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온라인으로 경제교육 손쉽게…'경제배움e+' 개통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온라인으로 쉽게 경제교육을 받을 수 있는 플랫폼이 개통했다.
2017년부터 온라인 경제교육 웹사이트 '경제배움e'를 운영 중이며 최근 경제교육 필요성 확대에 따른 이용자 수 증가, 최신 정보기술 적용 및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 요구 충족 등을 위해 다양한 경제교육 주체들의 콘텐츠를 모아서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한 신규 플랫폼으로 개편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종=뉴시스]용윤신 기자 = 온라인으로 쉽게 경제교육을 받을 수 있는 플랫폼이 개통했다.
기획재정부는 24일 인공지능(AI)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경제정보 및 콘텐츠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디지털 경제교육 플랫폼, 경제배움e+'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2017년부터 온라인 경제교육 웹사이트 '경제배움e'를 운영 중이며 최근 경제교육 필요성 확대에 따른 이용자 수 증가, 최신 정보기술 적용 및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 요구 충족 등을 위해 다양한 경제교육 주체들의 콘텐츠를 모아서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한 신규 플랫폼으로 개편했다.
이용자가 회원가입 시 관심 분야를 선택하면, AI 기술이 관심 분야에 맞는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최근 학습콘텐츠와 유사 콘텐츠도 추천할뿐 아니라 매달 해당 분야의 콘텐츠를 '뉴스레터'로 제공할 수 있다.
우선 이용자가 필요한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직관적이고 간결한 초기화면과 주요 메뉴로 구성했다.
메뉴는 ▲초기화면은 이용자의 관심 분야에 맞춰 콘텐츠를 추천하는 '최신 맞춤형 콘텐츠' ▲주간·월간 조회수가 많은 '인기 콘텐츠' ▲주제별(14개)·교육 대상별(학생·사회초년생·군인 등)로 '추천 콘텐츠' 등으로 구성했다. 맞춤형 알고리즘의 연관 콘텐츠도 제공하여 이용자의 선택권을 확대했다.
신규 플랫폼은 14개 대분류와 80여개 소분류로 콘텐츠 분류체계를 정비했고, 최신 검색엔진을 통한 연관어 검색 기능을 제공해 이용자가 편리하게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도록 했다.
개통과 함께 경제교육이 중점적으로 필요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마이크로 러닝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고, 하반기에는 인플루언서들과의 협업 콘텐츠, 예능형 시리즈, 레트로 경제이야기 등 약 30여편의 영상물을 정기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매달 발간되는 '경제로 세상읽기', '이런수업 어때요?'등 읽기 자료에 더해 '위클리 경제배움e'를 주 단위로 신규 제공한다.
서민금융진흥원, 예금보험공사 등 다양한 경제교육 주체의 콘텐츠를 플랫폼에 연동해 수시로 제공하며, 채널을 개설해 각 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전용 페이지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경제배움e+' 홈페이지(www.econedu.go.kr) 개통 이후 7월 초에 축하 댓글, 미션 완수 이벤트를 실시하고, 추후 경제교육 콘텐츠 공모전도 개최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yonyon@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前축구선수 강지용 사망…가수 권은비 사촌
- 신정환, 女연예인 성접대 폭로 "남자 3명 동시에 만났다"
- 불륜스캔들 日 배우와 열애설…김무준 "친한 동료"
- [단독]미아역 마트 흉기 살인 남성…범행 후 과자 더미 흉기 은닉
- 싱글맘 오윤아, 16살 연하남에 대시 받았다 "방송 후 연락와"
- '수술 후 퇴원' 고현정, 또 병원 찾았다
- 최여진 "예비남편 돈 보고 결혼? 그랬으면 20대에 결혼"
- 서동주, 웨딩드레스 영상 올렸다가 악플 피해 "천해 보여"
- 김기방 아들 건강 이상…"청천 병력 같은 소리"
- 봉천동 방화범, 피해 주민과 과거 층간소음으로 '쌍방 폭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