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view] 정용철 드래프티파이 대표 | “게임 크리에이터와 팬 연결…AI 기반 MZ 감성 플랫폼”

박용선 조선비즈 기자 2024. 6. 24. 11:2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창업 초기지만 성장세는 가파르다. 5월 기준 플레이스쿼드 가입자는 전년 대비 400% 증가했고, 월 활성 이용자는 8000명에 이른다. 드래프티파이는 성장성을 인정받아 지난해 3월 카이스트청년창업투자지주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같은 해 6월에는 딥테크 팁스 기업으로 선정돼 연구개발 등을 위한 자금 15억원을 추가로 확보했다.
정용철 드래프티파이 대표 카이스트 생명과학 학·석·박사, 전 미국 오버워치 게임 구단 ‘뉴욕 엑셀시어’ 데이터분석팀장·감독, 전 헬스케어 스타트업 IML 책임연구원 사진 드래프티파이

‘덕업일치’, 좋아하는 일을 업(業)으로 삼는다는 말로, 최근 MZ 세대(밀레니얼+Z 세대·1981~2010년생)가 추구하는 일과 삶의 방식이다. 여기에 창업을 더해, 자기 사업을 하는 이가 있다. 게임 팬덤 플랫폼 ‘플레이스쿼드’를 개발·운영하는 스타트업 ‘드래프티파이’의 정용철(33) 대표다.

플레이스쿼드는 게임 방송 크리에이터와 팬을 연결,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게임 ‘찐팬(진짜 팬)’인 정 대표의 감성에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을 접목했다. 정 대표를 최근 서울 강남구 드래프티파이 본사에서 만났다. 사명 ‘드래프티파이’ 는 프로 선수를 지명하는 스포츠 용어인 ‘드래프트(draft)’에서 착안해 정했다. 현실 세계 게이머를 가상 세계로 입문시키는 역할을 하겠다는 뜻이다.

정 대표의 ‘덕질(팬 활동)’은 그의 이력에서 드러난다. 카이스트(KAIST)에서 생명과학 박사 학위를 받은 정 대표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미국 ‘오버워치’ 게임 구단 ‘뉴욕 엑셀시어’에서 데이터분석팀장, 감독으로 일했다. 그는 “교수들의 만류도 있었지만, 게임을 매우 좋아해 e스포츠 구단에서 일해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오버워치는 블리자드가 처음 선보인 FPS 게임이다. 가까운 미래의 지구를 배경으로 해 다양한 영웅이 등장하는 6 대 6, 팀 기반의 게임이다. 한국인 영웅 디바를 비롯해 트레이서, 라인하르트, 한조, 위도메이커, 로드호그, 솜브라, 오리사 등 다양한 영웅이 등장한다. FPS는 플레이어가 주인공 시점에서 가상의 세계를 탐험한다는 점에서 가상현실에 가장 가까운 형태의 장르이며, 이 때문에 많은 작품이 뛰어난 그래픽을 갖추고 비디오 게임의 3D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정 대표는 당시 구단 소속 선수들의 게임 영상을 분석, 승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영상을 자동으로 편집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를 계기로 2022년 드래프티파이를 창업했다. 대학 동기인 오영택 현 최고기술책임자(CTO)도 참여했다. 오 CTO는 카이스트 전산학과를 졸업했다.

게임 방송 콘텐츠 시장 키워드는 '팬덤'

드래프티파이의 첫 비즈니스는 ‘e스포츠 전문 분석 툴’이었다. 정 대표가 미 오버워치 게임 구단에 있을 때 개발한 프로그램을 발전시켰다. 이후 중국의 한 e스포츠 게임 구단에 프로그램을 팔았다. 드래프티파이의 첫 고객이었다.

하지만 시장이 너무 작았다. 전 세계에서 1군 팀이 있는, 드래프티파이의 프로그램을 구매할 수 있는 자금력을 갖춘 구단이 많지 않았다. 정 대표는 사업 방향을 틀어 게임 코칭 플랫폼을 개발했다.

