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해 상선 공격 후티 “하마스 돕는 해전”… 美는 “돈 노린 해적질”[권오상의 전쟁으로 읽는 경제]
홍해의 상선을 대상으로 하는 후티의 공격은 전쟁 행위일까? 후티 반군은 대외적으로는 이스라엘과 관련된 배를 공격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력을 보면 꼭 그렇다고 보기는 어렵다. 미국은 이에 대해 분명한 생각을 가지고 있다. 미국 국무부 대변인 매슈 밀러는 2월 21일에 발표한 성명에서 이를 “해적질”로 규정했다.
해적은 역사가 실로 깊다. 기원전 1세기의 율리우스 카이사르도 시칠리아 해적에게 잡힌 적이 있었다. 해적이 20달란트를 요구하자 자기 몸값이 그거밖에 안 되냐며 50달란트로 올리고 풀려난 후 곧바로 그 해적을 토벌했다고 플루타르크는 전한다. 동양에도 해적이 있었다. 가령 조선 효종 때인 1657년 복건(福建·푸젠)에 있는 주 씨를 돕는 해적인 정지룡의 아들 이야기가 ‘조선왕조실록’에 나온다. 정지룡은 명에서 태어나 필리핀과 일본을 근거로 삼은 해적이었다. 그가 나가사키의 일본 여자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이 바로 1662년 대만 본섬을 최초로 점령한 명의 잔당인 정성공이었다.
해적의 목표를 알기란 어렵지 않다. 인질을 잡고 몸값을 요구하는 건 위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유구한 고전적 해적 행위다. 물론 화물을 뺏거나 배를 탈취해 현금화하는 방법도 있다. 또 사람을 납치해 노예로 파는 일도 수지맞는 해적의 중요한 돈벌이였다. 즉, 해적의 목표는 오로지 돈이다.
어떤 집단이 해적인지 아닌지에서 이름은 중요하지 않다. 가령 십자군 전쟁 때 생긴 구호기사단은 13세기에 동로마 영토인 로도스를 빼앗았고 16세기에 로도스를 뺏긴 후에는 몰타에 자리 잡았다. 구호기사단은 이슬람과 베네치아 상선을 가리지 않는 해적질로 악명 높았다. 베네치아인들은 이들을 두고 “겉으로만 십자가 행진을 하는 코르세르(해적)”라고 일갈했다.
해적을 단순히 굶주림을 면하고자 노략질에 나선 사람들로 이해해서는 곤란하다. 일례로 911년 서프랑크 왕 샤를 3세에 의해 노르망디 백작에 봉해진 롤로는 프랑스와 잉글랜드를 지속적으로 약탈하던 스칸디나비아 태생의 바이킹으로서 본래 해적이었다. 롤로의 5대손은 1066년 잉글랜드를 정복해 영국 왕 윌리엄 1세가 되었다. 또 신대륙 발견 후 스페인의 귀금속이 탐났던 영국의 여왕 엘리자베스는 타국의 배를 약탈할 면허를 자국 해적들에게 부여했다. 이는 무력의 외주화로서 과실은 따먹되 도발 행위의 책임은 국가가 면해 보려는 시도였다. 영국인들은 그러한 사략선장의 대표 격인 프랜시스 드레이크를 영웅으로 받들었다.
1588년 칼레 해전에서 스페인의 일명 무적함대를 운 좋게 물리친 영국은 해적 행위를 좀 더 체계적으로 수행할 방법을 고안해 냈다. 여러 사람이 함께 자본을 댄 회사에 식민지로 만들 지역의 독점권을 주고 그 면허료를 받는 방법이었다. 그렇게 1600년에 세워진 첫 번째 영국 회사가 바로 영국 동인도회사다. 영국 동인도회사의 설립 시 주주는 모두 219명이었다. 그중 한 명으로 영국 동인도회사의 첫 번째 식민 함대를 지휘한 제임스 랭커스터는 드레이크 밑에서 사략선을 탔던 해적 선장이었다.
비슷한 영국 회사 중 다른 방식으로 이름을 날린 회사로 1711년에 설립된 남해회사가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남해회사의 독점권은 남해, 즉 남반구 전체의 바다와 남아메리카였다. 아프리카인을 잡아다가 남아메리카의 스페인 식민지에 노예로 팔겠다는 남해회사의 비즈니스 모델은 스페인과 전쟁 중인 영국의 상황을 감안하면 망상에 가까웠다. 오히려 그러한 암울한 전망이 현실과 동떨어진 상상력을 자극했는지 남해회사의 주가는 1720년 단 몇 달 만에 열 배 가까이 뛰어올랐다가 폭락했다. 당시 영국 조폐청장으로서 금화 위조범 처형에 진심이었던 아이작 뉴턴은 남해회사 주식에 손을 댔다가 오늘날 돈 가치로 약 80억 원을 날렸다.
후티를 해적으로 규정 짓고 싶어 하는 미국은 후티가 몸값을 받았다는 군불을 계속 때고 있다. 가령 불법 도청이 들통나 대통령을 그만둔 리처드 닉슨이 세운 잡지 더내셔널인터레스트는 올 3월 레바논 벌크선 루비마르가 가라앉기 전 후티가 구조를 허락하는 대신 돈을 요구했다고 주장했다. 이 잡지는 소말리아의 해적과 후티가 연대해서 몸값을 나눌지도 모른다는 주장도 곁들였다.
권오상 프라이머사제파트너스 공동대표 ‘전쟁의 경제학’ 저자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빚 갚기 힘들지, 우리랑 일할래?”… 불법사채 조직의 ‘은밀한 제안’[히어로콘텐츠/트랩]①-
- 원구성 여야 원내대표 협상 최종 결렬…민주 “25일 마무리” 상임위 독식 예고
- 나경원 “미숙한 정치 안돼”…한동훈 “당정관계 수평적 재정립”…원희룡 “레드팀 만들것”
- [사설]한 달 새 바뀐 尹 “확고한 방침”… 대러 ‘금지선 외교’ 정교해져야
- [사설]대출금리 하락·가계대출 급증… ‘부동산 불안’ 싹부터 자르라
- [사설]청년 67만 명 ‘그냥 쉬었다’… 멈춰 선 노동개혁
- 갑상선 바로알기 OX퀴즈
- [단독]法-檢-警 턴 해커, 대전 병원 환자 20만명 개인정보 빼가
- 의대교수협 “근로자 지위 인정해달라 헌법소원 낼 것”
- ‘사막 더위’ 가고 ‘동남아 더위’ 온다…서울 117년 만에 가장 빠른 열대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