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값 하는 영화관 명당 자리 어디? [일문chat답]

윤혜주 2024. 6. 26. 17: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이 다가오면서 영화관의 '여름 성수기'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어른을 울린다는 후기로 유명한 '인사이드 아웃2'는 지난 12일 개봉 이후 14일 연속 정상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IMAX 영화관의 경우엔 너무 앞자리보다는 자리를 3등분 했을 때 3분의 2 지점의 좌석이 최적이라고 부연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사이드아웃2 메인 예고편 / 사진 = 디즈니 코리아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이 다가오면서 영화관의 '여름 성수기'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어른을 울린다는 후기로 유명한 '인사이드 아웃2'는 지난 12일 개봉 이후 14일 연속 정상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누적 관객 수는 어제(25일) 기준 433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전편 '인사이드 아웃'의 496만 명이 넘는 기록에 단 63만 명 가량만 남겨둔 수치입니다.

'인사이드 아웃2'의 독주 체제 속에 한국 영화의 선전도 눈에 띕니다.

김성한 감독의 영화 '하이재킹'이 지난 21일 개봉한 이후 누적 관객 수 62만 명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하이재킹'은 1971년 대한민국 상공에서 여객기가 공중 납치되면서 벌어지는 극한의 상황을 담은 영화로, "몰입도 최강이었다", "하염없이 눈물이 났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게 흥미로웠다" 등 관객들의 열띤 입소문이 퍼지고 있습니다.

이밖에 배우 이성민과 이희준이 의기투합해 코믹 연기를 펼치는 영화 '핸섬가이즈'가 오늘(26일) 개봉했으며, 다음 달 31일 배우 조정석의 파격 여장 변신을 볼 수 있는 영화 '파일럿'이 개봉 예정입니다.

휴가철 영화 한 편을 보더라도 어떤 좌석에 앉느냐에 따라 만족도가 달라지는데, 영화관 명당 자리는 어디일까요?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AI 즉 인공지능으로 대화를 나누는 챗GPT, 어떤 분야를 묻든 막힘없이 술술 답을 내놓고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활용처도 늘고 있는데요. MBN [일문chat답]에서는 매일 화제가 되는 뉴스에 대해 챗GPT에게 물어 관련 정보부터 전망까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을 짚어보겠습니다.

영화관 명당 자리는 단연 '가운데 자리'로 꼽혔습니다.

챗GPT 4o(포오)는 "스크린을 정면으로 볼 수 있어 시야가 균형 잡히고 좌우로 고개를 돌리지 않아도 된다"며 가운데 자리를 영화관 명당 자리로 꼽았고, "화면의 전체를 한 눈에 볼 수 있다"며 중간 열을 추천했습니다.

보통 영화관의 가운데 자리에서 약간 뒤쪽 열이 좋다는 겁니다.

IMAX 영화관의 경우엔 너무 앞자리보다는 자리를 3등분 했을 때 3분의 2 지점의 좌석이 최적이라고 부연했습니다.

영화 장르에 따라서 명당 자리가 달라질 수 있다고도 했는데 챗GPT는 "액션 영화는 빠른 움직임과 큰 장면들을 놓치지 않기 위해 중간에서 뒤쪽 자리가 좋다"고 말했고 "로맨스 영화는 감정 표현과 디테일을 잘 느낄 수 있도록 중간에서 약간 앞쪽 자리가 좋다"고 추천했습니다.

자료사진 = MBN

이런 가운데 영화 티켓 가격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시민단체들이 오늘(26일)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등 멀티플렉스 3사를 영화 티켓 가격 담합과 폭리 혐의로 공정위에 신고한 겁니다.

최근 한두 달 사이에 주말 기준 1만 2,000원 짜리 티켓 가격이 1만 5,000원으로 올랐다면서 가격 인상 이유로 코로나19 시기 적자를 들었지만, 엔데믹이 왔으니 티켓 가격도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이에 영화관 이익단체인 사단법인 한국상영발전협회는 입장문을 내고 "티켓 가격 결정은 철저히 각 사업자의 경영 판단 하에 이뤄진다"면서 "티켓 값이 유사한 것은 극장 운영 형태, 판매 상품, 임대료, 인건비 등 제반 비용 구조 등 사업적 특성이 유사하기 때문"이라고 담합 의혹을 부인했습니다.

[윤혜주 디지털뉴스 기자/heyjude@mbn.co.kr]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