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정지돈 "제 잘못" 사과했지만…'사생활 동의 없는 재현' 언제까지

전혼잎 2024. 6. 25. 18: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지돈 소설에 전 연인 “내 얘기 썼다” 항의
김봉곤·김세희 등 작가들 비슷한 논란 반복
“문학계에서 상황 갈무리하고 입장 내놔야”
정지돈 작가와 과거 연인 관계였던 방송인 김현지씨가 자신의 이야기를 무단으로 인용했다고 주장하는 정 작가의 작품 ‘야간 경비원의 일기’(왼쪽 사진)와 ‘브레이브 뉴 휴먼’의 표지. 현대문학·은행나무 제공

김봉곤, 김세희 그리고 정지돈까지. 타인의 사생활이나 타인과 자신 사이의 이야기를 동의를 구하지 않고 소설로 썼다는 의혹으로 거센 비판을 받은 작가들이다. 2020년 이후 이 같은 ‘창작의 윤리’ 논란이 벌어진 건 세 번째. 이번엔 ‘젊은작가상’ ‘문지문학상’ 등을 받으며 활발히 활동해 온 소설가 정지돈(41)이다.

정 작가의 과거 연인은 지난 23일 정 작가가 자신의 일화를 소설에 무단 인용했다고 주장하면서 해당 소설의 출판 중지와 회수, 정 작가의 사과를 요구했다. 정 작가는 25일 사과의 뜻을 밝혔다. 다만 “수면 위로 떠오르지 않았을 뿐 비슷한 문제는 얼마든지 또 일어날 수 있다”라는 것이 문학계의 시선이다. 이번 사태를 정 작가의 '일탈'로만 볼 수 없는 이유다.


정지돈 ‘사과’했지만… “개인의 삶 도용 안 해”

소설가 정지돈의 작품에 자신의 일화가 무단으로 도용당했다고 주장한 김현지씨가 23일 자신의 블로그에서 정 작가에게 보낸 관련 항의 메일을 공개했다. 김현지씨 블로그 캡처

아프리카TV와 유튜브에 독서 콘텐츠를 올리던 방송인 김현지(35)씨는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정 작가가 연인 사이일 때 나눈 이야기들을 2019년 이별 이후 허락 없이 소설에 인용했다고 주장했다.

김씨가 문제 삼은 소설은 ‘야간 경비원의 일기’(현대문학·2019)와 ‘브레이브 뉴 휴먼’(은행나무·2024)이다. ‘야간 경비원의 일기’에서 스토킹에 시달리는 ‘에이치(H)’라는 인물의 거주지와 스토킹을 계기로 소설 속 ‘나’와 에이치가 가까워진다는 설정이 김씨가 겪은 일의 흐름과 일치한다고 그는 주장했다. 또 ‘브레이브 뉴 휴먼’에서 김씨와 이름이 같은 인물 ‘권정현지’의 서사 역시 “사귀던 시절 들려주고 보여준 제 이야기”라고 했다.

김씨는 ①무단 인용 인정 ②공식 채널을 통한 사과 ③재발 방지 약속을 정 작가에게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공개했다. 이에 비판이 커지자 정 작가는 “저의 부주의로 벌어진 일이며, 제 잘못”이라고 김씨에게 사과했다. 출판사에 ‘야간 경비원의 일기’의 판매 중단을 요청하고, ‘브레이브 뉴 휴먼’에 대해서도 후속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소설가 정지돈이 25일 자신의 네이버 블로그에서 전 연인 김현지씨의 사적 일화 무단 도용 주장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정지돈 블로그 캡처

정 작가는 다만 '권정현지'란 이름이나 소설 속 이야기는 “김씨 개인의 삶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면서 ‘아간 경비원의 일기’도 “직접 경험한 일”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몇몇 모티프만으로 개인의 삶이 도용됐으며 소설 속 인물이 실제 인물이라는 주장은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덧붙였다.


여론 비판→사과문→작품 판매 중지하면 그만?

지인과의 사적인 대화 내용을 동의 없이 인용했다는 논란에 휩싸인 작가 김봉곤의 소설이 2020년 7월 서울의 한 서점에 진열돼 있다. 뉴스1

2020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나눈 지인과의 사적 대화를 단편소설집 '여름, 스피드'(문학동네·2018)와 '시절과 기분'(창비·2020)에 인용했다는 시비에 휘말린 김봉곤 작가의 이름도 소환됐다. 두 소설집은 절판됐고 김 작가는 젊은작가상을 반납했다. 2021년에는 김세희 작가의 장편소설 ‘항구의 사랑’(민음사·2019)에 자신의 사생활이 실려 아우팅(본인의 의사에 반한 성 정체성 공개) 피해를 입었다는 지인이 등장하면서 역시 절판됐다.

‘자전 소설’이나 진실과 허구 사이의 ‘오토픽션’은 엄연한 문학 장르이지만, '당사자의 허락 없는 재현'까지 문학 독자들이 용인하는 건 아니라는 것을 이번 사태는 보여준다. 문학과 창작의 이름으로 사생활을 침해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반복되는 무단 인용은 '비판 고조→작가의 사과문 발표→작품 판매 중단'을 거치면 이내 잠잠해졌다. 문학계의 논의로 확산되지 못했다. 김세희 작가는 2022년 경장편 소설 '프리랜서의 자부심'(창비)을 출간했고, 김봉곤 작가도 지난해 ‘문학과 사회’ 겨울호에 신작 단편을 발표했다. 두 작가 모두 논란에 대한 입장 표명은 없었다.

정 작가도 비슷한 수순을 밟게 될까. 비평가 이연숙은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정 작가의 의혹을 두고 이렇게 말했다. “조만간 문학계에서도 상황을 갈무리하고 ‘입장’을 내놓는 논평을 읽을 수 있길 바란다. 이것도 맞고 저것도 맞다는 이야기는 이제 진짜 그만해야 된다.” 이제라도 '사생활 인용 원칙'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는 의미다.

전혼잎 기자 hoihoi@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