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이재진 "마라톤을 피크닉처럼"

조수원 기자 2024. 6. 25. 01: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마라닉'은 마라톤과 피크닉의 합성어로 마라톤을 피크닉처럼 즐기자는 의미다.

책 '마라닉 페이스'는 달리기로 삶을 송두리째 바꾼 경험을 전한다.

저자 이재진은 "마라닉 페이스는 숨 가쁘게 달리기나 빠르게 달리기가 아닌 내 호흡을 느끼며 몸이 나아가는 속도에 맞춰 달리는 것"이라고 했다.

책은 달리기를 하며 진짜 나답게 살 수 있게 된 여정을 그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마라닉 페이스(사진=푸른숲 제공) 2024.06.2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조수원 기자 = '마라닉'은 마라톤과 피크닉의 합성어로 마라톤을 피크닉처럼 즐기자는 의미다.

책 '마라닉 페이스'는 달리기로 삶을 송두리째 바꾼 경험을 전한다.

저자 이재진은 "마라닉 페이스는 숨 가쁘게 달리기나 빠르게 달리기가 아닌 내 호흡을 느끼며 몸이 나아가는 속도에 맞춰 달리는 것"이라고 했다.

책은 달리기를 하며 진짜 나답게 살 수 있게 된 여정을 그린다. 속도에 대한 강박을 내려놓고 천천히 달리면서 겪은 변화들과 작은 성취를 쌓아가며 얻은 자신감을 보여준다. 달리기 입문자들에게 도움이 될 다양한 팁도 전한다.

"마음이 아프다고 해서 몸을 움직일 수 없는 건 아니다. 의지만 있다면 어떻게든 끌고 나갈 수 있다. 하지만 몸에 병이 오면 마음을 움직이기 쉽지 않다. (중략) 몸에 근력이 붙으면 마음 근력도 붙는다. 나도 뭔가 해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커진다. 아주 작은 기회라도 찾아왔을 때 거침없이 부딪쳐보는 용기가 생긴다. 까짓것 잘 안돼도 다시 하면 된다는 여유도 생겨난다. 결정적으로 남들은 힘들어서 못 하겠다는 일을 '나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긴다. 이 모든 게 그동안 쌓아온 체력 덕분이다."(47쪽)

☞공감언론 뉴시스 tide1@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