나가고 있다는 계획을 밝혔다. 자율성장 스스로 지식을 찾아 성장, 학습하고 정말 사람처럼 공감과 대화를 해나갈 수 있는 AI를 만들어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방승찬 ETRI 원장은 27일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ETRI가 무게를 두고 있는 AI 기술 개발 전략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ETRI는 26~27일 '인공지능과의 동행'을 주제로 컨퍼런스 행사를 열고 AI 로보틱스, AI 컴퓨팅 및 보안 기술 등을 소개하기도 했다.

방 원장은 "제가 이번 컨퍼런스 기조연설에서도 말했듯 5년 내 AI가 인간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며 "이제 AI 다음에는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범용인공지능), ASI(Artificial Super Intelligence·초인공지능)가 나오게 될 것이다. AGI는 인간과 비슷하고, 슈퍼가 붙으면 그 이상까지 넘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초 AI 기능을 가진 반도체 하나가 인간을 뛰어넘을 수 있는 특이점은 2045년으로 예상됐지만, 컴퓨팅 파워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발전하면서 이제 특이점이 2029년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5년 내에 AI가 인간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방 원장은 이러한 추세를 따라 ETRI도 AI 기술을 준비 중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ETRI 컨퍼런스에서도 시연된 '자율성장 AI'가 중심이 된다는 것이다. 방 원장은 "자율성장 AI는 우리가 데이터를 직접 입력해주는 것이 아니라 웹 등을 스스로 뒤져서 지식을 얻고 학습해 업데이트·성장해나가는 AI가 될 것"이라며 "이제 자율성장 AI의 뼈대를 완성했고 살을 덧붙여서 조만간 멋진 모습으로 보여드리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ETRI 내에는 AI안전연구소도 올해 중 설립될 예정이다. AI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위험성도 커지는 만큼 AI 안정성 평가를 위한 전담조직으로 작동하게 된다. 방 원장은 "ETRI AI연구소는 아시아 태평양을 대표하는 글로벌 AI 안전 허브로 구현할 계획"이라며 "올 하반기 내에 AI 안전연구소를 설치하고, AI안전검증·AI안전기술연구·AI안전정책 및 글로벌 협력 등으로 조직을 구성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시스]26~27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진행된 ETRI 컨퍼런스 전시장에 AI(인공지능)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이 전시돼있다. (사진=윤현성 기자)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 방 원장은 정부가 발표한 출연연구기관 혁신 방안에 대한 의견을 표하기도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출연연이 공공기관 지정에서 해제됨에 따라 인력 운영 자율성 확대, 기술료 수입 활용 유연화 등을 골자로 하는 혁신방안을 확정했다.

이에 대해서는 "인건비나 정원의 자율화, 기술료의 인건비 활용 허용 등은 제가 그간 정부에 건의했던 내용이 정말 잘 반영됐다"면서도 "가장 중요한 PBS 제도(연구과제중심제도) 개선이 이뤄지지 않은 것은 아쉽다"고 밝혔다.

PBS는 연구기관 간 경쟁을 통해 연구개발 생산성과 재정운영 투명성을 높이고자 지난 1996년 도입된 연구개발예산관리제도다. 출연연이 정부로 받는 출연금 외에 국가 R&D 사업을 수주해 연구비와 인건비 등을 충당하는 것이 골자다. PBS는 경쟁 촉진이라는 본래 취지와 달리 연구자들이 단기성과 위주 과제에만 매몰되면서 연구과제의 파편화, 전문성 하락 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방 원장은 "우리나라 R&D 구도를 보면 연구원들이 '먹고살기 위해' 크든 작든 어딘가에서 사업을 따오고, 대부분 과제들이 성공을 했다고 말한다. 어느 해에는 과제 성공이 99.8%에 달한 적이 있는데, 이게 우리나라 R&D의 실정"이라며 "이 원인은 대부분 PBS제도와 연관돼있다고도 볼 수 있다. 조심스러운 얘기지만 출연연 R&D를 효율화하고 우리나라 R&D를 살리기 위해서는 이 PBS 제도 문제부터 해소해야 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syhs@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