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中펀드서 짐싼 개미들, 인도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정치적 상황, 국제 정세 등에 따라 아시아 주요 지역 증시 성적이 상이하게 나타나면서 국내 투자자들의 선택도 엇갈리고 있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3연임 성공과 동시에 내수 시장 성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인도펀드에는 이달 들어서만 2000억원 이상이 몰렸다.
반면 인도주식형 펀드에는 계속 국내 투자자들의 돈이 밀려들고 있다.
최근 들어 연이은 인도증시에 대한 고평가 우려에도 인도 경제가 풍부한 노동력, 탄탄한 내수시장 등을 바탕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주동안 자금 117억 빠져나가
성적 부진 中펀드도 대거 탈출
인도펀드엔 2408억 자금 밀물
국내 정치적 상황, 국제 정세 등에 따라 아시아 주요 지역 증시 성적이 상이하게 나타나면서 국내 투자자들의 선택도 엇갈리고 있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3연임 성공과 동시에 내수 시장 성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인도펀드에는 이달 들어서만 2000억원 이상이 몰렸다.
반면 1분기 반짝 반등했지만 미국, 유럽 등과 전기차 관세 무역갈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국이나 최근 증시 고점 평가를 받고 있는 일본펀드 등에서는 순유출이 나타났다. 24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일본주식형 펀드 설정액은 순유출이 처음 발생한 지난 4일부터 지난 21일까지 약 3주간 117억원이 줄었다. 해당 기간인 13거래일간 6월 21일을 제외한 12거래일에서 순유출이 연속 발생했다.
일본펀드는 올해 초 반도체가 주목받으며 올해 들어 설정액을 1400억원 가까이 늘려 총설정액이 4000억원에 육박했는데, 지난 3주간 2.96%(120억원)가량 줄어든 셈이다. 지난 3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던 닛케이지수가 최근 주춤하고, 일본증시가 정점에 도달했다고 평가하는 글로벌 투자자들이 늘면서 일본 주식형펀드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도 식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 펀드 매니저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약 3분의 1이 일본증시가 정점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씨티그룹도 기업 지배구조 개혁과 일본은행의 통화 정책이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평가를 내놨다. 투자자들은 일본은행(BOJ)의 금리 인상에도 계속되고 있는 엔화값 하락도 우려하고 있다. 엔화는 100엔당 869원 수준으로 올해 들어 최저 수준이다. 엔화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면 일본주식 투자자들은 환차손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밖에 없다.
일본 증시 약세가 이어지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이탈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주 외국인 투자자들은 약 16억달러(2조2250억원)의 일본 주식을 순매도했다. 일본 주식시장에서의 외국인 자본 유출은 4주째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3월 4만800을 넘어서며 최고치를 기록했던 닛케이지수는 지난 21일 기준 3만8500 선까지 상승폭을 반납했다.
같은 기간 중국펀드에서도 1230억원이 빠져나갔다. 중국증시는 지난달 20일만 해도 상하이종합지수가 3171.15를 기록하며 지난 2월 5일 기록했던 저점(2702.19) 대비 17.35% 반등하며 주목받았다. 하지만 이후 한 달간 5.45% 하락했다.
중국 정부가 대규모 부양책을 발표하며 크게 반등했지만 중국의 부동산 침체 리스크가 재부각되고, 경기 회복이 예상보다 느리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상승폭을 반납했다.
특히 중국산 전기차 관세 부과를 놓고 미국, 유럽 등과 무역갈등 우려가 커진 점 등이 지수를 짓눌렀다. 이 같은 이유로 국내 상장된 중국 전기차산업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가 지난 4월 5.66% 상승했지만, 이달 들어서는 5.64% 하락했다.
반면 인도주식형 펀드에는 계속 국내 투자자들의 돈이 밀려들고 있다. 같은 기간 인도 펀드 설정액은 2408억원 늘었다. 17.8%나 증가한 셈이다.
최근 들어 연이은 인도증시에 대한 고평가 우려에도 인도 경제가 풍부한 노동력, 탄탄한 내수시장 등을 바탕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도 경제 또한 호조를 보이고 있다. 올 1분기(1∼3월)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 1분기보다 7.8% 늘었다. 같은 기간 중국의 1분기 GDP 증가율은 5.3%에 그쳤다. 인도 상장기업의 1분기 합계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다. 최근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인도의 국가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했다.
[최근도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계속봐도 웃긴다”…800만 조회수 폭발 경남 양산女의 정체 - 매일경제
- “SKY 나왔는데 굳이 판검사 왜 해요?”…신임 판사 38%는 ‘이곳’ 출신 - 매일경제
- 온누리 이정도였어? 소득공제 80%…유흥업소 빼고 다 돼 - 매일경제
- 마라톤하다 넘어졌는데...182억 배상금 받게 된 50대, 이유 봤더니 - 매일경제
- “오래도 숨어 지냈구나? 연봉 8000만원 밀양 가해자, 곧 결혼”...SNS서 신상 또 폭로 - 매일경제
- “코로나 때보다 더 힘들다, 도저히 안돼”…기업 파산 역대 최대 - 매일경제
- “비싼 결혼식 생략, 그 돈으로 몰디브 신행”...실속파 MZ부부 늘었다 - 매일경제
- 중국, 독일 만나 “보복하겠다”…이견만 확인, 극단 치닫는 ‘관세전쟁’ - 매일경제
- ‘이 도시’는 지금 축제 분위기…“1조4천억 경제효과, 마침내 해냈다” - 매일경제
- ‘코리안 몬스터’ 평정심 뒤흔든 타이거즈 천재 소년, 전반기 20-20 가뿐히 넘고 ‘최연소 3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