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R&D도 '삼성전자 착시'…미래 경쟁력 떨어질 수 있다는 경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국내 대기업들이 매출 감소 와중에도 연구개발(R&D) 투자는 8.7%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R&D 상위 1000대 기업의 투자액은 72조5000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에 달했다.
삼성전자 한 곳 투자액이 23조9000억원으로 1000대 기업 전체 투자액의 33%를 차지했다.
2~10위 대기업 R&D 비용을 다 합친 것(21조6000억원)보다 많으니 R&D에서도 삼성전자에 의한 착시 현상을 경계해야 할 판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국내 대기업들이 매출 감소 와중에도 연구개발(R&D) 투자는 8.7%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R&D 상위 1000대 기업의 투자액은 72조5000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에 달했다. 전체적으로 매출액이 2.8% 감소한 가운데서도 연구와 개발 투자는 아끼지 않았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하지만 내용을 보면 안도할 상황이 못 된다. 무엇보다 여기서도 ‘삼성전자 쏠림’으로 인한 착시가 우려된다. 삼성전자 한 곳 투자액이 23조9000억원으로 1000대 기업 전체 투자액의 33%를 차지했다. 2~10위 대기업 R&D 비용을 다 합친 것(21조6000억원)보다 많으니 R&D에서도 삼성전자에 의한 착시 현상을 경계해야 할 판이다. 10위권만 벗어나면 대기업의 투자금도 1조원에 못 미친다. 한국에서나, 공정거래위원회 규제 기준에 따라서나 대기업일 뿐 투자 규모로 보면 아직 글로벌 대기업은 손에 꼽을 정도인 게 우리 산업계 현실이다.
자연히 국제 비교로는 갈 길이 매우 멀다. 2022년 기준으로 글로벌 R&D 투자 상위 2500대 기업 중 한국 기업은 47곳에 불과했다. 전년 53곳에서 줄어들었다. 미국(827곳) 중국(679곳) 일본(229곳) 독일(113곳)에 비해 한참 처진다. 대만(77곳)보다도 적다. 유사한 2009년도 비교 자료를 보면 당시만 해도 한국이 중국보다 훨씬 많았는데 지금은 14분의 1밖에 안 될 정도로 대역전됐다. 여러 산업에 걸쳐 중국에 추격당하고 대만에도 밀리는 이유가 이 통계로도 확인된다.
R&D 투자는 한마디로 산업의 미래 먹거리 준비다. 지금 일어나는 매출과 이익은 모두 이전 투자의 결과물이다. 온갖 구실로 투자를 멈추면 미래도 없다. 반도체 인공지능(AI) 배터리 바이오 모빌리티 소재 등 첨단 분야일수록 더욱 그렇다. 옛사람들이 긴 흉년에 굶주리면서도 씨앗은 어떻게든 보존한 것도 앞날을 생각했기 때문이다. R&D 예산 배정을 두고 빚어진 지난해 논란을 돌아보면 정부부터 이 예산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건 아닌지 걱정이다. 민간의 R&D 투자가 식지 않도록 정부가 더 적극 나서야 한다. 관련 규제 검점은 기본이고, 기업 R&D가 활성화되도록 보조금과 세제 지원에서 마중물 정책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에 다 뺏길라" 다급한 日…법까지 바꾸고 '선전포고'
- "또 품절이야?" 美서 인기 절정…K푸드 제대로 대박 났다
- 직원 실수 한 번에 대참사…"1282억 내야 할 판" 날벼락
- "시진핑 통제 더 이상 못 참아" 탈출 행렬…중국에 무슨 일이
- "많이 사랑해"…女 제자와 '부적절 교제' 여교사 결국
- "진짜 큰일 났습니다"…임영웅, 걱정 쏟아낸 이유가 [연계소문]
- '일단 튀어' 술타기 수법에 허탈…'김호중 꼼수'에 칼 빼드나
- 카리나 효과 어느 정도길래…'역대급 시구' 일냈다
- 아버지 빚 100억 갚아준 박세리…'의외의 복병' 터졌다
- 역대급 뷰에 2000만원 스피커 품었다…한강 호텔, 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