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아닌 경찰이 먼저 전화…짙어지는 대통령실 '회수 개입' 정황

유선의 기자 2024. 6. 24. 19:2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 내용 취재한 정치부 유선의 기자와 더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유 기자, 그동안 국방부가 채 상병 사건 회수하는 과정에 대통령실이 어느 정도 개입했느냐가 쟁점이었잖아요?

[기자]

맞습니다. 우선 청문회 전까지 밝혀진 통화기록부터 순서대로 보겠습니다.

오전 10시 30분에 사건이 경찰로 넘어갔고요.

낮 12시 7분에 윤석열 대통령이 이종섭 당시 장관에게 이날 처음 전화를 합니다.

이후 윤 대통령이 임기훈 비서관과 통화했고, 임 전 비서관이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에게 유 법무관리관은 경북경찰청 수사부장에게 전화해 사건 회수를 시작합니다.

이 연속된 통화 기록 때문에 윤 대통령 전화를 받은 임 전 비서관이 국방부를 통해 사건 회수를 지시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온 상태였습니다.

[앵커]

그런데 개입을 넘어서 사건 회수 자체를 대통령실이 주도했단 정황이 잇따라 나오고 있어요?

[기자]

그렇습니다. 임 전 비서관이 유 법무관리관에게 전화해서 '사건을 회수해라' 이렇게 지시한 게 아니라 경북경찰청에서 전화가 올 거라고 말했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대통령실이 이미 경찰과 사건을 돌려주는 것으로 조율을 하고, 거꾸로 국방부로 연락하라고 지시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겁니다.

방금 전 보셨지만 당시 통화를 했던 유 법무관리관과 전 경북청 수사부장, 둘 다 '경찰이 먼저 전화한 게 맞다'고 인정했거든요.

사건을 돌려달라고 요청하는 국방부가 아니라 사건을 내주는 경찰이 먼저 연락을 했다는게 상식선에서 자연스럽지 않기 때문에, 대통령실이 경찰을 통해 사건 회수 과정에 깊게 관여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더 짙어지고 있습니다.

[앵커]

여기까지는 국가안보실인데, 공직기강비서관실도 등장하죠?

[기자]

국가안보실 못지 않게 개입한 정황이 나왔습니다.

공직기강비서관실 박모 행정관이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이모 과장에게 연락했고, 이 과장이 당시 경북청 수사부장에게 전화한 뒤에 사건 회수가 시작된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고요.

박 행정관에게 '경찰로 전화하라'고 지시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이시원 당시 공직기강비서관.

유 법무관리관에게 '경찰에서 전화가 올거다'라고 말해준 임기훈 당시 국방비서관.

두 사람은 이날 낮 12시 14분, 윤 대통령이 이종섭 장관에게 첫 전화를 건 7분 뒤에 첫 통화를 했고, 이날 약 5시간 동안 9번 통화하고 문자도 2번 주고받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두 사람은 지난 청문회에서 "수사 중인 사안"이라는 이유로 대부분 질문에 답변을 피했는데요.

통화기록상으로는 대통령실의 두 비서관이 사건 회수 과정에 거의 실시간으로 통화하면서 소통한 것으로 보입니다.

◆ 관련 기사
[단독] "'경북청 전화, 대통령실서 알려줬다'는 유재은 증언 사실"
→ 기사 바로가기 :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202379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