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지 세 통이 없었다면…시총 1위 ‘락스타 CEO’도 존재하지 못했다고? [위클리반도체]
오찬종 기자의 위클리반도체-6월 셋째 주 이야기
최근 미국 CNN이 젠슨 황 엔비디아 대표에 대해 내린 한 줄 평입니다. 세계 1위 시가총액 반열에 오른 기업의 수장이 락스타에 비유된다는 건 쉽게 상상하기 어려운 일입니다.
하지만 젠슨 황의 모습을 보면 이 같은 비유가 절대 과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백발의 머리를 하고 검은색 가죽 재킷을 유니폼처럼 입는 그의 독특한 스타일과 각종 행사장마다 그를 향해 몰려드는 팬들을 보면 어느 락스타의 콘서트 현장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죠.
거침없이 소신 발언을 쏟아내는 그의 ‘락 스피릿’도 굉장합니다. 자유로운 영혼으로 유명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대표조차도 벌벌 떠는 중국도 그에게는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죠. 최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국제 컴퓨터 포럼인 ‘컴퓨텍스 2024’ 등 공식 석상 인터뷰에서 그는 여러 차례 대만을 독립된 ‘국가’로 명명합니다. 본인 발표에 쓰인 참고자료에서도 대만과 중국을 다른 국가로 지도에 표시하며 강조했죠.
중국인들에게 이는 용납할 수 없는 ‘역린’을 건드린 일입니다. 중국은 대만이 중국의 일부분이라는 ‘하나의 중국’을 주장하거든요. 수년 전 대만 출신의 한국 K팝 아이돌이 방송에서 대만 국기를 흔들었다는 이유만으로 불매 운동을 하며 기어코 눈물의 사과까지 받아냈던 그들입니다.
하지만 이런 중국도 젠슨 황 앞에서는 입을 꾹 닫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중국 당국은 물론 관영 언론들도 침묵을 지켰죠. 그가 만드는 AI칩이 중국에게도 절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는 1963년 대만 타이난시에서 엔지니어인 아버지와 영어 교사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영미 문화와 IT에 대해서 태어날 때부터 DNA에 이식되었다고 볼 수 있죠.
그는 9살 때 가족들과 미국으로 이민을 떠났습니다. 이후 유년시절과 학창시절 대부분을 미국에서 보냈습니다. 미국 오리건에서 고등학교를 마친 젠슨 황은 1984년 오리건주립대학교에서 전기공학 학사, 1992년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이후 그는 미국의 반도체 기업인 AMD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담당자로 취업했죠. 평범한 동양인 이주민 개발자로 흘러가던 그의 삶은 30살이 되면서 중요한 변곡점을 마주합니다.
사무실도 없이, 아르바이트했던 실리콘밸리의 레스토랑 ‘데니스’에 모여 친구들과 함께 매일 그래픽처리장치(GPU)에 대한 아이디어를 구상합니다. 회의중 음식도 시키지 않고 몇 시간 동안 테이블에 앉아 있다가 쫓겨난 것은 유명한 일화로 지금까지 회자되고 있습니다.
이때 그는 같은 동포 대만의 모리스 창 TSMC 회장에게 첫 번째 편지를 씁니다. 장래성을 보고 엔비디아의 제품을 만들어달라는 구구절절한 내용이었죠. 당시 이미 TSMC는 반도체 1세대 거인인 창 회장의 지휘 아래 글로벌 1위 파운드리로 등극하고 국영 기업에서 민영화를 마친 상태였습니다. 돈이 되지 않는 일에 나설 이유가 전혀 없었죠.
하지만 창 회장은 이 편지를 읽은 뒤 큰 감명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직접 미국의 작은 신생 스타트업 엔비디아의 황 대표에게 전화를 걸었습니다. 그는 “미래를 보고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이어가보자”고 젠슨 황을 응원했습니다. 이 인연은 3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굳건하게 이어지며 TSMC와 엔비디아가 원팀을 이루게 되는 계기가 됐습니다.
하지만 그는 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Next Version(NV)’를 만들어 나갔습니다. 그의 이런 철학은 회사 이름 NVDIA에도 담겨있습니다. 끊임없이 새로운 후속작(NV)을 만들면서 ‘인비디아(Invidia·부러움)’을 이끌어내는 회사를 만들자는 철학이죠.
그의 이런 노력은 시장에서 점차 인정받았습니다. 당시 최고 게임 기업 중 하나였던 일본 세가로부터 계약을 따냈죠.
