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복지위 청문회 “2000명 증원 근거 뭐냐” 집중 질의

최서은 기자 2024. 6. 26. 16:5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장관이 26일 국회 복지위에서 열린 ‘의료계 비상상황 관련 청문회’ 에서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야당 의원들이 정부가 의대 증원 2000명을 결정한 근거와 과정에 대해 캐물으면서 “밀실행정” “졸속안”이라고 했다. 정부와 의사단체는 국회로 자리를 옮겨 직접 대면한 자리에서 의료공백 사태의 책임을 두고 또다시 맞붙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26일 열린 ‘의료계 비상상황 관련 청문회’에서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월6일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보정심) 회의 이전에 2000명이라는 숫자가 언급된 회의가 있었냐”며 “보정심 회의록에서 일부 문제제기가 있었는데, 회의를 하고 증원을 통보했다. 큰 문제를 이렇게 결정하는게 맞냐”고 물었다. 이날 청문회에는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을 비롯해 이기일·박민수 복지부 1·2차관,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 강희경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원장 등이 증인으로 참석했다.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2000명 증원안을 내부적으로 결정한 후 비공개로 했다가 보정심 발표 이후에 바로 확정 발표했다. 이걸 보고 밀실 행정이라고 한다”며 “이게 바로 의료대란 사태를 만든 것 아니냐”고 했다.

정부는 의대 증원의 필요성을 계속해서 강조했다. 조규홍 장관은 “2000명이라고 하는 숫자는 그냥 갑자기 나온 게 아니다”면서 “의·정협의체에서 네 차례에 걸쳐 수급 전망에 대한 논의를 했었고, 이와는 별도로 전문가 수급 전망에 대한 논의를 했었고, 전문가 포럼도 했었다”고 답했다.

안상훈 국민의힘 의원은 “2000명 규모는 사회과학적인 방법론에 입각해 3~4개 논문들을 바탕으로 결정을 한 것”이라면서 “이 논문들을 보면 개량경제학적 방법론에 입각해서 보건경제학에서 얘기하는 의사 증원 규모를 토대로 도출했다”고 정부에 힘을 실었다.

이날 청문회는 정부와 임현택 의협 회장이 의·정 갈등 이후 처음으로 직접 대면하는 자리라는 점에서도 이목이 쏠렸다.

임 회장은 “의료공백 사태가 장기화하고 있는데, 의사단체 수장으로서 국민께 사과할 의향이 있느냐”는 남인순 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현 (의료 공백) 사태는 멀쩡하게 잘 돌아가고 있는 시스템을 (손댄) 복지부 차관과 공무원들이 만든 것”이라면서 정부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우리나라 의료가 그간 성과가 좋았지만, 최근 들어 제때 진료를 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고, 이는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더 심각하다”며 “문제 해결을 위해 의사 증원을 포함해 의료개혁 4대 과제를 발표했다”고 말했다. 이어 “의사 증원만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대책을 통해 필수의료 과목들이 제대로 진료할 여건을 만들 수 있는 내용을 정책에 포함했다”며 “정당한 보상을 위해 수가 보상 체계를 바꾸고, (의사들이) 사법 리스크를 가장 어려워하기 때문에 그런 보호장치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청문회에서는 2000명이라는 숫자가 윤석열 대통령 또는 이천공 등과 연관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서도 질의가 이뤄졌다.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많은 국민들이 2000명에 대해서 근거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이 총선용으로 2000명을 얘기했다, 아니면 김건희 여사의 디올백을 덮기 위해서 이렇게 물타기를 한 것이다, 심지어는 윤석열 대통령이 천공이라는 사람 때문에 2000명을 결정한 것이다, 이런 얘기들이 회자되고 있는 것 아니냐”고 했다.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정부가 왜 이렇게 집착을 하는지에 대해서 많은 국민들이 궁금해하신다”면서 “문제는 이 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았다는 것”이라고 했다.

최서은 기자 cielo@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