이 과정에서 게임 유저가 코칭 능력과 상관없이 자신이 아는 인기 선수 출신 등 게임 방송계 셀럽(유명인)에게 배우길 원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이후 고객 니즈, 성장성을 반영해 개발한 플랫폼이 플레이스쿼드다. 현재 글로벌 게임 콘텐츠 스트리밍 시장 규모는 약 13조원에 이른다.

정 대표는 “유명 크리에이터들을 중심으로 구축된 ‘팬덤’은 게임 방송 콘텐츠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비즈니스적 가치”라며 “그동안 게임 시장을 경험하며 개발한 프로그램을 플레이스쿼드 한곳에 모았다”고 말했다.

창업 초기지만 드래프티파이의 성장세는 가파르다. 5월 기준 플레이스쿼드 가입자는 전년 대비 400% 증가했고, 월 활성 이용자(MAU)는 8000명에 이른다.

드래프티파이는 성장성을 인정받아 지난해 3월 카이스트청년창업투자지주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같은 해 6월에는 딥테크(기술 중심 스타트업) 팁스(TIPS) 기업으로 선정돼 연구개발(R&D) 등을 위한 자금 15억원을 추가로 확보했다.

게임 크리에이터와 팬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플랫폼

플레이스쿼드의 핵심 경쟁력은 게임 크리에이터와 팬을 연결, 함께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한다는 데 있다. 팬과 게임 대결, 온라인 팬 미팅, 팬 게임 코칭 등이다.

예를 들어, 크리에이터가 ‘일대일 게임을 하자’는 콘텐츠를 플레이스쿼드에 올리면 팬이 참여하는 식이다. 특히 ‘후원 연동 게임’ 콘텐츠의 경우, 팬이 크리에이터가 하고 있는 게임에 변수를 줘 게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좋아하는 크리에이터의 게임 영상도 보며 즐길 수 있다. 크리에이터가 유튜브 라이브, 아프리카TV, 네이버 치지직 등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개인 방송을 하면, 플레이스쿼드에서 그 영상의 하이라이트를 만들어 제공한다. 영상은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멀티모달 AI 기술을 적용해 만든다.

정 대표는 “보통 영상 편집자들이 하이라이트 영상을 만드는 데 짧게는 1~3일, 길게는 일주일 정도 걸리는데, 드래프티파이는 1분이면 1시간짜리 영상에서 여러 하이라이트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게임 크리에이터와 팬이 함께 웃고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참여형 콘텐츠를 추가해 글로벌 게임 팬덤 플랫폼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Plus Point
드래프티파이, 시청자 직접 후원·게임사 광고 수익 모델 구축

드래프티파이의 게임 팬덤 플랫폼 ‘플레이스쿼드’. 게임 방송 크리에이터와 팬을 연결, 팬과 게임 대결 등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사진 드래프티파이

게임 방송 콘텐츠 시장의 주요 매출은 ‘시청자의 직접 후원’과 ‘게임사의 광고’ 등 크게 두 가지다. 게임 방송 시장 주요 플레이어인 트위치와 유튜브는 실시간 방송 스트리밍 플랫폼을 제공해 후원 수익과 광고 수익을 모두 얻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했다.

샌드박스네트워크, 인챈트 같은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 기업은 게임사 광고를 셀럽 게이머에게 연계하고 수익을 분배하는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을 갖고 있다. 트윕, 투네이션 등 후원 플랫폼 기업들은 시청자 팬의 직접 후원을 연계하고 수수료를 얻는다.

드래프티파이는 두 비즈니스 모델을 모두 갖췄다. 정 대표는 “시청자 팬의 직접 후원 매출 파이프라인은 팬의 후원 동기가 가장 중요하다”며 “셀럽과 함께 게임하는 경험이 가장 큰 동기를 일으킬 수 있다고 판단해, 후원에 따른 매칭 기능 ‘스쿼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또한 “게임사 광고 매출의 가장 중요한 지표를 셀럽 게이머의 라이브 영상을 편집 영상으로 변환해 유튜브 플랫폼에 옮기는 콘텐츠 생산이라고 보고, AI 기술을 활용한 방송 자동 편집 기능을 개발, 서비스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미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타임톡beta

해당 기사의 타임톡 서비스는
언론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