이때 젠슨 황은 당시 세가의 사장이었던 이리마지리 쇼이치로에게 두 번째 편지를 씁니다. 막대한 피해를 끼쳐 죄송하다는 말로 시작했지만 사실 본론은 뒷장에 숨겨져 있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의 잠재 기술력을 인정한다면 부디 자신들에게 투자를 해주길 바란다는 요청이었습니다. 어찌 보면 이 염치가 없어 보이기까지 한 편지는 세가의 마음을 움직였습니다. 세가는 당시 엔비디아의 반년 치 운영비에 달하는 500만달러를 투자하기로 결정했죠.
기사회생한 엔비디아는 계속해서 ‘NV’를 만들어 냈습니다. 1999년 지금의 그래픽카드 형태인 지포스 초기 모델을 출시하고 나스닥에 상장하는 데도 성공했죠.
이때 젠슨 황은 또 다시 펜을 듭니다. 세 번째 편지의 수신자는 주주들이었습니다. 그는 2008년 말 자신의 연봉을 ‘1달러’로 삭감하겠다는 내용의 주주서한을 보냅니다. 그리고 그 비용을 쿠다 생태계를 확대하는 우수 인력을 채용하는 데 사용할테니 자신을 믿어달라고 호소했습니다.
결과는 대성공이었습니다. 쿠다는 전 세계 개발자 470만명 이상이 사용하는 거대한 생태계를 구축했습니다. 지금도 AI를 연구하는 개발자들은 대부분 쿠다 SW를 사용하죠. 쿠다를 이용해서 프로그램을 개발하면 엔비디아의 제품을 쓸 수밖에 없습니다. 엔비디아의 왕국에 개발자들을 가두는 데 성공한 것입니다.
이후 엔비디아의 행보는 거침이 없습니다. AI붐을 타고 엔비디아의 GPU는 이제 AI칩으로 거듭나면서 더욱 존재감이 부각되고 있죠. 엔비디아는 AI 반도체 시장의 80% 이상을 장악하고 있습니다.
콧대 높은 일론 머스크도 “지금 (엔비디아의) GPU는 마약보다 구하기 어렵다”고 말할 정도입니다. 주력 AI 칩인 H100은 개당 가격이 3만 달러(약 4000만원)에 달하지만 굴지의 테크 기업들도 이 칩을 받으려면 최소 6개월은 기다려야 합니다.
미국 경제전문지 포천은 최근 기업 분석 전문가 전망을 인용해 “엔비디아 주가가 지금보다 3배 이상 급등해 시총 10조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IO펀드 분석가 베스 킨디그는 “엔비디아의 시총이 현재보다 270% 더 증가할 것”이라며 “향후 몇 년 동안 천문학적 이익을 추가로 얻을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습니다. 포천은 “당분간 경쟁업체들이 엔비디아의 아성을 무너뜨리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럼에도 황 CEO는 아직도 오히려 시장의 장밋빛 전망과는 전혀 다른 경계론을 얘기합니다. 그는 “생존을 보장할 수 있는 기업은 없다”며 매일 직원들에게 강조합니다. 엔비디아가 언제든 다시 위기에 빠질 수 있다며 경각심을 놓지 않고 있죠.
그리고 그 위기가 다시 찾아온다면 그는 언제든 기꺼이 주저 없이 다시 펜을 들고 ‘네 번째 편지’를 써서 위기를 돌파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아버지 빚 갚아준 박세리, ‘증여세’ 최소 50억 폭탄 맞을 수 있다? - 매일경제
- “뉴진스도 신었잖아”…무더위 오자 난리난 이 녀석의 정체 - 매일경제
- “고막이 터질 것 같았다”…대한항공 기체결함으로 긴급 회항 - 매일경제
- “커피 재촉하지 마”…고객에 커피 가루 뿌린 中바리스타, 결국 해고 - 매일경제
- [단독] 손연재, 남편과 공동명의로 이태원 72억 단독주택 매입 - 매일경제
- “추녀야, 내 남편과 결혼해줘”…상간녀 오저격 황정음, 명예훼손 혐의 피소 - 매일경제
- “사실상 다 벗었다”…선거포스터에 등장 ‘女모델 알몸사진’, 도쿄 발칵 - 매일경제
- “뭘 원해, 다 해줄게”…돈 없는 1020세대에 목숨 건 카드업계, 왜? - 매일경제
- “우리 아이도 콜록콜록하는데 혹시?”…한 달 새 환자 3배 늘었다는 ‘이 병’ - 매일경제
- 양민혁 프로축구 3달 만에 K리그 시장가치 6위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