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향대 이병택 교수, 지혈기능 뛰어난 이중 층 나노섬유 멤브레인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순천향대학교는 의과대학 재생의학교실 이병택 교수 연구팀이 지혈 기능 및 조직 재생 치료소재인 이중 층 나노섬유 멤브레인 개발에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기존 혈액 및 장액누출 방지용 치료소재는 피브린 글루 및 폴리글리콜산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산]순천향대학교는 의과대학 재생의학교실 이병택 교수 연구팀이 지혈 기능 및 조직 재생 치료소재인 이중 층 나노섬유 멤브레인 개발에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기존 혈액 및 장액누출 방지용 치료소재는 피브린 글루 및 폴리글리콜산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소재들은 인체조직과 장기의 표면 및 형태가 불규칙해 부착성이 떨어지고 탄력성이 낮아 혈액 또는 장액의 누출 억제에 어려움이 있었다.
순천향대 연구진은 이 같은 임상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기방사 기술을 사용, 내층 및 외층의 나노섬유로 구성된 이중 층 멤브레인을 제작했다. 인체조직 또는 장기와 직접 접촉되는 내층은 갈조류에서 추출한 '알긴산나트륨'과 수용성 천연고분자인 '젤라틴'으로 구성해 이온 가교 시켜 친수성을 높였으며 수술부위의 부착성을 극대화 했다.
실험 결과 이중 층 멤브레인은 내층에서 세포 활착 및 이동과 트롬빈의 빠른 방출로 조직 재생과 지혈능력이 현저히 향상됐으며 수술 후 봉합사의 파열 및 췌장액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이 교수는 "외과수술 후 누출 및 유착 방지용 다기능 이중 층 나노섬유막 치료제는 체외실험, 체내실험 및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다양한 기능을 갖는 외과 수술용 치료소재임을 증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 연구팀에는 샨토 착마 박사과정생과 외과학교실 정해일·김혜영·배상호 교수 등이 참여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바이오머티리얼즈 6월호에 게재됐다.
#충남 #아산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명태균 황금폰 실물 공개한 박범계 "도대체 무슨내용 들었나" - 대전일보
- 대전서 "尹 탄핵 기각"…전한길·윤상현 등 1만 명 집결 - 대전일보
- 오늘 대전서 '尹 탄핵' 찬성·반대 집회 '긴장 고조'… 장동혁, 전한길 등 수만명 운집할 듯 - 대전
- 민주당 "尹, 오는 25일 변론 종결...평생 수감 생활 준비하라" - 대전일보
- 윤상현, 대전시청 탄핵반대 집회서 "尹 탄핵은 자유민주주의 무너지고 있다는 것" - 대전일보
- 전한길 "尹 탄핵으로 망하는 한국 막기 위해 금식… 이재명 집권 시 자유 사라져" - 대전일보
- "남자친구에게 성폭행 당해" 무고한 20대 女 징역 1년 6개월 - 대전일보
-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반사회적 인격 장애?…"자기 불행 주변 탓" - 대전일보
- 대전시청 주변 가득 메운 "윤석열 탄핵 반대"… 전국서 인파 몰려 - 대전일보
- 대전 유일 중국어학원 27년 만에 폐업…"경기 침체·수강생 감소로 경영난" - 대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