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가이드-요로결석] 땀 많은 여름철 특히 조심…악화 땐 신장 기능 '영구 손실' 유발

장종호 2024. 6. 26. 08: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요로결석 환자들은 대부분 극심한 옆구리 통증에 시달린다. 또한 구역, 구토, 혈뇨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사진출처=언스플래쉬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요로결석'은 여름철 대표 질병 중 하나다.

소변이 지나가는 길, 신장, 요관, 방광, 요도를 통틀어 요로라고 부르는데 여기에 결석이 생기는 질환을 요로결석(Urinary stone)이라고 한다.

요로결석 환자들의 통증은 출산의 고통과 비교될 정도로 극심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2년 요로결석 환자 수는 남성이 여성보다 2배가량 많고 40~60대의 중장년층이 전체 환자 수의 66%를 차지했다.

대전을지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 유대선 교수의 도움말로 요로결석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 등을 정리했다.

▶여름철 땀 배출, '요로결석' 악화…옆구리 통증 극심

요로결석이 계절의 영향을 받는 이유는 바로 '땀' 때문이다.

땀을 많이 흘리면 소변량이 줄고 결석을 일으키는 물질이 소변 내에 오래 머무르면서 결석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요로 중에서 특히 신장에 결석이 잘 생기는데, 이 경우 보통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결석이 요관으로 넘어와 소변이 나가는 길을 막게 되면, 옆구리에 극심한 통증을 보이게 된다.

환자들이 외래나 응급실을 찾는 가장 흔한 이유 또한 이 옆구리 통증 때문이다. 이 통증으로 인해 장 운동이 떨어져 구역, 구토를 호소하는 경우도 흔하게 볼 수 있다. 결석이 움직이면서 요로에 상처를 내 혈뇨를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

요로결석은 환자의 임상증상과 신체검사, 소변검사에 의해 진단되고 방사선 검사를 통해 최종 확진된다.

소변검사에서 혈뇨 소견이 보이는 것이 특징이지만 일부에서는 혈뇨가 없을 수도 있다.

X-레이 검사 시 결석이 보이지 않거나 진단이 애매할 경우에는 복부 전산화단층촬영(CT) 또는 요로조영술(IVP)을 시행한다.

CT 촬영의 경우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권장되는데, 정확도가 매우 높아 최근 주로 권고되는 진단 방법이다.

▶신장 기능의 '영구 손실' 가능성…5㎜ 이하 땐 자연 배출 기대

요로결석의 증상들은 주로 소변이 지나가는 길을 결석이 막음으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신장에서 배출되는 소변이 막힌다면 신장이 제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유대선 교수는 "일시적이라면 금방 회복되겠지만 이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신장 기능의 영구적인 손실을 유발할 수도 있다"며 "더불어 고여 있는 소변에는 세균이 더 쉽게 증식할 수 있어 신우신염과 같은 감염성 질환에도 안심할 수 없게 된다"고 설명했다.

5㎜ 이하의 작은 결석의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 충분한 수분 섭취만으로도 충분히 치료될 수 있다.

따라서 진단을 받더라도 막바로 치료에 임하지 않고 자연 배출을 위해 기다려보기도 한다. 하지만 결석이 더 크다거나 혹은 자연적으로 배출되지 않는다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요로결석의 대표적인 치료법으로는 체외충격파쇄석술이 있다. 이는 결석을 잘게 부수어 쉽게 배출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이밖에 내시경 수술 등을 통해 결석을 레이저로 부수고 직접 꺼내는 치료법도 있다. 치료 방법은 결석의 크기나 모양, 환자의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10년 내 재발 가능성 50%…식습관 관리 및 운동 중요

문제는 요로결석의 재발률이 높다는 것이다. 요로결석을 치료한 후에도 1년에 7%가량 재발해 10년 이내 평균 50%의 환자에서 재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예방을 위해서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 주는 것이 좋다. 하루에 2~3리터 정도의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 된다. 과다한 단백질이나 나트륨 섭취를 줄이고, 레몬, 키위, 오렌지와 같이 구연산이 많이 함유된 과일이나 채소 등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도 중요하다. 다만 몸에 좋다고 너무 많이 섭취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아울러 규칙적인 운동은 체중 감량과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고 대사 활동을 촉진해 결석의 위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하지만 고강도의 운동은 탈수 등으로 인해 오히려 결석을 유발할 수 있으니 운동 강도 선택에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유대선 교수는 "요로결석의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이외에도 식이 습관과 생활 습관의 변회 등을 통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여름철 주의해야 할 진환인 '요로결석'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대전을지대병원 비뇨의학과 유대선 교수. 사진제공=대전을지대병원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