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청년 67만 명 ‘그냥 쉬었다’… 멈춰 선 노동개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학업, 질병 등 특별한 이유 없이 일하지도, 일자리를 찾지도 않고 '그냥 쉬었다'는 2030 청년이 67만 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 조사에 따르면 '그냥 쉬었다'는 청년 10명 중 3명은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직무·성과 중심으로 임금체계를 개편하고, 일자리의 유연성을 높이는 등의 노동개혁을 서두르지 않고는 청년 일자리 창출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는 청년 일자리의 질이 악화한 탓으로 분석된다. 한국경영자총협회 조사에 따르면 ‘그냥 쉬었다’는 청년 10명 중 3명은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지난달 기준으로 1년 이상 일하는 2030 청년 상용직 근로자는 전년 대비 10만 명 넘게 줄었다.
청년들의 노동시장 진입이 늦어질수록 양질의 일자리에 취업할 가능성은 작아지고 향후 기대 소득도 줄게 된다. 우리 사회가 감당해야 할 비용도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청년재단이 청년 고립의 사회적 비용을 추계했더니, 실업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복지 지출 등을 합해 연간 7조5000억 원에 달했다. 실업이 길어지면 상당수 청년들이 노동시장에서 아예 퇴장하게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저출산고령화로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이는 앞으로 한국 경제에 두고두고 큰 짐이 될 것이다.
그런데도 정부의 노동개혁은 방향도, 동력도 잃은 채 겉돌고 있다. 주52시간제 개편안이 1년 3개월 넘게 표류하고 있고 정규직-비정규직 격차 등 노동시장 이중 구조 완화는 손도 대지 못하고 있다. 사회적 대화를 주도해야 할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개점 휴업이나 다름없는 상태다. 모두 정부가 개혁에 따른 고통을 감수하고 희생하겠다는 의지가 없으니 벌어지는 일이다.
직무·성과 중심으로 임금체계를 개편하고, 일자리의 유연성을 높이는 등의 노동개혁을 서두르지 않고는 청년 일자리 창출을 기대하기 어렵다. 노동개혁을 말잔치로 끝낼 생각이 아니라면 정부가 앞장서 다양한 노동개혁 이슈를 주도하고 경사노위를 활성화할 방안도 찾아야 한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4시간반 빚독촉 전화 760통…“평생 니 딸X 괴롭혀 줄게” 협박[히어로콘텐츠/트랩]①-上
- [정용관 칼럼]‘윤심 타령’도 ‘어대한 타령’도 다 걷어치우라
- ‘채 상병 특검’ 대치 반복… 野 “6월 국회내 처리” 與 “거부권 건의”
- 한동훈 “與대표 되면 채 상병 특검법 발의”
- 北-러 위협에, 국정원산하 연구원 “자체 핵무장 검토해야”
- “끼어들지마”… 美대선 첫 TV토론, 상대 발언땐 ‘마이크 OFF’
- 갑상선 바로알기 OX퀴즈
- 양희영, LPGA 메이저대회 첫 우승으로 파리올림픽 꿈 이뤄
- 탈모인에 ‘한줄기 빛’? …모발 가늘어짐 메커니즘 발견
- 서울대병원 이어, 의협도 ‘무기한 휴진’ 철회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