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위험지구·공사 중 하천’…복구 ‘하세월’
[KBS 창원] [앵커]
장마철을 맞아 경남의 대비 상황을 점검하는 연속 기획 보도.
오늘(24일)은 재해위험지구와 공사 중인 하천 문제를 집중 살펴봅니다.
침수 피해가 반복되는 경남의 재해위험지구는 물론, 재해 복구와 예방 공사가 진행 중인 하천 상당수가 아직 공사를 다 마치지 못해, 올해도 주민들이 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윤경재, 최진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바다로 흘러나가는 하천에 소하천들이 이어지는 고성군 상촌지구.
소하천들을 자세히 들여다봤습니다.
폭은 5m가량으로 좁고, 제방도 높지 않습니다.
무너진 제방도 땜질식으로 막아놨습니다.
하천을 건너는 다리 높이도 낮습니다.
이 마을은 해마다 서너 차례씩, 수십 년 동안 침수 피해가 반복되는 곳입니다.
[황홍열/고성군 거류면 : "이쪽에는 모두 다 잠겨요. 해마다 있는 일이니까 예사로 생각하죠."]
하천 주변에는 논과 비닐하우스, 축사와 민가가 있어 재해위험지구로 지정됐습니다.
하지만 정비 사업은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고성군 관계자/음성변조 : "동시다발적으로 동시에 해결을 해소하기는 어려운 것 같고 예산의 한계로 인해서…."]
통영의 한 저지대 해안가 마을.
만조가 되면 도로에 근접할 만큼 바닷물이 높아집니다.
만조와 폭우가 겹치면 빗물이 바다로 빠져나가지 못해, 농경지와 도로가 물에 잠기는 곳입니다.
이곳도 역시 재해위험지구입니다.
다행히 올해 배수로를 넓히고 대형 펌프를 설치하는 정비 공사가 마무리됐습니다.
[이지우/통영시 용남면 : "비가 오면 한 1m 정도 물이 찼어요. 사람도 차도 못 다녔는데 저걸 만들고 나서는 물이 안 찹니다. 펌프장이 퍼내니까…."]
지금 보시는 화면은 KBS의 재난안전지도입니다.
이 지도에는 행정안전부와 각 자치단체가 지정한 재해위험지구와 이유가 나타나 있습니다.
이런 재해위험지구가 경남에만 149곳입니다.
앞서 보신 통영의 마을처럼 정비가 마무리된 곳은 극소수에 불과하고, 고성의 사례처럼 방치되고 있는 곳이 대부분입니다.
행정안전부와 각 자치단체는 위험성이 큰 곳부터 단계적으로 정비 사업을 하고 있지만,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예산 문제를 이유로 듭니다.
이번 장마 때 이 같은 재해위험지구 말고도, 피해가 우려되는 곳들이 더 있습니다.
바로 공사 중인 하천들인데요.
이 소식은 최진석 기자가 자세히 전합니다.
[리포트]
불어난 물이 다리를 집어삼킬 듯 거칠게 흐릅니다.
지난해 8월, 태풍 '카눈' 때 제방 곳곳이 무너졌지만, 복구 공사는 지난 3월에야 시작됐습니다.
[밀양시 관계자/음성변조 : "예산 배정받고 저희가 설계하고, 절차상 진행을 하다 보니까 3월에 착공이 된 것입니다."]
복구 공사 현장을 살펴봤습니다.
바닥에는 옹벽 구조물 수십 개가 쌓여있고, 바닥 정비도 아직 마무리하지 못했습니다.
물이 잘 흐르도록 임시로 만든 관입니다.
하지만 보시는 것처럼 이렇게 돌이 많이 쌓여 있어 비가 많이 올 때 제 역할을 하기 힘들어 보입니다.
이달 초 마무리했어야 할 공사는 다음 달 중순에야 끝납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옛날에는 (하천이 범람해) 집도 무너지고, 다시 제방을 (복구)한 상태인데도 또 자꾸 그렇고. 빨리 끝을 내야 하는데 끝이 안 나고 있으니까 그게 걱정이죠."]
현재 재해 복구와 예방 공사가 진행되는 경남의 하천은 모두 50곳.
장마철이 돌아왔지만, 공사를 마무리하지 못해 재해 위험이 더 클 수밖에 없습니다.
[박창근/가톨릭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 : "하천 공사 현장이 큰비가 왔을 때 다 쓸려 내려가는, 다시 이야기해서 헛공사를 한 사례들이 많이 발생합니다."]
임시제방이 무너져 14명이 숨졌던 지난해 충북 청주 오송 지하차도 참사.
임시도로가 하천 물길을 막아 인근 마을이 잠긴 지난달 합천군 사례 모두, 공사 중인 하천에서 발생한 '사실상 인재'였습니다.
[이수곤/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 "(장마로 인한) 재난의 시기를 우리가 뻔히 아니까. 거기서부터 역산을 해서 언제까지 입찰하고 마무리를 하는 게 중요한지 알아서 그것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게 필요합니다."]
전문가들은 재해 예방과 복구 공사의 예산 배정과 입찰 등 절차를 간소화해, 피해를 최소화할 것을 주문합니다.
KBS 뉴스 최진석입니다.
촬영기자:조형수·지승환·최현진/영상편집:김태훈/그래픽:박부민
윤경재 기자 (economy@kbs.co.kr)
최진석 기자 (cjs@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희뿌연 연기와 폭음이”…제보영상으로 본 화재현장
- “3만 5천 개 연쇄 폭발”…건물 붕괴 위험까지
- 아리셀은 어떤 곳?…역대 최악의 공장 화재
- 리튬전지 화재 특성은?…“열폭주현상으로 진화 어려워”
- 누더기에 기생충, ‘김정일 교시’까지…오물풍선 속 북한 민낯
- 안보 불안에 고개 드는 핵무장론…현실성과 한계는? [심층]
- ‘GTX 변전소’ 위해성 논란에…국토부 “가전제품보다 전자파 낮아”
- 6.25전쟁 현충원·야전병원 역할…범어사와 통도사
- “북한, 이미 러에 포탄 160만 발 전달”…우크라전 사용?
- “원하는 곳에 ‘보훈 기부’”…‘모두의 보훈’ 누리집 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