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전대 주자 ‘핵무장론’ 논쟁…“핵무장 할 때” vs “당장 힘들어”

이윤우 2024. 6. 26. 06:2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최근 미국에선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이 한국을 핵 무장으로 내몰고 있다.

아니다, 추가 조치는 필요하지 않다는 등 다양한 견해가 나오고 있습니다.

6.25 전쟁 74주년인 어제 국민의힘 당권 주자들 사이에서도 '자체 핵무장론'을 두고 논쟁이 벌어졌습니다.

이윤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당권 주자 4명 가운데 '핵무장론'을 먼저 띄운 건 나경원 의원입니다.

북한과 러시아가 가까워지고, 북한이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인정될 수밖에 없는 쪽으로 국제 정세가 급변하고 있어 대비해야 한다는 겁니다.

[나경원/국민의힘 의원 : "아시다시피 지금 국제 정세가 급변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우리가 핵무장에 대해서 논의하고 이제는 핵무장을 해야 될 때라고 봅니다."]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안보 강화의 필요성을 인정하지만 한편으론 신중론을 폈습니다.

핵 무장에 나설 경우 맞닥뜨릴 국제사회 제재 가능성이 우려스럽다며 잠재적 역량만 갖춰 놓자는 겁니다.

[한동훈/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 "일본처럼 마음만 먹으면 언제나 핵무장 할 수 있는 잠재적 역량을 갖추는 것이 지금 시점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은 "독자적인 핵 무장 추진이 말로 되는 것은 아니고, 당장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며 사실상 반대 뜻을 밝혔습니다.

윤상현 의원 역시 지금 당장 핵무장은 힘들다는 입장입니다.

[윤상현/국민의힘 의원 : "(미국의) 전략 자산을 갖다 놓고, 한국과 미국 간에 핵 공유협정을 맺는 게 훨씬 더 현실적인 방안이다…."]

당 대표 경쟁에서 보수 지지층 결집을 노리고 '독자 핵무장론'을 꺼내 든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앞으로 후보 간 이슈 선점과 차별화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윤우입니다.

촬영기자:임동수 박장빈/영상편집:김유진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윤우 기자 (yw@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