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블 로키' 닮은 신종 공룡, 이름도 '로키케라톱스'로

서희원 2024. 6. 22. 17: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7800만 년 전, 지금의 미국 몬태나주에 서식했던 공룡의 이름이 '로키케라톱스'로 확정됐다.

미국 스미소니언 열대연구소는 조 세르티치 콜로라도 주립대학교 고생물학자와 미국과 캐나다 국경 인근에서 발견된 신종 공룡에 대해 공동 집필한 연구 논문을 오픈 액세스 저널 'PeerJ'에 게재하고, 이 공룡을 '로키케라톱스 랑기포르미스'(Lokiceratops rangiformis)로 명명했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미 발견 공룡 가운데 가장 크고 화려한 뿔
트리케라톱스보다 앞선 7800만 년 전 서식
마블 영화 '토르: 라그나로크'에 등장하는 캐릭터 '로키'와 신종 공룡 '로키케라톱스'. 사진=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Fabrizio Lavezzi

7800만 년 전, 지금의 미국 몬태나주에 서식했던 공룡의 이름이 '로키케라톱스'로 확정됐다.

미국 스미소니언 열대연구소는 조 세르티치 콜로라도 주립대학교 고생물학자와 미국과 캐나다 국경 인근에서 발견된 신종 공룡에 대해 공동 집필한 연구 논문을 오픈 액세스 저널 'PeerJ'에 게재하고, 이 공룡을 '로키케라톱스 랑기포르미스'(Lokiceratops rangiformis)로 명명했다고 밝혔다.

뿔이 달린 초식공룡 가운데 가장 유명한 '트리케라톱스'. 백악기 후기를 대표하는 이 공룡보다 1200만 년 앞선 사촌으로 추정되는 공룡이 지난 2019년 발견돼 이번에 이름 지어진 '로키케라톱스'다.

7800만년 전 미국 몬태나 지역에 서식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로키케라톱스는 지금까지 북미에서 발견된 공룡 가운데 가장 크고 화려한 뿔을 가졌다. 두 개의 뿔이 길게 뻗은 모습이 북유럽 신화 속 장난의 신인 '로키' 닮아 '로키케라톱스'로 이름 지어졌다.

7800만 년 전 미국 몬태나 북부 늪지에 있는 로키케라톱스 랑기포르미스(가운데 주황색 뿔 공룡)를 상상한 그림. 뒤 쪽에 있는 공룡 두 마리는 백악기 후기 공룡 프로브라킬로포 사우루스 상상도다. 사진=Fabrizio Lavezzi
덴마크 마리보 진화박물관에 전시된 로키케라톱스 화석. 사진=덴마크 마리보 진화박물관

신종 공룡은 앞쪽에 비대칭한 뿔 두 개 외에도, 뒤쪽에 넓은 뿔을 가졌다. 넓은 뿔의 끝에는 주름진 뿔과 함께 톱니 같은 작은 뿔들이 달려있다.

연구진은 이 화려한 뿔이 방어용이 아닌 장식용일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데이비드 노먼 교수는 “뿔이 더 크고 장식적일수록, 뿔의 주인이 잠재적으로 더 매력적으로 보일 것”이라며 “이 때문에 극락조처럼 극도로 화려하고 기괴한 특징으로 발달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두개골 등 약 75%의 뼈만 발견됐기 때문에 정확하지는 않지만, 몸 길이는 약 6.7m, 몸무게는 5톤(t)가량 나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로키케라톱스, 메두사케라톱스, 알베르타케라톱스, 웬디케라톱스 상상도. 사진=Fabrizio Lavezzi

또한 로키케라톱스가 발견된 암석층에서는 앞서 다른 네 종(메두사케라톱스, 알베르타케라톱스, 웬디케라톱스, 분류 미상)의 뿔 공룡 화석이 발굴됐다. 이는 7800만년전 현재 북미 서부 대륙이 된 라라미디아(Laramidia)의 해안 늪과 평원에 서로 다른 종의 뿔 공룡들이 나란히 살았음을 시사한다.

이 뿔공룡들은 좁은 지역에서 빠르게 진화하면서 다양하고 다채로운 모습을 보여줬지만, 1200만 년 후 트리케라톱스가 등장했을 무렵에는 단 두 종으로 좁아졌을 가능성이 있다.

미국 유타대 마크 로웬 교수는 “이 연구는 현재까지 가장 완전한 뿔 공룡의 가계도를 제시한다”며 “이는 뿔 공룡의 진화 및 가계도 내 다양성과 관계 등에 관한 우리의 연구가 수박 겉핥기에 불과했음을 알려준다”고 말했다.

서희원 기자 shw@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