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의 '중계 거부'와 수신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21일 방송사들이 국회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입법청문회를 유튜브 생중계했다.
그런데 공영방송 KBS만 생중계를 거부했다.
이날 KBS의 '중계 거부'는 KBS 현주소를 보여주는 상징적 장면이었다.
KBS 구성원들은 지금이 돌이킬 수 없는 길을 바로잡을 마지막 기회라 생각하고 공정 보도와 제작 자율성 수호를 통해 '수신료 받을 자격'을 스스로 쟁취해야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오 사설] 미디어오늘 1457호 사설
[미디어오늘 미디어오늘]
지난 21일 방송사들이 국회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입법청문회를 유튜브 생중계했다. 그런데 공영방송 KBS만 생중계를 거부했다. 야당 단독으로 열렸다는 이유 때문으로 알려졌다. 여러 여론조사에서 국민 절반 이상의 지지를 받는 채상병 특검법의 입법청문회는 대통령의 연루 의혹까지 제기된 상황에서 이종섭 전 국방장관 등 핵심 증인이 출석해 이날의 가장 중요한 뉴스 현장이었다. KBS는 당일 메인뉴스도 특검법 이슈를 여야 정쟁 프레임으로 축소 보도했다.
이날 KBS의 '중계 거부'는 KBS 현주소를 보여주는 상징적 장면이었다. 대통령 앞에서 '명품백'을 '파우치'로 불렀던 장면이 국민 뇌리에 박힌 가운데 세월호 10주기 다큐 불방에 '역사저널 그날' 진행자 교체 논란까지 겹치며 KBS는 추락을 거듭하는 모습이다. 영국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가 발표한 디지털뉴스리포트에 따르면 KBS 신뢰도는 지난해 55%에서 올해 51%로 하락한 반면 불신도는 19%에서 25%로 높아졌다.
오는 7월 본격적인 수신료 분리 징수가 예상된다. KBS 수입이 얼마나 급감할지 가늠할 수 없다. 야당이 수신료 통합징수법을 발의한 가운데 전 구성원이 한마음으로 분리 징수 위기를 극복하자는 내부 목소리도 나온다. 입법의 힘은 결국 민심에서 나온다. 민심을 얻으려면 공영방송으로서 제 역할을 해야 한다. KBS 구성원들은 지금이 돌이킬 수 없는 길을 바로잡을 마지막 기회라 생각하고 공정 보도와 제작 자율성 수호를 통해 '수신료 받을 자격'을 스스로 쟁취해야 한다.
Copyright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I 콘텐츠 시대, PD 사라질까 - 미디어오늘
- ‘프리랜서’ 아나운서, 정규직 판결 나왔다 - 미디어오늘
- 중국산 속옷 “이태리 브랜드”라던 홈앤쇼핑 행정지도 - 미디어오늘
- 1967년 6월26일, 전력난으로 밤 8시 이후 TV 중단 - 미디어오늘
- YTN 구성원들 “대통령 부부 눈밖에 났다고 민영화...불법 가득” - 미디어오늘
- 정청래에 우원식·정성호도 “눈살 찌푸려져…예의 있게 진행해야” - 미디어오늘
- 강유정 의원이 말하는 넷플릭스가 콘텐츠에 ‘독’ 되는 이유 - 미디어오늘
- 화성 참사 대부분 이주노동자…경향 “위험의 이주화, 감추고 싶은 단면” - 미디어오늘
- 여야 모인 22대 첫 과방위, 거부·거부 또 거부 - 미디어오늘
- MBC ‘신뢰도 1위’도 발표 못 하는 세상 - 미디어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