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 고용률 상승’ 유탄 맞은 농어촌…귀농·귀촌 가구 수 2년 연속 감소세

안광호 기자 2024. 6. 25. 21:3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농가 인구 전년보다 3.5% ↓
농촌 살아보기 체험 정책 늘려야

도시에서 농어촌으로 삶의 터전을 옮기는 귀농·귀촌 가구 수가 매년 줄어들고 있다. 일각에서는 농촌 소멸위기를 해소하려면 거주 환경을 개선하고, 농촌 살아보기 체험과 같은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25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 통계청 등이 공동 발표한 ‘2023년 귀농어·귀촌인 통계’를 보면, 지난해 귀농·귀촌·귀어 가구는 각각 1만307가구, 30만6441가구, 716가구로 집계됐다. 전년과 비교해 각각 17.0%, 3.9%, 24.7% 줄면서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귀농·귀어인은 농·어업인이 되기 위해 농어촌 읍면 지역으로 이주한 사람 중 농업경영체, 축산업명부, 어업경영체명부 등에 등록한 사람을 말한다. 귀촌인은 이 같은 농·어업 종사자 외에 읍면 지역으로 이동한 이들을 뜻한다.

귀농·귀촌 가구가 감소한 원인 중 하나로 인구 이동 감소가 꼽힌다. 지난해 국내 인구이동자는 612만명으로 1974년 529만명 이후 49년 만에 최저치다. 실업자 수 감소도 영향을 줬다. 지난해 실업자 수는 도시는 전년 대비 4만4000명, 농촌은 2000명이 각각 감소했다. 귀농을 주도하는 60대 이상 고용률이 2022년 44.5%에서 지난해 45.5%로 소폭 상승한 것도 요인이다.

농촌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귀농·귀촌 가구마저 감소한 데 따라 농촌 소멸위기는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농가 수는 지난해 99만9000가구로 전년 대비 2.3% 감소했고, 농가 인구는 208만9000명으로 전년보다 7만7000명(3.5%) 줄었다.

정부는 귀농·귀촌 인구를 늘리기 위한 정책과 지원을 매년 큰 폭으로 높이고 있지만 효과는 미미한 편이다. 국회 입법조사처에 따르면, 귀농·귀촌 관련 지원 예산은 2017년 230억원에서 2022년 453억원으로 97%가량 늘었다. 입법조사처 관계자는 “귀농·귀촌에 관심이 있지만 실행에 옮기지 못하는 청년들에게 농촌 살아보기 체험과 같은 ‘체류형 생활인구’를 고려한 정책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안광호 기자 ahn7874@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