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카·토’ 뛰어든 후불결제…연체율 관리 시작하자 규모도 뚝

조해영 기자 2024. 6. 25. 15: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후불결제 서비스 규모가 1년 새 급감했다.

연체율이 오르고 건전성 우려가 나오면서 업체들이 서비스 공급을 타이트하게 관리한 영향으로 보인다.

25일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국내 후불결제 서비스 제공사 3곳(네이버파이낸셜·카카오페이·비바리퍼블리카(토스))의 전체 채권 규모는 250억2천만원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후불결제 서비스 규모가 1년 새 급감했다. 연체율이 오르고 건전성 우려가 나오면서 업체들이 서비스 공급을 타이트하게 관리한 영향으로 보인다. 외국에서도 비슷한 우려가 나오면서 후불결제 관련 규제를 강화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25일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국내 후불결제 서비스 제공사 3곳(네이버파이낸셜·카카오페이·비바리퍼블리카(토스))의 전체 채권 규모는 250억2천만원이다. 1년 전(445억3600만원)의 절반 수준으로 급감한 것이다. 토스가 319억5100만원에서 122억8700만원으로 61.5% 감소했으며 네이버도 124억1100만원에서 123억5800만원으로 감소했다. 다만 카카오는 1억7400만원에서 4억500만원으로 증가했다.

비엔피엘(BNPL·Buy Now Pay Later)이라고도 불리는 후불결제는 상품 구매 뒤 대금은 나중에 지불하는 일종의 신용 공여 서비스다. 신용카드 없이 체크카드로 이용할 수 있고 이자나 수수료도 별도로 붙지 않는다. 신용카드 이용이 어려운 사회초년생이나 주부 같은 금융소외계층이 주로 이용한다. 국내에선 2021년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로 선정돼 도입됐다.

문제는 저신용자들이 주로 활용하는 탓에 연체율(결제일 기준 30일 이상 연체채권이 차지하는 비중)이 빠르게 올랐다는 점이다. 2022년 말 3.06%였던 연체율은 지난해 6월 말에는 5.84%까지 올랐다. 특히 토스 이용자들의 연체율은 7.76%에 이른다. 채권액 규모가 적어 연체가 서비스 제공 업체의 건전성을 위협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소액(한도 월 30만원·카카오는 15만원) 제품을 후불로 구매하는 금융소외계층의 특성을 고려하면 과소비를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이용자의 연체 정보 등이 업계 공유되지 않아 서비스 중복 이용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 바 있다.

이에 업체들이 건전성 관리에 나서면서 지난해 6월 말 고점(5.84%)을 찍었던 연체율은 올해 3월 말 1.29%까지 낮아졌다. 이용자의 신용도 등을 엄격히 심사한 결과다. 토스 관계자는 “이용 자료를 바탕으로 신용평가 모형 고도화를 지속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이용한도 조정 등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 관리도 강화될 전망이다. 9월15일부터 후불결제 업무는 혁신금융서비스 인가가 아니라 선불업자의 겸영 업무로 분류돼 금융위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별 한도 산정 과정에서 타사의 관련 연체정보를 활용할 수 있고, 사업자도 후불결제 관련 자산에 상응하는 대손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도덕적 해이 같은 부작용이 일부 있었다. 규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관련 제도를 정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흐름은 국내뿐 아니라 외국에서도 나타난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이달 5일 후불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에 대해 금융회사가 신용조회를 의무화하는 규제를 도입했다. 무분별한 이용과 연체를 막기 위한 조치다. 로이터통신은 “후불결제는 코로나19 당시 경기부양책과 초저금리 환경에서 급증했지만 인플레이션이 계속되면서 상환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조해영 기자 hycho@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