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하이, 마이 하이샤파

2024. 6. 27. 05: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딸아이가 드디어 글자를 그리기 시작했다.

아이에게 따로 글을 가르쳐 준 적이 아직은 없는데, 이래저래 눈동냥으로 배워 온 모양이었다.

엄마로서는 아이가 글을 빠르게 익혀서 명석하다는 소리를 들으면 좋겠지만, 작가로서는 아직 글자가 해석이 아닌 상상의 세계를 점령한 다양한 그림들이기를 소망했다.

내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고 했더니 동료 작가인 김학찬 소설가가 아이에게 연필깎이를 보내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딸아이가 드디어 글자를 그리기 시작했다. 아이에게 따로 글을 가르쳐 준 적이 아직은 없는데, 이래저래 눈동냥으로 배워 온 모양이었다. 엄마로서는 아이가 글을 빠르게 익혀서 명석하다는 소리를 들으면 좋겠지만, 작가로서는 아직 글자가 해석이 아닌 상상의 세계를 점령한 다양한 그림들이기를 소망했다. 숫자와 문자가 지시와 상징이 아닌 그림과 상상의 모둠이라면 그건 딱 지금밖에 할 수 없는 정말이지 경이로운 포착들이 아니겠는가.

내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고 했더니 동료 작가인 김학찬 소설가가 아이에게 연필깎이를 보내왔다. 나중에 아이가 학교 들어갈 때 삼촌이 연필깎이라도 하나 사주라는 말을 지나가듯 한 기억이 있는데, 다소 이르게 보내온 거였다. 그런데 하이샤파라니. “아니, 이게 아직도 있어?” 고맙다는 말보다 저 질문이 먼저 튀어나왔다.

1983년생으로 동갑인 김 작가와 내가 처음으로 썼던 연필깎이가 바로 저것이었다. 내친김에 역시 동갑인 전석순 소설가에게도 물었더니 ‘동네 사람들이 초등학교 입학할 때 돈 모아서 사 줬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1가정 1하이샤파의 시대였던 거다. 그로부터 자그마치 삼십 년이 훌쩍 넘었는데도 그 모습은 여전했다. 찾아보니 1980년에 최초로 생산됐고, 아직도 수리가 가능한 ‘현역’이라고 했다. 멀리 가지 않아도 아직 나의 본가의 오래된 책상에는 저 기차가 다가올 연필을 기다리며 색이 바래고 먼지가 끼어 있는 채로 놓여 있지 않은가. 한 타스의 연필을 길게 도열시켜 기찻길을 만들고 연필깎이 기차를 밀며 논 적도 있었다. 연필깎이에서 흑연이 쏟아진 줄 모르고 장판에 긋다가 엄마한테 혼난 건 뭐 덤이 아니겠는가.

그것을 딸까지 쓰게 될 줄은 몰랐다. 아이는 자신의 첫 연필깎이가 무슨 보물이라도 되는 양 신기하게 바라보다가 의미를 알 수 없는 줄 한 번 긋고 연필 한 번 깎고 점 하나 찍고 다시 깎기를 반복했다. 그러느라 처음 꺼내 주었던 새 연필이 반토막이 났다. 그제야 아뿔싸, 저 연필이 오래전에 함정임 작가가 프랑스의 어느 미술관에서 보내 주었던 기념 연필이었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서둘러 다른 것으로 바꿔 주려고 했더니 아이가 안 된다고 소리치며 제가 깎은 첫 연필을 두 손으로 그러쥐었다. 그동안 아이와 내 사이에서는 안 되는 게 너무도 많았는데 심지어 연필까지 그렇게 될 줄은 몰랐다. 연필깎이를 엄마가 만질까 봐 어린이집에도 가지고 간다고 했다. 그 소리를 들은 내 마음이 연필심처럼 검어졌다. 역시 이것도 다 하이샤파 때문인 걸까.

어쨌든 나는 이 연필깎이를 쓰고 글자를 익혀 종내에는 작가가 됐다. 김학찬, 전석순 소설가도 나도 모두 다 등단 십 년이 훌쩍 넘어 버렸다. 힘세고 오래 가는 건전지처럼 열심히 많이 쓰자는 그 첫 마음은 몽당연필 같아졌다. 그래도 오늘 한 문장 더 썼다는 자그마한 희열이 우리 모두 하이샤파처럼 오래 같이 써 보자는 말로 다시 마음을 가다듬게 하는 날이다. 처음의 무엇이, 저렇게나 소중했던 마음이 우리들에게도 있었잖은가. 각자 쓴 첫 책을 펼치고 사인을 하기 위해서 좋은 연필을 집어들던 순간이. 그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내내 같이 있어 줄 하이샤파 같은 게 아닐까. 아이는 결국 연필깎이를 소중하게 안고 등원했다.

이은선 소설가

이은선 소설가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