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리튬전지 화재 위험 커지는데 대응 매뉴얼도 없다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31명의 사상자를 낸 경기 화성의 리튬 일차전지 공장의 화재 참사는 우리 사회의 구조적 취약점을 적나라하게 보여줬다.
당국의 조사에 따르면 인명 피해가 커진 원인으로 리튬전지 관리가 안전 사각지대에 있었고, 화재 예방·조기 진압 장치 부재, 외국인 근로자 관리 소홀 등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현행 소방법상 리튬 등 금속화재가 화재 유형으로 분류되지 않아 전용 소화기를 개발할 기준조차 없다는 점이다. 불을 끄려면 모래 등이 담긴 특수 소화장비가 필요한데, 표준 소화기도 없고 이런 시설을 설치할 의무 규정도 없는 셈이다. 리튬 일차전지는 이차전지에 비해 화재 위험성이 작다고 여겨져 별도 안전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다. 화학물질 사고 위기대응 매뉴얼이 유해화학물질 위주로 돼 있어 일반화학물질로 분류된 리튬은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소방청도 배터리 공장의 화재를 관리할 수 있는 매뉴얼을 갖추지 않고 있었다. 총체적 안전불감증을 확인하게 된다.
더 큰 문제는 리튬전지의 활용이 갈수록 늘면서 생활 속으로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는 것이다. 충전소·아파트 주차장 곳곳에 리튬전지가 든 전기차, 전동킥보드 등이 널려 있다. 지난해 1월 울산 공동주택에서 전동킥보드를 충전하던 중 불이 나 전 세대가 타고 2명이 목숨을 잃었다. 리튬전지에서 불이 나면 마른 모래 등으로 덮어야 하는데 이 같은 지식을 알고 실행할 수 있는 국민은 거의 없다. 리튬전지에 대한 세심한 관리, 폭발·화재 대비 교육을 강화해야 하는 이유다. 소를 잃었으면 외양간이라도 제대로 고쳐야 하지 않겠나.
이번 참사는 단일 사고로는 가장 많은 외국인 근로자가 생명을 잃은 사건이다. 건물 구조를 잘 알지 못하고, 화재 등 긴급 상황에서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외국인 근로자라 사고 대처에 취약했을 것이다. 사망자들이 공장 구조를 숙지하지 못해 불이 난 곳 반대편에 계단이 있다는 걸 몰랐을 수도 있다니 안타깝다. 저출생과 젊은이들의 ‘3D 업종’ 기피로 외국인 근로자가 갈수록 늘고 있는데 이런 참사는 외국 인력 유입의 걸림돌이 될 것이다. 서둘러 외국인 근로자의 작업 현장을 점검하고 안전 대책을 내놔야 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우리가 왜 반란군 됐나" 국회 투입 군인들, 극심한 스트레스 시달려
- “걔는 잤는데 좀 싱겁고”…정우성, ’오픈마인드‘ 추구한 과거 인터뷰
- 9초 동영상이 이재명 운명 바꿨다…“김문기와 골프사진? 조작됐다” vs “오늘 시장님과 골프
- “전현무가 이상형” 홍주연 냅다 고백…아나운서 커플 또 탄생?
- 마흔 다 된 국민여동생…문근영, 살 찐 이유는 “인생 즐겼다”
- “우파 옹호하면 머저리냐”…‘계엄 환영→사과’ 차강석, 해고 통보 받았다
- 집들이서 친구 남편이 성추행, 남편은 친구와... 부부동반 만남의 '막장 결말'
- 한국 여학생 평균 성 경험 연령 16세, 중고 여학생 9562명은 피임도 없이 성관계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