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 자동차보험료 할인 2년 만에 끝?…올해 손해율 올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적자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손해율이 증가한 건 최근 자동차보험료가 인하된 영향이다.
앞서 보험연구원은 '최근 자동차보험 손해율 변동요인 분석' 보고서에서 △보험료 인하 △사고심도(사고심각성 정도) 악화 등에 따라 올해 손해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특수 사라지고 보험료 인하 '부담'
올해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적자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연속으로 보험료가 인하된 영향이다. 코로나19로 간신히 회복한 손해율이 악화할 경우 다시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다.
24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올해 1~5월 자동차보험 누적 손해율은 83.9%다. 메리츠화재, 한화손해보험, 롯데손해보험, MG손해보험, 삼성화재, 현대해상, KB손해보험, DB손해보험 등 8개사의 통계를 집계했다.
코로나19 '반짝 흑자' 끝나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전년 동기의 79.7%보다 4.2%포인트 올랐다. 업계에서는 통상 사업비 등을 고려해 손해율이 80%를 넘어서면 적자 구간에 접어들었다고 본다.
대형사의 경우 그나마 손해율이 낮은 편이었다. 삼성화재 79.2%, 현대해상 81.2%, KB손해보험 79.4%, DB손해보험 78.5%의 손해율을 기록했다. 이들 4개사의 시장 점유율은 90%에 육박한다.
이외 MG손해보험(110.2%)의 손해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한화손해보험(81.8%), 롯데손해보험(82.3%) 등도 80%를 뛰어넘었다.
올해 들어 손해율이 증가한 건 최근 자동차보험료가 인하된 영향이다. 앞서 코로나19로 통행량이 줄면서 자동차보험의 수익성이 개선됐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9년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대형사 기준 91.6%까지 치솟았다. 이어 2020년 85.1%, 2021년 81%, 2022년 80.5%로 차츰 안정됐다.
이에 손보업계는 만년 적자였던 자동차보험에서 2021~2022년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작년에 이어 올해는 금융당국의 상생금융 기조에 발맞춰 평균 2.5%를 내렸다.
손해율 악화할 일만…내년 보험료는?
업계에서는 연내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낮아질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본다. 보험료 변동은 각 가입자의 책임개시일에 적용되기 때문에 보험료 인하 효과 역시 점진적으로 반영된다. 여름철 집중호우와 겨울철 미끄러짐 사고 등 하반기에는 날씨 영향도 크다.
앞서 보험연구원은 '최근 자동차보험 손해율 변동요인 분석' 보고서에서 △보험료 인하 △사고심도(사고심각성 정도) 악화 등에 따라 올해 손해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지금까지는 개인용 자동차보험 비중이 높은 중소형사 및 디지털 보험사가 크게 영향을 받았다. 다만 보험료 인하 효과가 적용될수록 대형사들도 손해율 증가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보험연구원은 "보험료 인하 효과 지속, 인플레이션 상승 등에 따른 사고심도 증가 등으로 손해율은 다소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올해 보험료 인하 폭이 이전보다 더 크고 대형사가 중소형사에 비해 인하 폭이 다소 큰 점을 고려할 때 향후 대형사의 손해율도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손해율이 계속해서 상승하면 자동차보험료 역시 인상될 수밖에 없다. 특히 업계에서는 올해 당국 압박 탓에 예상보다 큰 폭으로 보험료 인하가 이뤄졌다고 보는 상황이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자동차보험은 의무보험이고 민생과 밀접하게 연관돼있기 때문에 지금으로선 보험료 인상 여부를 판단하긴 어렵다"며 "내부적으로 심사를 강화하는 등 손해율 유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손해율이 증가하는 건 좋지 않은 신호"라고 말했다.
이하은 (haeun@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